Skip to main content

등애 목차 생애 등애의 친족관계 각주 둘러보기 메뉴eheh

조인조휴조진공손연조인손권조진사마의조우조상사마사사마소정충종요사마의사마부화흠사마소사마염가후종요화흠장패사마의만총장제왕릉사마부고유등애왕상종요화흠왕랑동소진교한기위진고유정충종회하증사마망화흠왕랑진군위진최림조엄고유왕릉손례사마부정충노육제갈탄왕창왕관왕상순의순유서혁진군진교배잠사마부진군사마의조상사마사사마소영제소제헌제조조조비조예조방조모조환유비유선손견손책손권손량손휴손호사마염공손연공손찬도겸동탁마등여포원소원술유언유장유표장각장로한수공융교현양표왕윤채옹가후곽가곽회동소사마사사마소사마의순욱순유양수왕랑왕숙유엽정욱종요종회진군화흠간옹동윤등지마량마속미축방통법정비의손건양의유파이적장완제갈량진지감택고옹노숙반준보즐여범우번육손장굉장소장제제갈각제갈근주유가충순욱장화진수곽도괴량괴월봉기심배이유장송저수전풍진궁채모허유노식동승주준하진황보숭가규등애방덕만총서황손례악진우금이전장합장료전예전위조인조진조창조홍조휴하후돈하후연학소허저강유관우관평마대마초엄안오의왕평요화위연이엄장비장익조운주창진도하후패황권황충감녕능통미방반장서성육항여몽장흠전종정보정봉제갈정주치주태주환진무태사자하제한당황개두예문앙문호석포양호왕준고순곽사기령맹달문추안량양봉이각장임제갈탄화웅당희동태후하태후초선헌목황후견황후곽귀인양휘유왕원희장춘화하후휘감부인미부인목황후황월영대교소교보연사손노반손부인오부인양염양지채부인채염축융부인가비능구력거답돈동천왕맹획어부라히미코관로남화노선사마휘예형우길좌자화타


197년 태어남264년 죽음삼국지 위나라의 태위삼국지 위나라의 장군사형된 사람말더듬이


197년264년중국삼국 시대위나라자사마의사마의조모251년255년관구검문흠문흠문흠사마사문흠오나라249년강유곽회요화강유255년강유왕경강유강유강유257년262년263년사마소농서태수강유제갈서강유강유종회마막제갈첨제갈첨장준성도유선초주사마소유선사마소강유종회위관호열사마소264년종회위관등충위관종회강유위관종회전속전속위관전속273년번건진나라사마염등애.png










(function()var node=document.getElementById("mw-dismissablenotice-anonplace");if(node)node.outerHTML="u003Cdiv class="mw-dismissable-notice"u003Eu003Cdiv class="mw-dismissable-notice-close"u003E[u003Ca tabindex="0" role="button"u003E숨기기u003C/au003E]u003C/divu003Eu003Cdiv class="mw-dismissable-notice-body"u003Eu003Cdiv id="localNotice" lang="ko" dir="ltr"u003Eu003Cpu003Eu003Ca href="/wiki/%EC%9C%84%ED%82%A4%EB%B0%B1%EA%B3%BC:%EA%B3%BC%ED%95%99%EC%9D%98_%EB%8B%AC_%EC%97%90%EB%94%94%ED%84%B0%ED%86%A4" title="위키백과:과학의 달 에디터톤"u003E과학의 달 에디터톤u003C/au003E이 4월 30일까지 진행됩니다. 관련 u003Ca href="/wiki/%EC%9C%84%ED%82%A4%EB%B0%B1%EA%B3%BC:%EA%B3%BC%ED%95%99%EC%9D%98_%EB%8B%AC_%EC%97%90%EB%94%94%ED%84%B0%ED%86%A4#오프라인_모임" title="위키백과:과학의 달 에디터톤"u003E오프라인 모임u003C/au003E이 서울 정독도서관에서 4월 27일에 열립니다.nu003C/pu003Eu003C/divu003Eu003C/divu003Eu003C/divu003E";());




등애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등애.


등애(鄧艾, 197년[1][2] ~ 264년)는 중국 삼국 시대 위나라의 장군이며, 자는 사재(士載)로, 의양군(義陽郡) 극양현(棘陽縣) 사람이다.




목차





  • 1 생애

    • 1.1 생애 전반기


    • 1.2 북벌 방어


    • 1.3 촉나라 정벌


    • 1.4 죽음



  • 2 등애의 친족관계


  • 3 각주




생애



생애 전반기


등애는 부모를 일찍 잃고 여남(汝南)에서 송아지를 길렀다. 지형을 살피고 그림을 그리면서 군사작전에 적합한지를 연구하기를 좋아했으나 말더듬이여서 주위 사람들의 비웃음을 받았다. 이후 상계리(上計吏)를 지낼 때 사마의(司馬懿)를 만나 상서령(尙書令)이 되었다.


이후 수춘(壽春)을 시찰하던 등애는 운하를 통해 물을 끌어들일 구상을 하고 <제하론(濟河論)>을 지어 사마의에게 바쳤다. 이것이 받아들여져 운하가 완성된 후 수해가 줄고 군사들과 식량을 보내기가 편리해졌다.


조모(曹髦)가 등극한 후 방성정후(方城亭侯)에 봉해졌다. 251년에는 조정에 글을 올려 남흉노의 세력을 둘로 나누어 그들의 힘을 약하게 할 것을 건의하기도 했다. 255년 관구검(毌丘倹)이 문흠(文欽)과 함께 반 사마씨 봉기를 일으키자, 당시 연주자사였던 등애는 군사 만여 명을 이끌고 낙가성(樂嘉城)을 점거하여 문흠을 유인했다. 문흠은 자신의 군사가 더 많다고 여기고 낙가성으로 쳐들어왔으나 이미 사마사(司馬師)의 대군이 당도해 있었기에 끝내 패주했다. 등애는 문흠을 끝까지 추격하여 오나라로 달아나게 했다. 반 사마씨 봉기가 진압된 후 공로를 인정받아 안서장군(安西將軍)을 대행하고 방성향후(方城鄕侯)가 되었다.



북벌 방어


249년 강유(姜維)가 국산(麴山)에 성을 쌓고 구안(句安)과 이흠(李歆)에게 지키게 하자, 등애는 곽회(郭淮)의 지시대로 성 부근의 물줄기를 끊어 성 안의 촉군이 항복하게 만들었다. 강유는 요화(廖化)를 보내 등애를 상대하게 하고 자신은 조성(洮城)을 공격하려 했으나, 이를 눈치챈 등애가 먼저 조성에 도착해 강유가 이끈 촉군을 무찔렀다. 이 공으로 토구장군(討寇將軍)으로 임명되고 관내후(關內侯)에 봉해졌다.


255년 강유가 왕경(王經)을 대패시키고 적도(狄道)를 포위하자, 재빨리 적도로 이동하여 포위가 풀어지게 한 공으로 안서장군이 되었다. 많은 사람들이 강유가 다시 쳐들어오지 못할 것으로 생각했으나 등애는 방비를 게을리하지 않았다가 얼마 후 쳐들어온 강유를 상대로 단곡(段谷)에서 승리했다. 위나라 조정에서는 등애를 등후(鄧侯)로 봉하고, 진서장군(鎭西將軍)으로 승진시키고 도독농우제군사(都督隴右諸軍事)를 겸하게 했다.


이후 강유는 257년과 262년에도 쳐들어왔으나 등애의 방어를 뚫지 못했다.[3]



촉나라 정벌


263년 당시 정서장군(征西將軍)이었던 등애는 사마소(司馬昭)가 촉나라를 정벌하려는 계획에 찬성하지 않았으나 정벌이 확정된 후 결국 참전하게 되었다. 등애는 천수태수 왕기, 농서태수 견홍, 금성태수 양흔 등을 거느리고 정면에서 강유를 공격하고, 제갈서(諸葛緖)는 강유의 퇴로를 끊었다. 등애는 강유를 격파했으나 제갈서가 강유의 계책에 속아 강유가 검각(劍閣)으로 가는 것을 막지 못했다.


한편 주력 10만을 이끌고 있는 종회가 검각에서 강유의 강력한 저항에 막혀 진군하지 못하자, 등애는 촉나라의 후방을 위협하여 강유 군을 물리고, 종회의 진군 통로를 열어주고자 하는 목적으로 제갈서와 함께 음평(陰平) 길을 통해 성도를 직접 위협하고자 했다. 그러나 제갈서가 응하지 않고 종회에게로 가, 등애는 홀로 음평 길로 나아가 사람이 다니지 않는 험준한 지역 7백여 리를 거쳐 강유(江由)에 도착했다. 강유를 지키던 촉나라의 장수 마막(馬邈)은 지형만 믿고 방심하다가 위군이 나타나자 즉각 항복하였다. 제갈첨(諸葛瞻)이 면죽관(綿竹關)에서 완강하게 저항했으나 등애는 장수들을 독려하여 면죽관을 점령하고 제갈첨 부자와 장준(張遵) 등을 죽였다.


등애가 성도로 진군하자 어찌할 바를 몰라 하던 유선(劉禪)은 초주(譙周)의 건의를 받아들여 자신의 몸을 묶고 등애의 진영으로 찾아가 항복했다. 이로써 촉나라는 멸망했으며, 조정에서는 등애를 태위(太尉)로 삼고 식읍 2만 호를 내렸다. 등애는 장사들을 조사하여 약탈하는 것이 없게 하고, 항복하는 자를 받아들이고 구업을 회복하게 하였으므로 백성들에게 칭찬을 받았다. 아울러 사마소에게 글을 올려 유선을 우대하고 오나라를 정벌할 방안을 건의했다. 사마소가 선뜻 받아들이지 않자 재차 글을 올려 오나라를 정벌할 기회를 놓쳐서는 안 된다고 역설했다. 그러나 등애는 자신의 전공을 뽐내고, 촉한의 사대부들에게 자신의 관대함을 자못 자랑하였으며 자신을 강유의 위에 두었으므로, 식견있는 자들의 비웃음을 샀다.



죽음


종회는 부하장수 위관(衛瓘), 호열(胡烈) 등과 함께 등애를 모함하고 등애의 글을 가로채 불손한 내용으로 바꿔 보냈다. 결국 등애를 의심하게 된 사마소는 264년 1월 등애를 잡아들이라는 명령을 내렸고, 종회는 위관을 보내 등애를 잡아들이게 했다. 등애는 잠을 자다가 새벽녘에 아들 등충(鄧忠)과 함께 위관의 군사들에게 체포되어 함거에 갇혔다.


종회가 강유와 함께 반란을 일으키려다 죽자 등애의 부하들은 함거를 부수고 등애를 구출했다. 위관은 정촉의 공을 독차지하려 했고 자신이 종회와 함께 등애를 모함한 것이 밝혀지는 것을 두려워했기 때문에 호군 전속(田續)을 보내 등애 부자를 죽였다.


원래 전속은 강유(江由)에 왔을 때 진격하라는 명령을 받들지 않았기 때문에 등애가 죽이려 하였으나, 이를 받아들이지 않고 달아난 적이 있었다. 위관은 전속에게 옛 일을 설욕할 수 있다고 부추겨 끝내 등애를 죽게 한 것이다.


273년 의랑(議郞) 단작(段灼)과 옛 촉나라의 신하였던 번건(樊建)이 진나라를 세운 사마염(司馬炎)에게 등애의 억울함을 호소하여 등애의 맏손자 등랑(鄧郞)이 낭중(郞中)에 임명되었다.



등애의 친족관계


등애.png



각주



  1. 단작의 상소를 보면 죽을 무렵의 등애를 가리켜 '일흔노공(七十老公)'이라고 표현하였으나 딱 일흔살이라는 뜻이 아니라 일흔살에 가까운 노인이라는 뜻이라고도 볼 수 있다.


  2. 「이십육사대사전」


  3. 위서 등애전





전임
고유

조위의 태위
263년 9월 ~ 264년 1월
후임
왕상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등애&oldid=23887312"










둘러보기 메뉴

























(window.RLQ=window.RLQ||[]).push(function()mw.config.set("wgPageParseReport":"limitreport":"cputime":"0.216","walltime":"0.244","ppvisitednodes":"value":597,"limit":1000000,"ppgeneratednodes":"value":0,"limit":1500000,"postexpandincludesize":"value":97013,"limit":2097152,"templateargumentsize":"value":170,"limit":2097152,"expansiondepth":"value":7,"limit":40,"expensivefunctioncount":"value":0,"limit":500,"unstrip-depth":"value":0,"limit":20,"unstrip-size":"value":986,"limit":5000000,"entityaccesscount":"value":0,"limit":400,"timingprofile":["100.00% 103.356 1 -total"," 94.78% 97.956 4 틀:둘러보기_상자"," 59.19% 61.180 1 틀:삼국지_주요_등장인물"," 41.05% 42.428 6 틀:둘러보기_상자/중첩"," 37.69% 38.959 1 틀:조위의_재상"," 2.79% 2.885 1 틀:전임후임"],"scribunto":"limitreport-timeusage":"value":"0.061","limit":"10.000","limitreport-memusage":"value":1509601,"limit":52428800,"cachereport":"origin":"mw1318","timestamp":"20190413092600","ttl":2592000,"transientcontent":false);mw.config.set("wgBackendResponseTime":166,"wgHostname":"mw1324"););

Popular posts from this blog

Kamusi Yaliyomo Aina za kamusi | Muundo wa kamusi | Faida za kamusi | Dhima ya picha katika kamusi | Marejeo | Tazama pia | Viungo vya nje | UrambazajiKuhusu kamusiGo-SwahiliWiki-KamusiKamusi ya Kiswahili na Kiingerezakuihariri na kuongeza habari

Swift 4 - func physicsWorld not invoked on collision? The Next CEO of Stack OverflowHow to call Objective-C code from Swift#ifdef replacement in the Swift language@selector() in Swift?#pragma mark in Swift?Swift for loop: for index, element in array?dispatch_after - GCD in Swift?Swift Beta performance: sorting arraysSplit a String into an array in Swift?The use of Swift 3 @objc inference in Swift 4 mode is deprecated?How to optimize UITableViewCell, because my UITableView lags

Access current req object everywhere in Node.js ExpressWhy are global variables considered bad practice? (node.js)Using req & res across functionsHow do I get the path to the current script with Node.js?What is Node.js' Connect, Express and “middleware”?Node.js w/ express error handling in callbackHow to access the GET parameters after “?” in Express?Modify Node.js req object parametersAccess “app” variable inside of ExpressJS/ConnectJS middleware?Node.js Express app - request objectAngular Http Module considered middleware?Session variables in ExpressJSAdd properties to the req object in expressjs with Typescrip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