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비달마 목차 분류 및 정의 함께 보기 참고 문헌 각주 둘러보기 메뉴eh불교 사전아비달마구사론佛光大辭典(불광대사전)3-4 / 1397五取蘊(오취온)見85-86 / 1397eheh
불교 논서
법열반법4성제법고타마 붓다부파불교논장경율고타마 붓다고타마 붓다경율율장부파 불교고타마 붓다교법구사론정혜무루혜무루혜무루5온5온유루무루색수상행식5온무루성취유루혜유루혜무루혜유루혜문혜사혜수혜유루혜유루혜생득혜유루혜세간정견무루혜고타마 붓다교법부파부파비바사사설일체유부정혜무루혜열반4성제대관관조정무루혜택법무루혜가전연대가섭나후라목건련부루나사리불수보리아나률아난타우바리
아비달마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대법은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해서는 불교 용어 목록/ㄷ#대법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불교 | |||||
---|---|---|---|---|---|
| |||||
교의와 용어
| |||||
역사와 종파
| |||||
경전
| |||||
성지
| |||||
지역별 불교
| |||||
아비달마(阿毘達磨, 산스크리트어: Abhidharma, 논 · 論) 또는 아비담마(팔리어: Abhidhamma)의 문자 그대로의 뜻은 대법(對法: abhi + dharma = 對 + 法)이다.[1] 대법(對法)은 승의의 법(勝義法)인 열반을 대향(對向)하고 법상의 법(法相法)인 4성제를 대관(對觀)한다는 뜻이다.[2]
아비달마는 법(法) 즉 고타마 붓다가 설한 교법에 대한 연구와 해석을 말하는 것으로서, 협의의 아비달마는 부파불교의 여러 논(論, sastra), 즉 논서(論書)들을 뜻한다.[3] 오랫동안에 걸쳐서 많은 논(論)들이 만들어지고 후일에 정비되어 논장(論藏)이 되었다.[1]
경(經) · 율(律)은 고타마 붓다의 활동 당시에 이미 존재하고 있었으나, 논(論)은 고타마 붓다의 입멸 후 제자들의 손에 의하여 만들어진 것이다. 경 뿐만 아니라 율에 대한 연구와 해석도 동시에 행하여졌으나 이들은 수도 적고 독립적으로 존재하지도 않았으므로 율장(律藏) 속에 포함되어 전해지게 되었다.[1]
논(論)의 저술은 부파 불교(部派佛敎) 시대의 특징 중 하나로 각 부파는 고타마 붓다의 교법에 대한 해석 · 주석은 물론이고, 거기에서 도출된 설법의 해석에 의거하여 자파(自派)의 교리학설을 체계적으로 수립하는 데 노력을 기울였기 때문에 각 부파에 따라서 상이(相異)한 특징을 나타내게 되었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틀에 박힌 해석 방법이 교법 자체의 생생한 생명력을 잃게 하는 결과를 가져오기도 하였다.[1]
목차
1 분류 및 정의
1.1 승의의 아비달마
1.2 세속의 아비달마
1.3 아비달마·대법
1.4 정혜
2 함께 보기
3 참고 문헌
4 각주
분류 및 정의
《구사론(俱舍論)》에 따르면, 아비달마 또는 대법(對法)은 승의의 아비달마(勝義阿毘達磨)와 세속의 아비달마(世俗阿毘達磨)의 2가지로 나뉘며, 이 2가지 뜻을 합하여 아비달마 또는 대법이라 한다.[2]
승의의 아비달마
승의의 아비달마(勝義阿毘達磨)는 승의대법(勝義對法)이라고도 하는데, 정혜(淨慧)와 그 권속들, 즉 무루혜(無漏慧)와 무루혜의 온갖 작용들을 말한다.[2]
달리 말하면, 승의의 아비달마는 무루(無漏)의 상태의 5온(五蘊)이다.[2] 즉, 5온은 유루(有漏)에도 통하고 무루(無漏)에도 통하는데, 색(몸) · 수(지각) · 상(표상) · 행(의지) · 식(마음·의식)의 5온 전체가 무루(無漏)에 통해 있는 상태가 승의의 아비달마이다.[4]
세속의 아비달마
세속의 아비달마(世俗阿毘達磨)는 세속대법(世俗對法)이라고도 하는데, 승의의 아비달마를 성취할 수 있게 하는 유루혜(有漏慧)와 유루혜의 온갖 작용들과 무루혜(無漏慧)를 낳게 하는 가르침[敎]을 말한다.[2]
여기서, 유루혜(有漏慧)는 친구나 스승에게 가르침을 들어서 깨우치는 지혜인 문혜(聞慧), 그렇게 들은 가르침을 스스로 생각함으로써 깨우치는 지혜인 사혜(思慧), 가르침에 따라 수행함으로써만 깨우치는 지혜인 수혜(修慧), 그리고 이들 세 가지 유루혜를 가능하게 하는 기초적인 근거가 되는 타고난 유루혜인 생득혜(生得慧)의 네 가지 유루혜, 즉 세간정견(世間正見)를 말한다.[2][5][6]
또한, 무루혜(無漏慧)를 낳게 하는 가르침은 "논(論)"을 가리키는데, 즉, 고타마 붓다가 설한 교법에 대한 해당 부파의 정통적 연구와 해석으로, 사실상 각 부파의 대표 논서들을 가리킨다. 비바사사(毘婆沙師), 즉 설일체유부의 수행자들 또는 교사들은 논(論)이 정혜(淨慧), 즉 무루혜(無漏慧)를 낳는 역할을 한다고 주장하였다.[2]
아비달마·대법
승의의 아비달마와 세속의 아비달마는 모두 한편으로는 승의의 법(勝義法)인 열반(涅槃)을 대향(對向: 향하다)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법상의 법(法相法)인 4성제(四聖諦)를 대관(對觀: 관조)하기 때문에 아비달마 또는 대법(對法: abhi + dharma = 아비 + 달마 = 對 + 法)이라 한다.[2]
정혜
정혜(淨慧)"에서, 정(淨)은 무루(無漏)을 뜻하고, 혜(慧)는 택법(擇法)을 뜻한다.[2] 정혜는 무루혜(無漏慧), 즉 무루의 지혜라고도 한다.
함께 보기
삼장- 경장
- 율장
- 논장
참고 문헌
-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권오민 (2003). 《아비달마불교》. 민족사.
운허. 동국역경원 편집, 편집. 《불교 사전》.|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아비달마구사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CS1 관리 - 여러 이름 (링크)
(중국어) 星雲. 《佛光大辭典(불광대사전)》 3판.|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CS1 관리 - 추가 문구 (링크)
각주
↑ 가나다라 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성전 > 논,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 가나다라마바사아자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3-4 / 1397쪽.
↑ 권오민 (2000). "아비달마불교의 새로운 인식을 위한 시론", 《한국불교학》 제27집. p. 130.
↑ 운허, "五取蘊(오취온)". 2012년 9월 12일에 확인.
↑ 星雲, "見". 2012년 9월 12일에 확인.
↑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85-86 / 1397쪽.
분류:
- 불교 논서
(RLQ=window.RLQ||[]).push(function()mw.config.set("wgPageParseReport":"limitreport":"cputime":"0.780","walltime":"0.920","ppvisitednodes":"value":1923,"limit":1000000,"ppgeneratednodes":"value":0,"limit":1500000,"postexpandincludesize":"value":231195,"limit":2097152,"templateargumentsize":"value":689,"limit":2097152,"expansiondepth":"value":11,"limit":40,"expensivefunctioncount":"value":2,"limit":500,"unstrip-depth":"value":0,"limit":20,"unstrip-size":"value":10233,"limit":5000000,"entityaccesscount":"value":0,"limit":400,"timingprofile":["100.00% 494.085 1 -total"," 56.64% 279.840 15 틀:둘러보기_상자"," 25.29% 124.940 1 틀:불교_둘러보기"," 16.66% 82.321 4 틀:서적_인용"," 10.14% 50.124 1 틀:불교_논서"," 8.89% 43.920 12 틀:Sfn"," 8.68% 42.908 1 틀:각주"," 8.37% 41.367 2 틀:Llang"," 7.44% 36.751 1 틀:불교"," 6.43% 31.773 1 틀:Sidebar_with_collapsible_lists"],"scribunto":"limitreport-timeusage":"value":"0.219","limit":"10.000","limitreport-memusage":"value":4216127,"limit":52428800,"limitreport-logs":"14n","cachereport":"origin":"mw1250","timestamp":"20190903153901","ttl":2592000,"transientcontent":false););"@context":"https://schema.org","@type":"Article","name":"uc544ube44ub2ecub9c8","url":"https://ko.wikipedia.org/wiki/%EC%95%84%EB%B9%84%EB%8B%AC%EB%A7%88","sameAs":"http://www.wikidata.org/entity/Q612405","mainEntity":"http://www.wikidata.org/entity/Q612405","author":"@type":"Organization","name":"uc704ud0a4ubbf8ub514uc5b4 ud504ub85cuc81dud2b8 uae30uc5ecuc790","publisher":"@type":"Organization","name":"Wikimedia Foundation, Inc.","logo":"@type":"ImageObject","url":"https://www.wikimedia.org/static/images/wmf-hor-googpub.png","datePublished":"2009-01-17T07:45:56Z","dateModified":"2017-08-21T07:10:28Z","image":"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e/e8/DharmaWheelGIF.gif"(RLQ=window.RLQ||[]).push(function()mw.config.set("wgBackendResponseTime":166,"wgHostname":"mw13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