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목차 개요 명칭 역사 자연 환경 정치 경제 사회 문화 각주 외부 링크 둘러보기 메뉴북위 21° 02′ 00″ 동경 105° 51′ 00″ / 북위 21.033333° 동경 105.8500° / 21.033333; 105.8500북위 10° 46′ 10″ 동경 106° 40′ 55″ / 북위 10.769444° 동경 106.681944° / 10.769444; 106.681944베트남 국가 기본 정보2011년 베트남 통계“KỷThuộc Tùy Đường”Indochina - Midway in the Geneva Conference: Address by the Secretary of State, May 7,1954“Vietnam's new-look economy”내이션 이전의 인터내셔널「월남망국사」 의 조선어 번역에 대하여문학작품을 통해 본 베트남과거 내용 찾기The Birth of Vietnam“Chinese Colonization (200BC - 938AD)”원본 문서K ỷ T h u ộ c T ù y Đ ư ờ n gVietnam's new-look economy〈“미국 국회도서관”“일본의 베트남 법 정비 지원활동과 시사점”“List of countries which maintains diplomatic relations with the Socialist Republic of Vietnam (as of December 2007)”Archived“베트남 개황”원본 문서“베트남에 9번째 이통사 VTC 출범”과거 내용 찾기“"베트남 소규모 부패만연, 심각"-WB”“Background Note:베트남”“베트남엔 선후배가 없다?”베트남분류베트남 정부 홈페이지주베트남 대한민국 대사관주호치민 대한민국 총영사관ehehehehehehehehehWorldCat155871049n790321860000 0001 2243 38684063514-416242002643878Xcb118686235(데이터)34303558182100560635ge131295XX450945
라오스베트남미얀마캄보디아태국뉴기니 섬파푸아 뉴기니인도네시아타이완 섬중화민국홍콩마카오다이토 제도사키시마 제도일본대한민국몽골일본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중화민국중화인민공화국러시아극동 연방관구베트남필리핀태국베트남말레이시아인도네시아싱가포르필리핀라오스브루나이캄보디아미얀마중화인민공화국라오스베트남쿠바가나가봉그리스기니기니비사우니제르도미니카 연방라오스레바논루마니아룩셈부르크르완다마다가스카르말리모나코모로코모리셔스모리타니몰도바바누아투베냉베트남벨기에부룬디부르키나파소북마케도니아불가리아상투메 프린시페세네갈세이셸세인트루시아스위스아르메니아아이티안도라알바니아이집트적도 기니중앙아프리카 공화국지부티차드카메룬카보베르데카타르캄보디아캐나다코모로코트디부아르콩고 공화국콩고 민주 공화국키프로스토고튀니지프랑스뉴질랜드말레이시아베트남브루나이싱가포르오스트레일리아페루칠레멕시코일본캐나다방글라데시중화인민공화국인도캄보디아중화인민공화국인도네시아싱가포르라오스브루나이캄보디아미얀마베트남인도대한민국파키스탄네팔방글라데시오만카타르사우디아라비아요르단스리랑카우즈베키스탄타지키스탄카자흐스탄몰디브터키몽골이스라엘아제르바이잔조지아키르기스스탄이란아랍에미리트필리핀태국뉴질랜드오스트레일리아아프가니스탄말레이시아홍콩동티모르키프로스피지바누아투사모아바레인러시아영국오스트리아룩셈부르크이탈리아프랑스스위스네덜란드핀란드노르웨이몰타포르투갈아이슬란드스웨덴폴란드덴마크헝가리스페인아일랜드루마니아벨라루스수단이집트에티오피아마다가스카르캐나다쿠웨이트아르메니아레바논통가쿡 제도파푸아뉴기니베네수엘라아르헨티나에콰도르볼리비아우루과이브라질칠레페루남아프리카 공화국코트디부아르알제리모로코리비아튀니지가나케냐기니토고벨기에그리스세르비아체코일본이라크콜롬비아나이지리아우크라이나
베트남베트남어권사회주의 국가공산주의 국가유엔 회원국프랑스의 옛 식민지동남아시아 국가 연합 회원국
1975년4월 30일남베트남북베트남동남아시아하노이호찌민시다낭하이퐁호이안후에중국라오스캄보디아13번째로 인구가 많은 나라남월수도하노이호찌민시공산주의중화인민공화국938년박당 전투응오 왕조응오꾸옌오대 십국남한청나라청불 전쟁프랑스프랑스령 인도차이나제2차 세계대전1945년9월 2일호치민하노이바딘 광장베트남 민주 공화국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1954년3월 13일디엔비엔푸 전투제네바 협정응우옌 왕조바오 다이베트남국응오딘지엠쿠데타베트남 공화국미국도미노 이론통킹만 사건베트남 전쟁북베트남파리 협정사이공크메르 루주중화인민공화국중국-베트남 전쟁베트남 공산당도이 머이남비엣백월응우옌 빈 키엠판보이쩌우량치차오월남망국사베트남 민주 공화국구석기 시대인류인도차이나 반도인도네시아 제도동손 문화동손 문화기원전 300년청동기마강홍강홍방 왕조홍방 왕조툭판 왕조남비엣한나라무제남비엣기원전 111년10세기쯩 자매바찌에우938년박당 전투응오 왕조응오꾸옌오대 십국남한딘 왕조전 레 왕조리 왕조쩐 왕조호 왕조명나라레러이다이비엣후 레 왕조막 왕조찐 주응우옌 주떠이선 왕조떠이선 왕조응우옌 왕조민망제로마 가톨릭영국인도차이나프랑스나폴레옹 3세로마 가톨릭1858년다낭사이공1884년프랑스청나라청불 전쟁프랑스제2차 세계 대전1882년독립운동20세기중화민국일본호찌민베트남 공산당비엣민민족자결주의1927년베트남 국민당1930년인도차이나 공산당제2차 세계대전일본민족주의공산주의베트남 독립연맹1945년전쟁전쟁호찌민비엣민월맹1946년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1954년3월 13일디엔비엔푸 전투제네바 협정응우옌 왕조바오 다이베트남국응오딘지엠쿠데타베트남 공화국1964년1975년미국베트남 전쟁미국도미노 이론통킹만 사건베트남 전쟁북베트남파리 협정사이공크메르 루주중화인민공화국중국-베트남 전쟁베트남 공산당도이 머이동해홍강 삼각주안남산맥메콩강 삼각주1969년호찌민쯔엉찐레주언팜반동공산주의1976년4월 25일공산주의1976년하노이똔득탕응우옌르엉방응우옌흐우토사이공호찌민시금성홍기1959년1991년도므어이1996년 6월2001년 4월농득마잉서기장하노이껀터다낭하이퐁호치민미국 국무부1992년중화인민공화국미국1975년1994년1995년 1월7월 11일1995년 1월독일오스트리아대한민국1992년수단유엔1976년국제통화기금세계은행1995년 7월아세안1950년인도차이나 전쟁프랑스미국중국캄보디아도이 머이ASEANGDPWTONEXT11VISTA쌀후추커피1975년석탄철광석인회석크롬주석1980년태풍도이 머이1986년도이 머이1986년1990년1987년1993년1994년2000년1995년ASEAN1998년APEC2000년2000년2005년2007년WTO2008년도이 머이 정책1989년1995년1996년2008년사탕수수커피1989년중화인민공화국미국쌀커피차향신료후추1999년2004년베트남 전쟁중화인민공화국하노이호찌민시우측통행킨족베트남인므엉족호아족크메르 크롬몽족다오족따이족눙족1978년1979년대한민국2012년베트남어로마자단철어성조중국한자19세기프랑스로마자 표기꾸옥 응으로마자 표기16세기로마 가톨릭선교사예수회알렉상드르 드 로드포르투갈어안남어민난어로마자1945년15세기한자쯔놈20세기유교베트남어꾸옥 응으민중언어외국어영어프랑스어러시아어프랑스어프랑코포니교육역사과거 시험유교공산주의소련중화인민공화국북한공산주의일본유럽미국문화미디어베트남의 소리베트남인의 이름중국쭈엔 끼에우아오 자이아오 자이아오 자이아오 자이쌀간장생선 소스음악경극단 짜인불교기독교로마 가톨릭교회개신교까오다이교호아하오교신흥 종교까오다이교호아하오교종교의 자유불교불교유교공산주의종교부처님 오신 날음력 4월 15일공산주의노동자음력 3월 10일9월 2일10월12월뉴질랜드대한민국러시아말레이시아멕시코미국페루베트남브루나이싱가포르오스트레일리아인도네시아일본중화 타이베이중화인민공화국칠레캐나다태국파푸아뉴기니필리핀홍콩
(function()var node=document.getElementById("mw-dismissablenotice-anonplace");if(node)node.outerHTML="u003Cdiv class="mw-dismissable-notice"u003Eu003Cdiv class="mw-dismissable-notice-close"u003E[u003Ca tabindex="0" role="button"u003E숨기기u003C/au003E]u003C/divu003Eu003Cdiv class="mw-dismissable-notice-body"u003Eu003Cdiv id="localNotice" lang="ko" dir="ltr"u003Eu003Cpu003Eu003Ca href="/wiki/%EC%9C%84%ED%82%A4%EB%B0%B1%EA%B3%BC:%EA%B3%BC%ED%95%99%EC%9D%98_%EB%8B%AC_%EC%97%90%EB%94%94%ED%84%B0%ED%86%A4" title="위키백과:과학의 달 에디터톤"u003E과학의 달 에디터톤u003C/au003E이 4월 30일까지 진행됩니다. 관련 u003Ca href="/wiki/%EC%9C%84%ED%82%A4%EB%B0%B1%EA%B3%BC:%EA%B3%BC%ED%95%99%EC%9D%98_%EB%8B%AC_%EC%97%90%EB%94%94%ED%84%B0%ED%86%A4#오프라인_모임" title="위키백과:과학의 달 에디터톤"u003E오프라인 모임u003C/au003E이 서울 정독도서관에서 4월 27일에 열립니다.nu003C/pu003Eu003C/divu003Eu003C/divu003Eu003C/divu003E";());
베트남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다른 뜻에 대해서는 베트남 (동음이의)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베트남 사회주의 공화국 | |||||
---|---|---|---|---|---|
Cộng hòa xã hội chủ nghĩa Việt Nam | |||||
| |||||
표어 | Độc lập - Tự do - Hạnh phúc (베트남어: 독립, 자유, 행복) | ||||
국가 | 진군가 | ||||
수도 | 하노이 북위 21° 02′ 00″ 동경 105° 51′ 00″ / 북위 21.033333° 동경 105.8500° / 21.033333; 105.8500 | ||||
최대 도시 | 호찌민시 북위 10° 46′ 10″ 동경 106° 40′ 55″ / 북위 10.769444° 동경 106.681944° / 10.769444; 106.681944 | ||||
하노이 호찌민시 | |||||
정치 | |||||
공용어 | 베트남어 | ||||
정치체제 | 일당제 | ||||
베트남 공산당 중앙집행반 총비서 | 응우옌푸쫑 | ||||
국가주석 총리 국회주석 | 응우옌푸쫑 응우옌쑤언푹 응우옌티낌응언 | ||||
역사 | |||||
독립 | 프랑스로부터 독립 | ||||
• 독립선언 | 1945년 9월 2일 | ||||
• 승인 | 1954년 | ||||
• 통일 | 1976년 7월 2일1 | ||||
지리 | |||||
면적 | 330,341km2[1] (65 위) | ||||
내수면 비율 | 1.3% | ||||
시간대 | (UTC+07:00) | ||||
DST | 없음 | ||||
인구 | |||||
2016년 어림 | 91,700,000명 (14위) | ||||
인구 밀도 | 253명/km2 (31위) | ||||
경제 | |||||
GDP(PPP) | 2012년 어림값 | ||||
• 전체 | $3,206억 (40위) | ||||
• 일인당 | $3,547 (130위) | ||||
HDI | 0.617 (127위, 2012년 조사) | ||||
통화 | 동 (VND) | ||||
기타 | |||||
ISO 3166-1 | 704, VN, VNM | ||||
도메인 | .vn | ||||
국제 전화 | +84 | ||||
11975년 4월 30일까지는 남베트남과 북베트남으로 갈라져 있었다. |
베트남 사회주의 공화국(베트남어: Cộng hòa xã hội chủ nghĩa Việt Nam꽁호아싸호이쭈응이어비엣남/ 共和社會主義越南 공화사회주의월남?, 문화어: 윁남사회주의공화국)은 동남아시아 국가이다. 약칭은 베트남이다. 주요 도시로는 하노이, 호찌민시, 다낭, 하이퐁, 호이안, 후에 등이 있다.
목차
1 개요
2 명칭
3 역사
3.1 선사 시대
3.2 고대
3.3 중세
3.4 근대
3.5 현대
3.5.1 항불전쟁
3.5.2 베트남 전쟁
3.5.3 전후 시대
4 자연 환경
4.1 지리
4.2 기후
5 정치
5.1 행정 구역
5.2 사법
5.3 대외 관계
5.4 군사
6 경제
6.1 경제사
6.2 산업
6.2.1 유통업
6.2.2 서비스업
6.3 교통
7 사회
7.1 주민
7.2 언어
7.3 교육
8 문화
8.1 지방의 문화차이
8.2 사회주의와 공산주의의 영향
8.3 이름
8.4 문학
8.5 의상
8.6 요리
8.7 음악
8.8 종교
8.9 생활
8.10 공휴일
9 각주
10 외부 링크
10.1 베트남
10.2 대한민국
개요
북쪽으로는 중국, 서쪽으로는 라오스 및 캄보디아와 국경을 접하고, 동쪽과 남쪽으로는 동해에 면해 있다. 면적은 약33만 341km²이다. 인도차이나 반도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나라로 최근 인구 통계에서는 9649만 명으로 조사되어,[2] 세계에서 13번째로 인구가 많은 나라이다. 나라의 명칭인 비엣남(Việt Nam)은 1945년부터 공식적으로 사용되고 있는데, 이것은 오늘날 베트남 북부와 중국 남부를 지배하였던 옛 베트남 왕조인 남월(베트남어: Nam Việt남비엣/ 南越)의 명칭을 거꾸로 쓴 것이다.
수도는 하노이이며, 최대 도시는 호찌민시이다. 공산주의 국가이지만, 중화인민공화국과 같은 시장경제체제를 가진 명목상 공산주의 국가다.
고대 베트남은 중국의 지배를 받았으나 938년 박당 전투에서 응오 왕조의 시조인 응오꾸옌(베트남어: Ngô Quyền/ 吳權)이 오대 십국의 하나인 남한과 싸워 이겨 독립하였다.[3] 독립 이후 베트남의 왕조들은 지속적으로 영토를 확장하여 인도차이나 반도의 동안을 따라 남쪽으로 국경을 넓혀갔으며, 이러한 영토 확장은 청나라와의 청불 전쟁에서 승리한 프랑스의 식민 지배가 시작될 때까지 계속되었다.
프랑스의 식민 지배를 받는 동안 베트남은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의 일부로 편입되었다. 베트남은 프랑스 식민 지배 기간 동안 계속하여 독립 운동을 벌였고, 제2차 세계대전 기간에는 일본의 지배를 받기도 하였다. 전쟁이 끝난 후, 1945년 9월 2일 호치민은 하노이의 바딘 광장에서 베트남의 독립을 선언하고 베트남 민주 공화국의 수립을 선언하였다.[4] 그러나, 프랑스는 베트남의 독립을 인정하지 않았고, 프랑스와 베트남은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을 벌이게 되었다. 1954년 3월 13일 디엔비엔푸 전투에서 베트남군이 대승을 거두고 프랑스군이 철수를 하면서 베트남은 독립을 맞게 되었다.[5] 그러나 서구 열강은 제네바 협정을 통해 베트남을 다시 북위 17도를 기준으로 남북으로 분단시켰고, 약속하였던 전국 선거를 거부한 채 응우옌 왕조의 마지막 황제 바오 다이를 왕으로 내세워 베트남국을 수립하였다.[6] 베트남은 얼마 지나지 않아 응오딘지엠의 쿠데타로 붕괴하고 베트남 공화국이 세워져 남북의 대결이 시작되었다. 미국은 도미노 이론을 내세워 베트남에 개입하였으며 통킹만 사건을 빌미로 베트남 전쟁이 벌어지게 되었다. 베트남 전쟁 기간 동안 미국은 제2차 세계대전에서 사용한 것보다 훨씬 많은 폭탄을 북베트남 지역에 투하하였고 막강한 화력과 인력을 동원하였으나, 베트남의 끈질긴 저항과 전쟁을 계속하는 동안 일어난 전 세계와 미국 내의 반전 여론에 밀려 결국 1973년 파리 협정을 맺고 철군하였다. 1975년 북베트남은 사이공을 점령하였고, 1976년 7월 2일 베트남 사회주의 공화국을 수립하였다.[7] 전쟁 후 베트남은 전후 복구와 공산주의 경제체제를 통한 발전을 도모하였으나, 1979년 크메르 루주와 전쟁을 치렀고,[8]중화인민공화국과도 국경분쟁으로 중국-베트남 전쟁을 치르는 등 순탄하지 않았다.[9] 1986년 베트남 공산당은 도이 머이를 시작하여 혼합 경제를 도입하였고,[10] 2000년에는 거의 대부분의 국가와 수교를 맺었다.
명칭
베트남의 국명 비엣남(Việt Nam 越南, 월남)은 베트남 북부에서 중국 남부에 이르렀던 기원전 2세기의 고대 국가 남비엣에서 유래하였다.[11] 비엣(Việt, 越)은 백월(Bách Việt, 百越)족을 뜻하는 말이다.[12] 비엣남이란 낱말이 처음 등장한 것은 16세기 베트남의 시인 응우옌 빈 키엠의 시 삼짱찐(Sấm Trạng Trình, 讖狀程, 섬상정)이다. 이후 비엣남은 점차 베트남을 가리키는 일반적인 명칭이 되어, 1905년 베트남의 판보이쩌우(Phan Bội Châu, 潘佩珠)와 중국의 량치차오(梁啓超)가 일본의 요코하마에서 월남의 식민지화에 대해 나눈 대담은 《월남망국사》라는 제목으로 출간되었다.[13] 비엣남은 1945년 프랑스로부터 독립을 선언한 베트남 민주 공화국 이후 공식적인 국명이 되었다. 비엣남이 맞는 명칭이지만, 한국에서는 일본식 발음인 "베트남"을 국명으로 표기하고 있다.
역사
선사 시대
베트남에는 구석기 시대 이래 인류가 살아왔으며 인도차이나 반도에서 인도네시아 제도에 이르는 지역에 산재하고 있는 석기 문화 유적이 많이 발굴되고 있다.[14] 베트남의 건국신화인 락롱꿘, 어우꺼 신화는 약 4,000년 전 락롱꾸언(베트남어: Lạc Long Quân/ 貉龍君 ❲용(龍)의 우두머리❳)과 어우꺼(베트남어: Âu Cơ)가 결혼하여 많은 베트남 부족들의 선조가 태어났다고 말하고 있다.[15]
고대
베트남에 세워진 최초의 문명은 동손 문화이다. 동손 문화는 기원전 300년 경 청동기 문명으로 동남아시아 여러 지역에서 발생하였으며 베트남 북부를 비롯한 인도차이나 반도 여러 곳을 지배하였다.[16]마강(Sông Mã)과 홍강 유역에서 기원전 1200년 경의 습식 벼농사와 정교하게 만든 북과 같은 청동 주물들이 발견되었다. 동손 문화의 청동 무기, 도구, 북과 같은 유물들을 만든 청동 주물 기술은 동남아시아에서 독자적으로 발전한 것이다.[17][18] 동손 문화는 독자적인 청동기 문화를 이루었고, 홍방 왕조는 베트남 최초의 국가인 반랑(문랑, 베트남어: Văn Lang, 文郎)을 세웠다.[19]
기원전 257년 홍방 왕조가 무너지고 툭판 왕조가 세워졌으며, 툭판 왕조는 다시 기원전 208년 남비엣에게 멸망당하였다. 기원전 111년 중국의 한나라의 무제는 남비엣을 정복하였다. 기원전 111년부터 10세기 초까지 대부분의 시기 동안 베트남은 중국 왕조들에 의해 지배되었다.[20]쯩 자매와 바찌에우(Bà Triệu)와 같은 산발적인 독립운동은 짧은 기간 성공하기도 하였으나 중국의 무력에 곧 진압되었다.
중세
938년 박당 전투에서 응오 왕조의 시조인 응오꾸옌(베트남어: Ngô Quyền, 吳權)이 오대 십국의 하나인 남한과 싸워 이겨 독립하였다.[21] 그러나 응오 왕조는 오래 가지못하였고, 딘 왕조가 그 뒤를 이었다.
이후, 베트남에서는 전 레 왕조, 리 왕조, 쩐 왕조, 호 왕조와 같은 왕조들이 그 뒤를 이었다. 호 왕조는 1406년부터 1407년까지 이어진 명나라의 침공을 막지 못하였고, 베트남은 역사상 네 번째 중국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22]
근대
1418년 농민들을 규합하여 독립 전쟁을 벌인 레러이는 명나라를 축출하고 1428년 다이비엣(Đại Việt)의 황제가 되었다. 이렇게 세워진 후 레 왕조는 잠시 막 왕조에게 멸망하기도 하였으나 부흥 운동에 성공하여 1778년까지 베트남을 지배하였다. 그러나, 부흥 운동 이후의 후 레 왕조는 사실상 독립적인 정부를 구성하는 두 가문인 찐 주와 응우옌 주의 남북조로 분리되어 있었다. 1777년 격화되는 농민 항쟁을 막지 못한 후 레 왕조는 결국 멸망하고 떠이선 왕조가 세워졌다.[23]
후 레 왕조가 멸망한 후 남부 실권자였던 응우옌 주는 떠이선 왕조를 격파하고 베트남의 마지막 왕조인 응우옌 왕조를 세우게 되었다.
응우옌 왕조의 2대 황제 민망제가 로마 가톨릭 선교사 박해사건을 일으키자, 영국과 경쟁하여 일찍부터 인도차이나로의 진출을 꾀하고 있었던 프랑스의 나폴레옹 3세는 로마 가톨릭 탄압을 구실로 삼아,[24]1858년 다낭을 공격하고 이듬해에는 사이공을 점령하였다. 그 후 프랑스는 베트남의 북부 및 중부를 공략하여 1884년에는 베트남의 전국토가 프랑스의 식민지로 되었다. 청나라와의 청불 전쟁에서 승리한 프랑스는 베트남을 제2차 세계 대전 때까지 통치하였다.[25]
현대
항불전쟁
1882년 프랑스의 보호국이 되면서 민족의 독립을 표방하는 반(反)프랑스운동이 맹렬히 추진되었고 프랑스 세력에 대항하기 위한 베트남인의 독립운동은 20세기에 들어와서 활발하게 전개되었는데, 중화민국·일본 등지에 그들의 독립운동 단체가 만들어졌다. 이 과정에서 호찌민이 주도하는 베트남 공산당이 결성되었다. 공산당은 그 후 각파의 정치세력을 규합하여 비엣민을 설립하고 2차대전의 종결을 맞이했다. 제1차 세계대전을 계기로 민족자결주의의 영향을 받아 1927년에는 베트남 국민당이, 1930년에는 인도차이나 공산당이 조직되었다. 제2차 세계대전이 발발하여 일본이 베트남에 침입하자, 많은 민족주의 세력 중 가장 조직력이 뛰어났던 공산주의 계열은 베트남 독립연맹(비엣민)을 결성하였다.
1945년 8월 전쟁이 끝나자 비엣민을 중심으로 베트남민주공화국이 성립되었다. 그러나 프랑스는 전쟁 전의 지배권을 되찾고자 다시 군대를 파견하였고 이는 호찌민이 지도하는 민족 세력인 비엣민(월맹)과 남북으로 대립하게 된다. 이로 인해 1946년 말부터 양국 사이에는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이 일어났다. 1954년 3월 13일 디엔비엔푸 전투에서 베트남군이 대승을 거두고 프랑스군이 철수를 하면서 베트남은 독립을 맞게 되었다.[5] 그러나, 서구 열강은 제네바 협정을 통해 베트남을 다시 북위 17도를 기준으로 남북으로 분단시켰고, 약속하였던 전국 선거를 거부한 채 응우옌 왕조의 마지막 황제 바오 다이를 왕으로 내세워 베트남국을 수립하였다.[6] 베트남국은 얼마 지나지 않아 응오딘지엠의 쿠데타로 붕괴하고 베트남 공화국이 세워져 남북의 대결이 시작되었다.
베트남 전쟁
미디어 재생
베트남은 북베트남과 남베트남으로 분단되었고 1964년부터 1975년까지 베트남은 미국에 맞서서 베트남 전쟁(제2차 인도차이나 전쟁)을 치러야 했다. 미국은 도미노 이론을 내세워 베트남에 개입하였으며 통킹만 사건을 빌미로 베트남 전쟁이 벌어지게 되었다. 베트남 전쟁 기간 동안 미국은 제2차 세계대전에서 사용한 것보다 훨씬 많은 폭탄을 북베트남 지역에 투하하였고 막강한 화력과 인력을 동원하였으나, 베트남의 끈질긴 저항과 전쟁을 계속하는 동안 일어난 전 세계와 미국 내의 반전 여론에 밀려 결국 1973년 파리 협정을 맺고 철군하였다. 1975년 북베트남은 사이공을 점령하였고, 1975년 베트남의 전 지역을 점령하므로써 베트남은 공산주의 체제인 베트남 사회주의 공화국을 수립하였다.[7]
전후 시대
전쟁 후 베트남은 전후 복구와 계획 경제체제를 통한 발전을 도모하였으나, 1979년 크메르 루주와 전쟁을 치렀고,[8]중화인민공화국과도 국경분쟁으로 중국-베트남 전쟁을 치르는 등 순탄하지 않았다.[26] 1986년 베트남 공산당은 도이 머이를 시작하여 시장 경제를 도입하였고, 2000년에는 거의 대부분의 국가와 수교를 맺었다.[27]
자연 환경
지리
베트남은 인도차이나 반도에 동단에 남북으로 약 1,600km에 걸쳐 길게 뻗어 있다. 동해에 연해 있으며 최대 너비는 약 650km로 이 길이는 라오스와 맞닿은 북부 국경에서 통킹 만에 이르는 거리이다. 국토는 크게 북부 고원 지대, 홍강 삼각주, 안남산맥, 해안 저지대, 메콩강 삼각주의 다섯 지역으로 이루어진다.
- 북부 고원 지대
- 북서부에 있는 산악 지대로 중국과 라오스 영토 안까지 뻗어 있다. 이 지역의 산들은 대부분 숲이나 밀림으로 덮여 있어 인적이 드믈거나 일부지역을 제외하고는 사람이 거의 살지 않는다. 베트남에서 가장 높은 산인 판시판산(3,143m)도 이 지역에 있으며, 몽족 등 소수민족이 경작하는 계단식 논과 판시판산으로 운행하는 케이블카가 있는 사빠 등이 위치한 라오까이성도 있다. [29]
- 홍 강 삼각주 (송코이 강 삼각주)
- 북부 고원 지대에서 통킹 만까지 뻗어 있으며 거의 전역이 해발 3m 이하의 저지대이다. 홍강 삼각주는 베트남 북부에서 주요한 농경 지대로 옛부터 베트남 민족의 활동 무대였다.
안남산맥(쯔엉썬 산맥)
- 북부 고원 지대에서 서부 지역을 가로질러 호찌민시에서 북쪽으로 약 80km 떨어진 지점까지 뻗어 있다. 중부 지역은 대부분이 안남 산맥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평야는 해안에 접해서 대상(帶狀)으로 좁게 달리고 있을 뿐이다. 게다가 산맥이 해안으로 바싹 다가서 있으므로 좋은 항만이 없다. 이 산맥의 고지에는 타이족 이외에 먀오족·모이족·몬타냐족 등 많은 부족이 살고 있다.
- 해안 저지대
- 베트남의 중동부 지역을 차지하고 있다. 산지에서 남중국해 쪽으로 비스듬히 비탈져 있고 송코이강 삼각주에서 메콩강 삼각주까지 펼쳐져 있다. 해안 저지대 거의 전역에서 쌀을 생산한다. 해안에 사는 사람들은 대부분 어업에 종사한다.
- 메콩강 삼각주
- 베트남의 남부 지역을 모두 차지하고 있는 메콩강 삼각주는 해발 3m 이하의 저지대이다. 베트남 주민의 절반 이상이 이곳에 살고 있는 주요 농업 지대이다. 베트남 민족은 17세기에 들어와서 선주민인 크메르족을 쫓아내고 이 미래의 곡창 지대를 지배하게 되었다.[30]
기후
열대 계절풍으로 5월부터 10월까지는 많은 비를 몰고 오며, 11월부터 4월까지는 동북 건조기간이 된다. 북부 일부 지역은 사계절이 나타나고 습도가 90%의 비중을 차지한다. 남부 지방은 일년 내내 건조하고 여름에 비가 집중적으로 내린다. 중부 지방에는 베트남에서 가장 건조한 지역과 가장 습한 지역이 자리잡고 있다. 산악 지방은 삼각주나 해안 저지대보다 대체로 기온이 낮고 비가 더 많이 온다.[31]
정치
베트남 역대 지도자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옛 월맹은 1969년 호찌민이 세상을 떠난 뒤 쯔엉찐 국민의회 상임위 주석, 레주언 베트남 공산당 제1서기, 팜반동 총리 등 3인을 중심으로 집단지도 체제를 채택했다. 구 월맹은 월남이 공산주의 국가가 된 후 월남 임시혁명정부와 함께 1여 년간의 남북통일 준비작업을 끝내고 1976년 4월 25일 30년 만에 처음으로 국가최고 권력기구인 492석의 남북단일 국민의회를 구성하기 위한 총선거를 실시했다.
이 선거로 인구 10만 명당 1석을 기준으로 하는 배분원칙에 따라 북베트남에서 249석, 남베트남에서 243석을 선출했다. 남북 베트남의 18세 이상의 유권자들이 참가한 총선은 남북 베트남의 공산주의 정권이 전국의 노동자·농민·여성·산악부족 및 그 밖의 소수인종에서 선정한 후보자 중에서 국민의회 대표들을 선출했으며 야당후보는 없었다.
총선거를 통해 구성된 남북 베트남 단일 국민의회는 1976년 7월 역사적인 통일 베트남 수립을 선포하고 국호를 베트남 사회주의공화국으로 하였다. 수도는 하노이로 정하는 한편 초대 주석으로 구 월맹의 마지막 주석 똔득탕을, 그리고 2명의 부주석으로는 응우옌르엉방 및 응우옌흐우토를 선출하였다. 또한 옛 월남 수도 사이공을 호찌민시로 개칭하고 국기는 종래의 월맹기였던 〈금성홍기〉(金星紅旗)를 그대로 쓰기로 하였다.
국민의회는 통일 베트남의 새 헌법을 마련할 36명의 헌법기초위원회를 구성하는 동시 새 헌법이 공포될 때까지 1959년도 월맹 헌법을 계속 사용하기로 결정했다. 입법기관으로 국민의회가 있고 각 성(省)에 각급 인민회의가 있다. 단원제이며 임기는 5년, 매년 2회 소집된다. 주석, 부주석과 간부의원 15명으로 구성되는 상임위원회가 실질적인 입법기능을 행사한다.
1991년 6월 제7차 당대회에서 도이모이 추진에 중심 역할을 해온 도므어이가 총서기로 선출됐으며, 동 8월의 내각개편에서 개혁파인 보반끼엣 총리로 선출됐다. 1996년 6월의 공산당 전당대회에서도 ‘도이모이 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것을 재확인 했다. 2001년 4월 농득마잉 서기장이 취임했다.[32]
행정 구역
베트남의 행정 구역은 63개 성(베트남어: tỉnh띤/ 省)으로 이루어져 있다. 수도인 하노이를 포함하여 껀터, 다낭, 하이퐁, 호치민은 성과 같은 급의 직할시이다.
베트남 정부는 가끔씩 지방을 8개의 지역으로 구분짓는다. 이러한 지방 구분은 항상 사용되는 것은 아니며, 대체 분류로 가능하다.
사법
베트남 사법부의 최정점에는 상소심과 사법심사를 담당하는 최고인민법원 (베트남어: Tòa án Nhân dân Tối cao/ 人民最高)이 있다. 최고인민법원은 베트남 의회에 보고를 하는데, 의회는 사법부의 예산을 통제하고 대통령이 제안한 최고인민법원 판사 후보와 대검찰청 검사 후보를 확정한다. 대검찰청은 체포영장을 발부하는데, 때로는 소급적용을 하기도 한다. 최고인민법원 산하에, 지방법원과 군사법원, 행정, 경제, 노동법원이 있다. 지방법원은 제1심을 관할하는 법원이다. 국방부는 군사법원을 관할하는데, 일반법원과 같은 절차를 적용한다. 군 판사와 담당 직원들은 국방부와 최고인민법원이 선출하는데 감독책임은 최고인민법원에게만 있다. 헌법에는 판사와 담당 직원(행정 능력이 떨어짐)들의 독립성을 규정하고 있으나, 미국 국무부는 베트남의 사법부의 독립성이 부족하며 이것은 부분적으로, 베트남 공산당이 판사를 선택하고 그들에게 정치적 책임을 묻기 때문이라고 한다. 더욱이, 공산당은 국가나 당의 지배적인 지위를 위협할 만한 판결의 결과에 영향을 주기 위해 모색한다. 사법부의 독립성을 향상할 목적으로, 정부는 지방법원을 법무부에서 최고인민법원으로 2002년 9월에 이관하였다. 그러나, 미국 국무부는 앞서 말한 목적이 실제로 이행되었는지에 대해서는 아무런 증거가 없다고 밝히고 있다. 베트남 사법부는 또한 법조인의 부족과 초보적인 재판절차로 인하여 방해받고 있다. 사형 집행은 부패 또는 마약밀매 사건의 경우 자주 집행되고 있다. 베트남의 형법은 전통적인 유교 사상, 나폴레옹 법전 그리고 호치민 사상이 영향을 끼친 결과이다.[33] 일본이 베트남과 협력하여 베트남의 법제를 정비하고 법률가 양성시스템을 선진국형으로 구축하여 지원한 사업은 현재까지 대단히 성공적인 것으로 평가된다.[34]
대외 관계
2007년 12월 기준, 베트남은 172개 국가와 외교관계를 수립하였다.[35]1992년 중화인민공화국과 스프래틀리 군도 영유권을 놓고 분쟁이 있었다. 미국과는 1975년 이후 계속되어 왔던 대 베트남 금수조치가 1994년 2월 해제되고, 1995년 1월 양국간에 상호연락사무소가 개설된 데 이어 동 7월 11일에 국교정상화가 이루어졌다. 또 1995년 1월 독일과 정치·경제 협정을 체결하였으며, 동 4월에는 오스트리아와 4개 경제협정을 체결했다. 대한민국과는 1992년 수교했다. 수단과는 1969년 8월 26일에 외교관계를 수립하였다.[35] 한편 유엔 등 국제기구들에 대한 외교도 활발히하여 1976년 9월 국제통화기금(IMF) 및 세계은행(IBRD)에 가입했으며 1995년 7월에는 아세안(ASEAN)의 7번째 회원국이 되었다.[32]
군사
베트남의 군사조직은 육군, 해군, 공군, 그리고 국경 수비대로 구성되어 있다. 1950년 이후 인도차이나 전쟁을 통해 프랑스, 미국, 중국 등 열강에 승리를 거두었고, 캄보디아와의 전쟁에서 모두 승리함으로써 군사력을 증명하였다.
군사력을 증강하고 있지만 국방비가 없어서 힘든 상황이다. 베트남 해군은 킬로급 잠수함 등을 운용 중이다.
UAV 연구제작 프로젝트에서 5종의 UAV를 개발하였고 대량 양산에 들어갈 것이다.
경제
베트남은 정부개발원조와 외국투자가 경제를 견인하고 있다. 공산화 이후 경제 기반이 무너져 가난한 생활을 하다가, 1986년 "도이 머이"라는 슬로건 하에 실용주의적 경제 정책을 도입하기 시작하였다. 1980년대말부터, 외국인의 재산 투자를 보호하는 여러 법이 개정되었고, 1990년대에는 ASEAN 등 국제 사회에 편입되기 시작하였다. 이 개혁 기간동안 10%에 가까운 경제 성장률을 거듭하다가 2000년대 중반 이후 침체기가 되었다. 세계금융위기로 일시적으로 추락하였던 GDP의 성장율은 2009년 5.3%, 2010년 6%(예상)로 안정적인 성장이 지속되고 있다. 베트남의 GDP는 1446억 달러이며 1인당 GDP는 1700달러이다. 중국의 인건비가 상승기조에 있는 점 때문에, 새로운 투자대상국으로서 근년에 주목되고 있다. 이리하여, WTO가입이 정부에 의하여 중요한 목표가 되어 2007년 1월에, 마침내 WTO에 가입하였다. NEXT11과 VISTA의 일원으로서도 손꼽히고 지금 이후부터 한층 경제의 발전이 예상되고 있다. 노동인구의 66%가 농업 등 제1차산업에 종사하고 있으나, 근년에는 제2차, 제3차산업이 급성장하고 있다. 관광업의 신장세가 특히 현저하여, 중요한 외화획득원이 되고 있다. 베트남은 쌀, 후추, 커피의 세계 3대 생산국이자 수출국이다. 대한민국과의 무역도 활발하다. 베트남은 중화인민공화국, 태국 등과 더불어 미래에 매우 유망한 나라 중 하나이다.
경제사
1975년에 공산화 통일된 베트남은 오랜 전쟁 탓에 국토는 황폐하고 공산주의 이식 실패에 따라 경제 기반이 무너져 베트남 국민들의 가난한 생활이 계속되었다. 북부 베트남의 주요 수출품은 석탄·목재·해산물·차 등이었고, 석탄·철광석·인회석·크롬·주석 등의 지하자원이 풍부하다. 남부 베트남의 주요 수출품은 쌀·고무·새우·차 등이었다. 1980년에는 태풍으로 역사상 최대의 인명 피해가 발생해 베트남 경제가 타격을 받았다. 이후 1980년대부터 베트남 정부는 국민들의 먹을거리를 해결해 주기 위하여 계획경제 작업을 중지하고, 새로운 경제 정책, 《도이 머이》 를 채택하여 실시하였다.
1986년 12월 베트남 공산당 제6회 전당대회에서, 부분적인 혼합경제제도를 도입하는 실용주의 경제정책 《도이 머이》 를 채택하여 중국과 마찬가지로 개혁, 개방노선으로 전환하였다. 제4차 5개년 계획 (1986년~1990년) 의 골간으로 1990년까지 2,300만 톤의 식량 생산, 5년간 70%의 수출증대를 선정하는 등 경제의 개방화를 적극 추진했다. 1987년 12월 《외국인 투자법》 이 공표되었고, 1993년에는 《토지법》이 개정되어 토지상속권과 담보권, 사용권이 인정되었다. 다만 토지의 소유권은 공적인 의미에서 계속 국가가 보유하는 것으로 하였다. 1994년에는 《파산법》 이 발효되었고, 2000년 1월에는 기업법이 발효되었다. 1996년의 베트남 공산당 제8회 대회에서는 2020년까지는 공업국으로 진입한다는 목표로, "공업화와 현대화"를 2대 전략으로 하는 정치보고를 채택하였다.
또한 1995년 ASEAN 및 AFTA 가입을 시작으로, 1998년에는 APEC에 가입하였고, 2000년 7월에는 베트남-미국 무역협정에 서명하였다. 2000년 7월에는 호치민시에 최초로 〈증권거래센터〉가 개설되었으며, 2005년에 하노이로 확대 개설되었다. 2007년 1월에는 WTO에 정식으로 가입되었고, 2008년 12월에는 베트남-일본 경제연대협정(EPA)에 공식 서명을 하였다.
《도이 머이 정책》 이후 베트남 경제는 1989년 이래 연평균 8% 이상의 높은 성장률을 달성했으며 1995년, 1996년에도 9% 이상의 고속성장을 지속했다.[36]2008년의 GDP 성장률은 6.23%로 최저 성장을 기록하였고, 2009년은 5%로 하향조정하였으나, 세계 경제의 침체로 인해 더욱 낮아질 전망이다.
현재는 옛날의 가난에서 크게 벗어났으며 빠르게 경제 발전을 하고 있지만 빠른 경제 발전의 후유증도 같이 겪고 있다. 2004년부터 빠르게 물가가 상승하여, 2008년에는 22.97%로 최고의 물가 상승률을 기록하였다. 더욱이 국제 원자재 가격의 급등과 베트남 동화의 평가절하 등으로 인플레이션율이 2008년 25%를 초과할 정도로 상승하면서 위기의 상황이 오기도 하였다.
토지의 사유화 및 농지의 전용이 가능해 진 이후 골프장 건설과 같은 개발 사업이 크게 늘어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다. 2010년 기준 베트남의 골프장 개발 허가 수는 140여 곳에 달한다.[37] 경작지 감소와 그에 따른 고용 감소를 우려한 베트남 정부는 2008년 이후 농지 전용 억제 정책을 펴고 있다.[38]
산업
베트남의 주요 산업은 2008년 GDP 기준으로 39.91%를 차지하는 제조, 건설업 즉, 2차 산업이며, 농림, 수산업의 1차 산업은 21.99%에 이른다. 3차 산업인 서비스업은 38.10%로 높은 성장률을 이루어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체 노동인구의 53.9%가 농림, 수산업에 종사를 하며 이들은 쌀, 고무, 사탕수수, 커피, 열대 과일 등과 새우 등의 수산물 등을 생산하고 있다. 메콩 삼각주에서 생산되는 쌀이 국민의 주식인 동시에 수출품목의 대종을 이루었다. 1989년 자급을 달성한 이래, 중화인민공화국과 미국을 이어 3대 쌀 생산국이다. 남부에서는 2년7모작이 이뤄지며, 세계 2위 쌀 수출국이기도 하다. 그 외에 커피와 차, 향신료도 유명하다. 커피는 현재 브라질에 이어 세계 제2위의 생산량(99만톤, 2003년)에 달하고 있다. 대부분이 인스탄트 커피, 캔과 펫트병에 들어가는 청량음료, 제과 용도로 사용되는 값이 싼 로브스타 종(카네포라 종)인데, 레귤러 커피에 사용되는 고급품인 아라비카 종의 재배도 시작되고 있다. 또한 현지에서는 기본적으로 식민지 지배를 받아 프랑스의 방식을 따른 베트남 커피가 음용되고 있다. 베트남은 석탄, 석유를 중심으로 한 동력자원, 주석을 중심으로 한 광물자원의 혜택을 입고 있다. 북부 하롱(홍게이)에서 산출되는 석탄은 상질의 무연탄으로, 19세기말부터 홍게이탄으로서 채굴이 시작되었다. 2003년 시점의 채굴량은 1670만톤이다. 베트남은 중국과 서방 세계와의 합작으로 이루어진 석유개발을 통해 산유국이 되어 1660만톤의 원유를 생산한다. 천연가스의 채취량은 126천조 줄이다. 광물자원은, 북부 삼각주 주위의 구릉지대를 중심으로 생산된다. 가장 중요한 것은 세계 제4위의 주석(4000톤, 세계 점유율 1.5%, 2005년)이다. 아연, 금, 크롬, 철, 납, 인도 산출된다.
- 무역
주요한 수출품목은 원유, 의류, 농수산물이다. 수출품목의 제1위는 석유로서, 2002년 시점에는 수출총액의 19.6%를 차지하였다. 쌀은 450만톤(2008년)을 수출함으로써 타이에 이어 세계 제2위의 수출국이었으나, 현재는 수출제한조치를 하고 있다. 커피는 2008년 20억 달러 이상을 수출한 세계 제2위의 수출국이며, 후추는 2008년을 기준으로 115만톤을 수출하여 세계 1위의 수출국이기도 하다.
유통업
베트남 유통업태는 특히 도시지역에서 과거 몇 년 동안 전통적인 재래시장으로부터 현대화된 수퍼마켓과 쇼핑센터로 점진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는 수입상품의 취급확대를 촉진하고 있다. 1999년 2개의 대형수퍼마켓에서 2004년에는 전국적으로 85개가 넘는 현대화된 수퍼마켓이 운영되고 있다.
베트남의 입장에서 한국은 2008년을 기준으로 9위의 수출국이며, 5위의 수입국이자, 6위의 교역국이기도 하다. 2008년을 기준으로 투자국 순위로는 4대 투자국이며, 베트남에 투자건수는 총 9,494건이며, 총 등록액은 1,320억 달러였다.[39]
서비스업
2009년말 현재 베트남의 전화 가입자수는 모두 1억3천40만여명으로 이 가운데 85%가 휴대전화 서비스 가입자로 집계됐으며, 비엣텔 등 일부 선도 회사들은 매년 30% 이상의 높은 신장세를 보여왔다. 정보통신부는 2009년 8월, 8번째 서비스업체로 인도차이나 텔레콤에 대해 사업허가를 승인했고, 2010년 6월에는 VTC가 정부로부터 이통 서비스 허가를 받았다. 이에 따라, 베트남 이동통신 시장은 비나폰, 모비폰, 비엣텔, S-Fone 등 선발 4개업체들과 EVN텔레콤, 베트남모빌, 비라인, 인도차이나텔레콤, VTC 등 후발 5개사들 간에 치열한 고객확보 경쟁이 벌어질 전망이다.[40]
교통
베트남의 현대적 교통 체계는 프랑스 식민지 시대에 수확한 농산물울 운송할 목적으로 발달하기 시작하였고, 베트남 전쟁의 결과 파괴된 교통 체계를 재건하고 현대화하였다. 가장 일반적인 교통 수단은 도로 운송이며, 도시 간 이동에 일반 시외버스와 오픈 투어 버스(Open tour bus)를 이용할 수 있다. 2,654km의 단선 철도는 중화인민공화국과 연결이 되며 하노이와 호찌민시 간을 연결하는 철로가 중요하다. 베트남의 차량은 우측통행을 하며 2륜차가 매우 많다.
사회
베트남은 2006년 '5대 부정부패' 사건으로 큰 혼란을 겪었다. 교통부 고위 관리들이 외국의 자금을 지원받아 도로를 건설하는 프로젝트(PMU18)를 추진하는 과정에서 700만달러를 사적으로 유용해 파장을 일으켰다. 이 때문에 교통부 장관이 책임을 지고 물러나기도 했다. 베트남 교통경찰과 토지 등록 사무소, 세관 및 세무서에서도 흔히 뇌물을 요구하거나 받는 것으로 드러났다.[41]
주민
베트남의 인구는 약 8,162만(2003년)으로, 그 90%가 베트남인이다. 그 밖에 타이인·중국인·크메르인 등이 있으며 산악지대에는 미오·랭이·몬타냐 등 많은 부족이 살고 있다.[42] 베트남은 다민족 국가로서 베트남 정부가 공인하는 민족의 수가 54개에 이른다. 최대 민족은 킨족(京族) 또는 비엣족(越族)으로 보통 베트남인이라고 할 때 다수종족인 이 킨족을 가리키는 경우가 많다. 킨족은 베트남 전체의 86.2%를 차지한다. 므엉족과 같은 대부분의 소수 민족은 킨족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국토의 2/3를 덮고 있는 산악지대에서 발견된다. 킨족 내부에서도 서로 다른 역사적 배경과 정체(政體)를 거친 북부인과 남부인은 여러가지 면에서 대조적인 신체적 특징과 정치, 경제적 대립의식을 갖고 있다. 각각의 소수민족은 고유한 언어와 문화를 가지고 있으며 참족과 같이 역사상 독립국가였다가 베트남에 흡수된 민족도 있고, 민족국가를 이루지 못한 채 산간지역에서 생활을 하는 민족도 있다. 호아족과 크메르 크롬은 저지대에서 생활하고 있으며, 킨족을 제외하고 가장 많은 소수 민족은 몽족, 다오족, 따이족, 그리고 눙족이 있다. 1978년에서 1979년에 45만명의 중국계 소수 민족이 베트남을 떠났다.[43] 아울러, 근래 대한민국의 베트남에 대한 투자가 급증함에 따라서 한인동포의 수도 비례적으로 급증하여 베트남 정부가 2012년 기준으로 추산한 자료에 따르면 13만명의 한국인들이 거주하고 있으며, 지속적으로 증가추세에 있다.
언어
베트남의 공식 언어는 베트남어이며 로마자로 적는다. 베트남어는 단철어(單綴語)로 성조에 6성이 있다. 중국의 영향으로 한자가 사용되고 있었으나, 19세기부터 프랑스의 식민통치를 받으면서 베트남어의 로마자 표기가 추진되어 현재 한자는 별로 쓰이지 않는다.[42]꾸옥 응으(베트남어: quốc ngữ/ 國語)로 불리는 이 로마자 표기는 16세기부터 로마 가톨릭 선교사들이 현지어를 로마자로 옮겨 적으려는 작업에 바탕을 두고 있었다. 예수회의 알렉상드르 드 로드는 포르투갈어 철자법을 바탕으로 최초의 안남어 사전을 만들어냈다.
베트남어는 민난어처럼 동아시아의 언어들 중에서 중국어와 유사한 문자 체계에서 로마자로 변경한 흔치 않은 언어 중 하나이다. 이 로마자 표기법은 현지인들의 교육에 널리 사용되었으며 1945년 이후 베트남이 독립한 뒤 공식 표기법이 되었다.
베트남에서는 15세기 말에 한자와 비슷한 문자인 쯔놈이 발생하였지만, 그 사용은 한문에 익숙한 일부 지식인층에 국한되었고, 널리 보급되지 않았으며 20세기 이후에는 사용이 끊어졌다. 이는 프랑스의 식민 정책과 관련이 있다. 프랑스 식민통치자들은 베트남을 지배할 때 베트남의 전통적인 유교 사상을 말살하기 위해서 베트남어를 로마자로 표기하는 꾸옥 응으를 사용하게 하였다.[44] 그러나 처음에 프랑스 식민지배에 대한 반감으로 로마자에 거부감을 표시하던 베트남의 독립운동가들은 베트남 민중들에게 새로운 지식과 근대사상을 보급하기 위해서는 어려운 한문이나 쯔놈으로는 한계가 있음을 절감하여 로마자의 편의성을 인정하고, 이후 로마자를 베트남어의 새 문자로 적극 받아들여 오늘날에는 전통적인 한자문화를 완전히 대체하였다.
베트남은 55종에 달하는 언어의 다양성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들은 다시 6, 7개 정도의 언어 집단으로 나뉜다.
외국어로는 영어를 가장 많이 선호하며, 일부 엘리트 층들은 프랑스어, 러시아어 등을 구사한다. 현재 프랑스어는 식민 지배에 대한 반감 및 프랑스어의 쇠퇴 등으로 인해 거의 감소 추세에 있지만, 베트남은 이미 프랑스어사용국기구(프랑코포니)의 정회원국으로 가입되어 있다.
교육
초등교육은 5년제의 의무교육이다. 중등교육은 전기 4년제, 후기 3년제이다. 베트남의 대학에는 국가대학(총리 직할 학교), 국립대학(지방종합대학), 전문대학(교육훈련성, 후생성, 문과정보성, 인민위원회 등의 소관), 민립 대학이 있으며, 교육비는 대학 과정까지 무료이다.
문화
지방의 문화차이
중국 남부 지방과의 오랜 교류로 인하여, 베트남 문화를 특징짓는 한 가지 요소는 재정적 책임이다. 베트남에서 교육과 자수성가는 높은 가치를 부여받는다. 역사적으로, 중국의 과거 시험을 통과하는 것만이 베트남 사람이 사회적 지위를 높이는 유일한 것이었다. 베트남이 오늘날의 영역으로 통합된 것은 근대의 일로, 그 전에는 유교 및 한(漢)문화의 영향을 받은 북부와 베트남의 주 종족인 킨 족외에 인종적으로 말레이계에 속하는 참파인의 국가였던 참파가 있었던 중부문화권, 그리고 크메르 제국의 영역에 속했던 남부 등으로 나뉘어 있으며, 이 북부, 중부, 남부의 차이는 언어 및 풍속, 문화 등 모든 영역에 걸쳐 존재한다.
중국의 유교 영향을 많이 받았음에도, 베트남에서는 윗사람과 아랫사람이라는 상하 개념은 없고, 서로 스스럼없이 대한다.[45]
사회주의와 공산주의의 영향
공산주의 시대에 베트남의 문화적 삶은 정부가 통제하는 미디어와 공산주의적 프로그램에 많은 영향을 받았다. 수십 년동안 외국 문화의 영향은 차단되고 소련, 중화인민공화국, 북한 등 공산주의 국가의 문화를 음미하고 공유하는 것이 강조되었었다. 1990년대 이래로, 베트남은 일본, 유럽, 미국의 문화와 미디어에 대폭적으로 노출되기 시작하였다. 베트남에는 1945년 9월 2일에 하노이에서 설립된 국영방송국인 베트남의 소리가 있다.
이름
베트남인의 이름은 성, 가운데 이름, 그리고 이름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한국과 마찬가지로 그들의 성씨 제도는 중국에서 도입된 것이다. 한자가 폐지되면서 자신의 이름을 한자로 쓸 수 있는 베트남인은 소수이지만, 이름 뒤에는 한자의 의미가 숨어 있다. 결혼 후에도 자신의 성을 그대로 유지한다.[46]
문학
18세기의 작가 응우옌 주에 의해 저술된 대서사시 쭈엔 끼에우는 베트남 문학사에서 가장 중요한 작품이다. 6.8조의 연서체로 분량은 총 3,254행에 달한다. 특히 이 작품은 쯔놈으로 쓰여진 자료중의 최대의 것으로 베트남의 국민문학으로 불린다.
의상
베트남의 민속 의상 중 가장 대중적인 것은 여성들이 입는 아오 자이이다. 아오 자이는 현재에는 명절이나 결혼 등 행사, 일상의상 등으로 입는다. 흰색 아오 자이는 베트남 전역에서 여학생의 교복으로 지정된 경우가 많고 학생이외에는 다양한 색상의 원단으로 아오자이를 만들어 입는다. 예전에는 성별 구분없이 아오 자이를 입었으나 현재에는 여성용 의복으로 한정된다. 단, 전통 문화 행사에서는 남성이 입는 경우도 있다.
요리
주 요리의 재료는 대개 쌀과 간장, 생선 소스 등이다. 대체적으로 음식의 맛은 달거나 맵거나 시거나 감칠맛이 나며 향채 풀로 인한 민트향과 바질향이 나기도 한다. 유명한 음식은 베트남쌀국수이다.
음악
베트남의 음악은 세 지역, 북부, 중부, 남부 지방 간에 약간의 차이가 있다. 북부 지방의 전통 음악은 베트남에서 역사가 가장 오래된 음악이고, 보다 전통적이며 엄격한 형식을 가진다. 베트남의 전통 음악은 몽골의 침입 시기까지 거슬러 올라가는데, 이때 베트남 사람들은 중국의 경극 극단을 붙잡아 두었다. 중부 지방의 전통 음악은 우울한 멜로디 등 참파 문화의 영향을 보여 준다. 남부 지역의 음악에서는 자유방임적인 삶의 태도가 묻어난다. 베트남의 전통 현악기인 단 짜인은 나무로 만들어졌으며, 현은 철제이고, 각각의 V자 모양으로 된 다리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종교
베트남의 종교로는 불교, 기독교(로마 가톨릭교회, 개신교) 등이다. 베트남은 대승불교권 국가이다. 그 외에 까오다이교와 호아하오교 같은 신흥 종교도 있다. 까오다이교는 1926년 베트남 남부의 터이닌에서 응오반쩨우에 의해 창시된 불교, 기독교와 토속신앙이 혼합된 유일신 사상이며, 호아하오교는 베트남 남부에서 기원한 불교에 바탕을 둔 신흥 종교이다. 1939년 후인 푸 소가 창시하였다. 발원지인 메콩 강 삼각주 지역을 중심으로 대략 200만명의 신자가 있다고 추산된다. 베트남은 과거에는 종교의 자유가 없었지만 예로부터 베트남에서 가장 많이 믿는 종교가 중국, 인도의 영향을 받은 불교였기 때문에 불교나 유교만은 탄압하지 못했다. 현재는 제한적인 종교 활동은 허용되고 있는데, 정부의 허가 없이 찬송가를 부르는 것은 불법이며, 집회는 사전 신고를 하여야 하고 선교는 불법이다. 이것은 공산주의 국가의 종교 정책이 탄압 정책에서 종교를 실용적으로 활용하는 실용 정책으로 변경되었기 때문이다. 특이하게 대승 불교권인데도 부처님 오신 날은 음력 4월 15일이다.
생활
공산주의의 영향으로 개인 별 소득 차가 크지 않다. 남녀 평등 사상이 확산되고, 보통 자녀 수가 많다. 전 국민의 절반 이상이 농촌에 거주한다(급속한 이농 현상). 여성의 사회 활동이 활발하고 여성 노동자의 고용을 장려하고 있다(소득 감면 혜택이 주어진다). 가사 노동을 부부가 분담하며 유교 전통이 드러난다(장손을 중시하고 아들에게 유산 등을 상속하는 행위). 연애 결혼이 증가 추세에 있다.[47]
공휴일
베트남에는 1월 말~2월 초에 뗏이라 해서 최장 7일 간의 연휴가 있으며 음력 공휴일은 음력 3월 10일에 있는 훙왕 기일 하나뿐이고 1년의 마지막 공휴일은 9월 2일 독립기념일이다. 즉, 10월부터 12월까지 공휴일이 하나도 없는 셈이다.
각주
↑ 베트남 국가 기본 정보, 대한민국 외교통상부
↑ 2011년 베트남 통계
↑ “KỷThuộc Tùy Đường” (베트남어).
↑ 전국역사교사모임, 《살아있는 세계사 교과서 2》, 휴머니스트, 2005년, ISBN 89-5862-071-4, 221쪽
↑ 가나 김정형, 《역사 속의 오늘》, 생각의나무, 2005년, ISBN 89-8498-420-5, 167쪽
↑ 가나 Indochina - Midway in the Geneva Conference: Address by the Secretary of State, May 7,1954, Yale Law School
↑ 가나 전국역사교사모임, 《살아있는 세계사 교과서 2》, 휴머니스트, 2005년, ISBN 89-5862-071-4, 252-253쪽
↑ 가나 최호근, 《제노사이드》, 책세상, 2005년, ISBN 89-7013-527-8, 제3부 세계사의 제노사이드 , 제4장 혁명의 이름으로 일어난 제노사이드
↑ 지오 찬성, 김태완 역, 《중국의 외교정책》, 오름, 2001년, ISBN 89-7778-143-4, 84쪽
↑ “Vietnam's new-look economy”. BBC. 2004년 10월 18일.But in 1986 a new set of leaders, following China's example, put aside the old dogmas and embraced the free market.
↑ Woods, L. Shelton (2002). Vietnam: a global studies handbook. ABC-CLIO. p. 38. ISBN 1-57607-416-1.
↑ Yue-Hashimoto, Oi-kan (1972). Phonology of Cantonese. Cambridge University Press. p. 1. ISBN 978-0-521-08442-0. "As a term referring to peoples, Yue is an abbreviation of Bai-Yue (百越 or 百粵, literally hundred Yue's)."
↑ 고병권•오선민, 내이션 이전의 인터내셔널「월남망국사」 의 조선어 번역에 대하여,코뮤넷 수유너머 "『월남망국사』는 월남의 판보이쩌우(潘佩珠, Phan Boi Chau)와 중국의 량치차오(梁啓超, Liang Ch'i Ch'ao)가 1905년 일본의 요코하마에서 나눈 대담을 상하이 광지서국(廣智書局)에서 펴낸 책이다."
↑ 양승윤 외, 《인도네시아 사회와 문화》, 한국외국어대학교출판부, 1997년, ISBN 89-7464-123-2, 27-28쪽
↑ 배양수, 문학작품을 통해 본 베트남[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황해문화 2002년 가을호》 (통권36호)"「락롱꿘, 어우꺼 신화」에 따르면, 베트남인들은 산신의 딸인 어우꺼와 바다 신의 아들인 락롱꿘의 결혼을 통해서 태어났다."
↑ 메이슨 플로랜스, 버지니아 젤러스 [2003년 11월 17일]. 《론리플래닛:베트남》, 책임감수 최하나, 초판, 서울: 인그라픽스
↑ 전국역사교사모임, 《살아있는 세계사 교과서 1》, 휴머니스트, 2005년, ISBN 89-5862-070-6, 160쪽
↑ Keith Weller Taylor, The Birth of Vietnam, 313p
↑ Patricia M. Pelley Postcolonial Vietnam: New Histories of the National Past 2002 Page 151 "As a result of this historiographical maneuver, the mythical antiquity of Vietnam actually predated the mythical antiquity of China: the Hồng Bàng dynasty (2879–258 BCE.) preceded the Xia dynasty (2205–1766 BCE.) by more than six centuries."
↑ “Chinese Colonization (200BC - 938AD)”. 2007년 8월 2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4월 28일에 확인함.
↑ K ỷ T h u ộ c T ù y Đ ư ờ n g(베트남어)
↑ Chan, Hok-lam (1990). "The Chien-wen, Yung-lo, Hung-hsi, and Hsüan-te reigns, 1399-1435". The Cambridge History of China (Volume 7): The Ming Dynasty, 1368-1644 (Part 1).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0-521-24332-7.
↑ 양승윤, 《동남아와 아세안》, 한국외국어대학교출판부, 1998년, ISBN 89-7464-096-1, 214-215쪽
↑ 조선의 병인양요와 유사
↑ 상인과 군대와 더불어 기독교를 이용하여 식민지를 늘리는 행동은 제국주의 시대 서방 강대국들이 사용하던 식민지 경영 방식이었다. 그 실례로 영국의 개신교 선교사인 데이비드 리빙스턴은 "미개한 아프리카를 상인들과 군대가 드나드는 영국의 식민지로 만들어 선교활동을 쉽게 하겠다."[출처 필요]고 친구에게 보낸 편지에서 주장했으며, 실제로 탐험활동으로 영국의 식민지를 늘렸다.
↑ 지오 찬성, 김태완 역, 《중국의 외교정책》, 오름, 2001년, ISBN 89-7778-143-4, 84쪽
↑ Vietnam's new-look economy
↑ (구글 지도)https://www.google.com/maps/place/Ban+Gioc+Waterfall/@22.753601,106.5986642,9.25z/data=!4m5!3m4!1s0x36b58d5626a7c29f:0x28c5c44a92ca7edb!8m2!3d22.8553194!4d106.7225925?hl=ko
↑ (나만 알고 싶은 여행지
베트남 싸파(사파)
절경 BEST 3 -알에이치코리아,네이버포스트)https://m.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8931364&memberNo=19760810
↑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 〈베트남의 자연〉
↑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 〈베트남의 기후〉
↑ 가나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 〈베트남의 정치〉
↑ “미국 국회도서관”.Vietnamese legal thought with regard to the treatment of criminals is the result of three major influences: classic Confucianism, the Napoleonic Code, and Marxism-Leninism.
↑ 김정식 (2012년 4월 10일). “일본의 베트남 법 정비 지원활동과 시사점”. 서강대학원 신문.일본이 베트남과 협력하여 베트남의 법제를 정비하고 법률가 양성시스템을 선진국형으로 구축하여 지원한 사업은 현재까지 대단히 성공적인 것으로 평가된다.
↑ 가나 “List of countries which maintains diplomatic relations with the Socialist Republic of Vietnam (as of December 2007)”. 2009년 7월 8일에 확인함.
↑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 〈베트남의 산업〉
↑ (http://www.iadi.or.kr/news/articleView.html?idxno=116 베트남 농지에 들어서는 수많은 골프장), (재)국제농업개발원, 2010년 05월 01일
↑ (http://www.mofat.go.kr/webmodule/htsboard/template/read/korboardread.jsp?typeID=24&boardid=11683&seqno=2944&c=&t=&pagenum=1&tableName=TYPE_KORBOARD&pc=&dc=&wc=&lu=&vu=&iu=&du= Archived 2013년 3월 24일 - 웨이백 머신 농지 전용 억제에 대한 총리 결정), 대한민국 외교통상부
↑ 남아시아태평양국 동남아과 (2009년 5월 7일). “베트남 개황” (PDF). 외교통상부. 2013년 3월 24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11월 9일에 확인함.
↑ “베트남에 9번째 이통사 VTC 출범”. 조선일보. 2010년 6월 28일.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이경호 (2007년 2월 6일). “"베트남 소규모 부패만연, 심각"-WB”. 머니투데이. 2010년 5월 1일에 확인함.
↑ 가나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 〈베트남 주민〉
↑ “Background Note:베트남”.
↑ 안효상. 《《상식밖의 세계사》》. 새길.
↑ 하재홍 (2006년 9월 15일). “베트남엔 선후배가 없다?”. 한겨레21. 2008년 7월 18일에 확인함.
↑ 고등학교 기술·가정 교과서 '천재교육' 2.가정 생활 문화 - 세계 여러 나라의 가족 생활 문화 - 베트남의 가족 생활 문화
↑ 고등학교 기술·가정 교과서 '천재교육' 2.가정 생활 문화 - 세계 여러 나라의 가족 생활 문화 - 베트남의 가족 생활 문화
외부 링크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자료와 분류가 있습니다. 베트남 (분류) |
위키인용집에 이 문서와 관련된 문서가 있습니다. 베트남 |
위키여행에 이 글과 관련된 기사가 있습니다. 베트남(베트남어) |
베트남
- 베트남 정부 홈페이지
대한민국
- 주베트남 대한민국 대사관
- 주호치민 대한민국 총영사관
분류:
- 베트남
- 베트남어권
- 사회주의 국가
- 공산주의 국가
- 유엔 회원국
- 프랑스의 옛 식민지
- 동남아시아 국가 연합 회원국
(window.RLQ=window.RLQ||[]).push(function()mw.config.set("wgPageParseReport":"limitreport":"cputime":"1.376","walltime":"2.079","ppvisitednodes":"value":19948,"limit":1000000,"ppgeneratednodes":"value":0,"limit":1500000,"postexpandincludesize":"value":336457,"limit":2097152,"templateargumentsize":"value":60397,"limit":2097152,"expansiondepth":"value":19,"limit":40,"expensivefunctioncount":"value":3,"limit":500,"unstrip-depth":"value":0,"limit":20,"unstrip-size":"value":35651,"limit":5000000,"entityaccesscount":"value":1,"limit":400,"timingprofile":["100.00% 1618.936 1 -total"," 31.98% 517.748 1 틀:전거_통제"," 23.08% 373.661 9 틀:둘러보기_상자"," 16.09% 260.453 1 틀:베트남_표"," 16.02% 259.416 2 틀:각주"," 15.84% 256.483 1 틀:나라_정보"," 15.31% 247.839 1 틀:정보상자"," 8.66% 140.235 76 틀:국기나라"," 8.09% 130.929 166 틀:정보상자/행"," 7.47% 120.962 1 틀:APEC"],"scribunto":"limitreport-timeusage":"value":"0.401","limit":"10.000","limitreport-memusage":"value":5104258,"limit":52428800,"cachereport":"origin":"mw1329","timestamp":"20190423101122","ttl":2592000,"transientcontent":false);mw.config.set("wgBackendResponseTime":168,"wgHostname":"mw12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