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날여우박쥐 목차 분포 및 서식지 먹이 생식 질병 전염 각주 외부 링크 둘러보기 메뉴인도날여우박쥐Pteropus giganteus10.1046/j.1523-1739.2003.02049.xBat World SanctuaryBat Conservation InternationalBrief history of Megachiroptera / Megabatseh문서를 완성해
IUCN 적색 목록 관심대상종왕박쥐속1782년 기재된 동물
큰박쥐과박쥐망고바나나꽃꿀인도방글라데시티베트몰디브네팔파키스탄스리랑카왕박쥐속남태평양미크로네시아괌
인도날여우박쥐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인도날여우박쥐 | ||||||||||||||||||||||
인도날여우박쥐 | ||||||||||||||||||||||
보전 상태 | ||||||||||||||||||||||
---|---|---|---|---|---|---|---|---|---|---|---|---|---|---|---|---|---|---|---|---|---|---|
관심대상(LC), IUCN 3.1[1] | ||||||||||||||||||||||
생물 분류 | ||||||||||||||||||||||
| ||||||||||||||||||||||
학명 | ||||||||||||||||||||||
Pteropus giganteus (Brünnich, 1782) | ||||||||||||||||||||||
인도날여우박쥐의 분포 지역 | ||||||||||||||||||||||
이명 | ||||||||||||||||||||||
Pteropus ariel Allen, 1908 Pteropus assamensis McClelland, 1839 |
인도날여우박쥐(Pteropus giganteus)는 큰박쥐과에 속하는 박쥐의 일종이다. 야행성 동물이고, 망고와 바나나 그리고 꽃꿀 같은 잘 익은 과일을 주로 먹는다. 큰인도과일박쥐 또는 인도왕박쥐로도 불린다.
목차
1 분포 및 서식지
2 먹이
3 생식
4 질병 전염
5 각주
6 외부 링크
분포 및 서식지
인도날여우박쥐는 열대 숲과 습지 그리고 수역 근처에서 서식한다. 인도와 방글라데시, 티베트, 몰디브, 네팔, 파키스탄 그리고 스리랑카에서 발견된다. 넓은 분포 지역과 뚜렷한 적응성을 갖고 있어서, "관심대상종"으로 분류하고 있다.[1]
먹이
인도날여우박쥐는 과식성 또는 식화밀성 박쥐로 과일을 먹거나 꽃에 있는 꽃꿀을 핥아서 먹는다. 어두워지면 다 익은 과일을 찾아 나선다. 과일을 먹으면서 꽃가루나 씨앗을 내뱉기때문에 가루받이를 하거나 씨앗을 퍼뜨리는 역할을 한다.
생식
인도날여우박쥐는 다처다부제 종으로 매년 7월부터 10월 사이에 번식을 한다. 새끼는 2월과 5월 사이에 태어나며, 임신 기간은 보통 140~150일이다. 평균 한 두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왕박쥐속에 속하는 종들의 새끼는 첫 몇 주를 어미가 돌보고, 약 5개월 후에 젖을 뗀다. 수컷은 새끼를 돌보지 않는다. 어린 박쥐는 약 11주 후에 비행을 배운다. 생후 약 1.5년 이후에는 생식이 가능할 정도로 성숙해 진다.[3]
질병 전염
다른 과일박쥐류처럼 인도날여우박쥐는 헤니파바이러스와 코로나바이러스와 같은 다수의 바이러스 집단을 포함하여 여러 질병의 자연 저장소 역할을 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사람과 가축에게 치명적일 수 있다.[4][5]
남태평양 뿐만아니라 미크로네시아에 사는 사람들에게 진미의 하나이며, 괌에서 사용은 라이티크-보디그병(Lytico-Bodig disease)의 원인으로 추정되고 있다.[6]
각주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인도날여우박쥐 |
↑ 가나 Molur, S., Srinivasulu, C., Bates, P. & Francis, C. (2008). Pteropus giganteus. In: IUCN 2012.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Version 2012.2.
↑ rubricollis 또는 rubicollis의 오타
↑ http://animaldiversity.ummz.umich.edu/accounts/Pteropus_giganteus/#reproduction
↑ National Geographic, October 2007. "Deadly Contact," David Quammen, pp. 78-105.
↑ McLaughlin AB, Epstein JH, Prakash V, Smith CS, Daszak P, Field HE, Cunningham AA.Plasma biochemistry and hematologic values for wild-caught flying foxes (Pteropus giganteus) in India.J Zoo Wildl Med. 2007 Sep;38(3):446-52.
↑
Monson, C. S.; Banack, S. A.; Cox, P. A. (2003). “Conservation implications of Chamorro consumption of flying foxes as a possible cause of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parkinsonism dementia complex in Guam”. 《Conservation Biology》 17 (3): 678–686. doi:10.1046/j.1523-1739.2003.02049.x.
외부 링크
- Bat World Sanctuary
- Bat Conservation International
- Brief history of Megachiroptera / Megabats
- [nopr.niscair.res.in/handle/123456789/34046 Flying foxes of Calcutta Zoo Science Reporter April 2016 by Shakunt Pandey.
이 글은 동물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
분류:
- IUCN 적색 목록 관심대상종
- 왕박쥐속
- 1782년 기재된 동물
(window.RLQ=window.RLQ||[]).push(function()mw.config.set("wgPageParseReport":"limitreport":"cputime":"0.316","walltime":"0.423","ppvisitednodes":"value":1446,"limit":1000000,"ppgeneratednodes":"value":0,"limit":1500000,"postexpandincludesize":"value":122892,"limit":2097152,"templateargumentsize":"value":2910,"limit":2097152,"expansiondepth":"value":10,"limit":40,"expensivefunctioncount":"value":1,"limit":500,"unstrip-depth":"value":0,"limit":20,"unstrip-size":"value":3559,"limit":5000000,"entityaccesscount":"value":1,"limit":400,"timingprofile":["100.00% 309.453 1 -total"," 31.42% 97.223 1 틀:위키공용분류"," 29.08% 90.004 1 틀:Sister"," 27.53% 85.199 1 틀:사이드_박스"," 21.96% 67.959 1 틀:각주"," 20.71% 64.086 1 틀:생물_분류"," 17.10% 52.914 1 틀:큰박쥐과"," 16.08% 49.761 1 틀:저널_인용"," 15.87% 49.114 1 틀:둘러보기_상자"," 9.52% 29.464 6 틀:둘러보기_상자/중첩"],"scribunto":"limitreport-timeusage":"value":"0.095","limit":"10.000","limitreport-memusage":"value":3016767,"limit":52428800,"cachereport":"origin":"mw1270","timestamp":"20190501234611","ttl":2592000,"transientcontent":false);mw.config.set("wgBackendResponseTime":137,"wgHostname":"mw12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