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르주 아로슈 목차 수상 경력 참고 문헌 각주 외부 링크 둘러보기 메뉴“Serge Haroche – Biographical”“Press release – Particle control in a quantum world”2012Natur.490..311H2307594310.1038/490311a“Profile of David Wineland and Serge Haroche, 2012 Nobel Laureates in Physics”2013PNAS..110.7110P36455102358401810.1073/pnas.1221825110세르주 아로슈The Nobel Prize in Physics 2012 - Serge HarocheehehWorldCat51774345no20050991680000 0001 2132 849213234902703309618Xcb123997347(데이터)9074424535172156
1944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프랑스의 물리학자프랑스의 노벨상 수상자노벨 물리학상 수상자레지옹 도뇌르 훈장 수훈자미국 과학 아카데미의 회원프랑스 과학 아카데미의 회원에콜 노르말 쉬페리외르 동문유대계 프랑스인유대계 모로코인카사블랑카 출신
1944년9월 11일프랑스물리학데이비드 와인랜드노벨 물리학상
세르주 아로슈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 | 이 문서는 영어 위키백과의 Serge Haroche 문서를 번역하여 문서의 내용을 확장할 필요가 있습니다. |
![]() 세르주 아로슈 ![]() Serge Haroche | |
![]() 2012년 촬영 | |
출생 | 1944년 9월 11일(1944-09-11) (74세) 프랑스 보호령 모로코 카사블랑카[1] |
---|---|
국적 | 프랑스 |
분야 | 물리학 |
소속 | 피에르에마리퀴리 대학교 예일 대학교 콜레주 드 프랑스 |
출신 대학 | 에콜 노르말 쉬페리외르 콜레주 드 프랑스 |
지도 교수 | 클로드 코엔타누지 |
수상 | 프랑스 국립과학연구센터 황금 메달(2009년) 노벨 물리학상(2012년) |
세르주 아로슈(프랑스어: Serge Haroche, 1944년 9월 11일[1] ~ )는 프랑스의 물리학자이다. 2012년에 개별 양자계의 측정과 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원천 실험 방법을 개발한 공로로 데이비드 와인랜드와 함께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2][3][4]
목차
1 수상 경력
2 참고 문헌
3 각주
4 외부 링크
수상 경력
- 레지옹 도뇌르 훈장
- 2009년 : 프랑스 국립과학연구센터 황금 메달
- 2012년 : 노벨 물리학상
참고 문헌
- Serge Haroche, Jean-Michel Raimond, Exploring the quantum. Atoms, cavities and photons, Oxford University Press, 2006.
각주
↑ 가나 “Serge Haroche – Biographical”. nobelprize.org. 2012년 10월 11일에 확인함.
↑ “Press release – Particle control in a quantum world”. Royal Swedish Academy of Sciences. 2012년 10월 9일에 확인함.
↑ Haroche, S. (2012). “The secrets of my prizewinning research”. 《Nature》 490 (7420): 311. Bibcode:2012Natur.490..311H. PMID 23075943. doi:10.1038/490311a.
↑ Phillips, William Daniel (2013). “Profile of David Wineland and Serge Haroche, 2012 Nobel Laureates in Physics”.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110 (18): 7110–1. Bibcode:2013PNAS..110.7110P. PMC 3645510. PMID 23584018. doi:10.1073/pnas.1221825110.
외부 링크
위키미디어 공용에 세르주 아로슈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영어) The Nobel Prize in Physics 2012 - Serge Haroche - 노벨 재단
분류:
- 1944년 태어남
- 살아있는 사람
- 프랑스의 물리학자
- 프랑스의 노벨상 수상자
-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
- 레지옹 도뇌르 훈장 수훈자
- 미국 과학 아카데미의 회원
- 프랑스 과학 아카데미의 회원
- 에콜 노르말 쉬페리외르 동문
- 유대계 프랑스인
- 유대계 모로코인
- 카사블랑카 출신
(RLQ=window.RLQ||[]).push(function()mw.config.set("wgPageParseReport":"limitreport":"cputime":"0.376","walltime":"0.548","ppvisitednodes":"value":1163,"limit":1000000,"ppgeneratednodes":"value":0,"limit":1500000,"postexpandincludesize":"value":75884,"limit":2097152,"templateargumentsize":"value":2927,"limit":2097152,"expansiondepth":"value":10,"limit":40,"expensivefunctioncount":"value":0,"limit":500,"unstrip-depth":"value":0,"limit":20,"unstrip-size":"value":5540,"limit":5000000,"entityaccesscount":"value":1,"limit":400,"timingprofile":["100.00% 436.503 1 -total"," 27.05% 118.084 1 틀:위키공용분류-줄"," 25.11% 109.619 1 틀:Sister-inline"," 17.57% 76.711 1 틀:과학자_정보"," 15.98% 69.745 1 틀:번역_확장_필요"," 15.25% 66.570 1 틀:Ambox"," 13.30% 58.069 2 틀:웹_인용"," 7.33% 31.978 2 틀:둘러보기_상자"," 6.36% 27.778 1 틀:노벨_물리학상_수상자"," 6.28% 27.431 19 틀:정보상자_선택칸"],"scribunto":"limitreport-timeusage":"value":"0.144","limit":"10.000","limitreport-memusage":"value":4310981,"limit":52428800,"cachereport":"origin":"mw1270","timestamp":"20190626011853","ttl":3600,"transientcontent":true););"@context":"https://schema.org","@type":"Article","name":"uc138ub974uc8fc uc544ub85cuc288","url":"https://ko.wikipedia.org/wiki/%EC%84%B8%EB%A5%B4%EC%A3%BC_%EC%95%84%EB%A1%9C%EC%8A%88","sameAs":"http://www.wikidata.org/entity/Q109588","mainEntity":"http://www.wikidata.org/entity/Q109588","author":"@type":"Organization","name":"uc704ud0a4ubbf8ub514uc5b4 ud504ub85cuc81dud2b8 uae30uc5ecuc790","publisher":"@type":"Organization","name":"Wikimedia Foundation, Inc.","logo":"@type":"ImageObject","url":"https://www.wikimedia.org/static/images/wmf-hor-googpub.png","datePublished":"2012-10-09T13:00:51Z","dateModified":"2018-05-22T10:33:59Z","image":"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d/df/Serge_Haroche_1_2012.jpg"(RLQ=window.RLQ||[]).push(function()mw.config.set("wgBackendResponseTime":701,"wgHostname":"mw12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