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코슬로바키아 축구 국가대표팀 목차 국제대회 기록 분리 이후 참가한 팀들의 FIFA 월드컵 성적 분리 이후 참가한 팀들의 유럽축구선수권대회 성적 유명 선수 각주 둘러보기 메뉴eheheheheheheheheheheheheheh
1960소련1964
스페인1968
이탈리아1972
서독1976
체코슬로바키아1980
서독1984
프랑스1988
네덜란드1992
덴마크1996
독일2000
프랑스2004
그리스2008
스페인2012
스페인2016
포르투갈18961900
영국1904
캐나다1908
영국1912
영국1916제1차 세계 대전1920
벨기에1924
우루과이1928
우루과이19321936
이탈리아1940제2차 세계 대전1944제2차 세계 대전1948
스웨덴1952
헝가리1956
소련1960
유고슬라비아1964
헝가리1968
헝가리1972
폴란드1976
동독1980
체코슬로바키아1984
프랑스1988
소련1992
스페인1996
나이지리아2000
카메룬2004
아르헨티나2008
아르헨티나2012
멕시코2016
브라질
소련
체코슬로바키아
체코슬로바키아
네덜란드
서독
체코슬로바키아
네덜란드
그리스
잉글랜드
스페인
브라질
아르헨티나
이집트
브라질
네덜란드령 동인도
브라질
우루과이
대한민국
브라질
아르헨티나
파라과이
북아일랜드
서독
소련
스웨덴
스코틀랜드
유고슬라비아
웨일스
잉글랜드
오스트리아
체코슬로바키아
프랑스
헝가리
브라질
아르헨티나
우루과이
칠레
콜롬비아
불가리아
서독
소련
스위스
스페인
유고슬라비아
이탈리아
잉글랜드
체코슬로바키아
헝가리
브라질
아르헨티나
우루과이
칠레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브라질
우루과이
페루
이스라엘
루마니아
벨기에
불가리아
서독
소련
스웨덴
이탈리아
잉글랜드
체코슬로바키아
브라질
아르헨티나
칠레
페루
쿠웨이트
뉴질랜드
벨기에
북아일랜드
서독
소련
스코틀랜드
스페인
오스트리아
유고슬라비아
이탈리아
잉글랜드
체코슬로바키아
폴란드
프랑스
헝가리
브라질
우루과이
아르헨티나
콜롬비아
대한민국
아랍에미리트
네덜란드
루마니아
벨기에
서독
소련
스웨덴
스코틀랜드
스페인
아일랜드
오스트리아
유고슬라비아
이탈리아
잉글랜드
체코슬로바키아
체코슬로바키아의 축구유럽의 없어진 축구 국가대표팀
체코슬로바키아1934년 FIFA 월드컵1962년 FIFA 월드컵UEFA 유로 19761980년 모스크바 올림픽1964년 도쿄 올림픽1994년 FIFA 월드컵1993년1월 1일체코슬로바키아1993년11월 17일벨기에체코슬로바키아
체코슬로바키아 축구 국가대표팀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연맹 | 체코슬로바키아 축구 협회 | ||
---|---|---|---|
최다 출전자 | 즈데넥 네호다 (90) | ||
최다 득점자 | 안토닌 푸치 (34) | ||
FIFA 코드 | TCH | ||
첫 국제 경기 출전 | ![]() ![]() (벨기에 안트베르펀; 1920년 8월 28일) | ||
마지막 국제 경기 출전 | ![]() ![]() (벨기에 브뤼셀; 1993년 11월 17일, 1994년 FIFA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 | ||
최다 점수차 승리 | ![]() ![]() (소련 모스크바; 1955년 9월 16일) | ||
최다 점수차 패배 | ![]() ![]() (헝가리 부다페스트; 1937년 9월 19일) ![]() ![]() (스코틀랜드 글래스고; 1937년 12월 8일) ![]() ![]() (헝가리 부다페스트; 1950년 4월 30일) ![]() ![]() (헝가리 부다페스트; 1952년 10월 19일) ![]() ![]() (스위스 취리히; 1954년 6월 18일, 1954년 FIFA 월드컵) | ||
유니폼 | |||
| |||
FIFA 월드컵 | |||
출전 횟수 | 8회 (1934년에 처음 출전) | ||
최고 성적 | 준우승 (1934년, 1962년) | ||
유럽축구선수권대회 | |||
출전 횟수 | 3회 (1960년에 처음 출전) | ||
최고 성적 | 우승 (1976년) |
메달 기록 | |||
---|---|---|---|
남자 축구 | |||
은 | 1964 도쿄 | 축구 | |
금 | 1980 모스크바 | 축구 |
체코슬로바키아 축구 국가대표팀은 체코슬로바키아를 대표하는 축구 국가대표팀이었다. 1934년 FIFA 월드컵과 1962년 FIFA 월드컵에서 준우승을 차지한 바 있으며, UEFA 유로 1976에서 우승을 차지했던 동구권의 강호였다. 아마추어 대회인 올림픽 축구에서도 두각을 드러내 1980년 모스크바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차지한 적이 있는데, 이 때는 소련에서 올림픽이 열린 것에 대한 항의로 자본주의 진영 국가들이 대거 불참한 반쪽짜리 대회였으므로 실질적인 최고 성적은 1964년 도쿄 올림픽에서의 은메달이었다. 1994년 FIFA 월드컵 지역예선 도중이던 1993년 1월 1일 체코슬로바키아가 체코와 슬로바키아로 분리되면서 국가가 해체되었고, 체코슬로바키아 국가대표팀은 체코 + 슬로바키아 연합팀으로 명칭을 바꾼 후 1993년 11월 17일, 벨기에와의 마지막 경기를 치렀다. 이후 체코와 슬로바키아로 나뉘었다.
목차
1 국제대회 기록
1.1 FIFA 월드컵
1.2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1.3 하계 올림픽
2 분리 이후 참가한 팀들의 FIFA 월드컵 성적
3 분리 이후 참가한 팀들의 유럽축구선수권대회 성적
4 유명 선수
5 각주
국제대회 기록
FIFA 월드컵
FIFA 월드컵 본선 기록 | FIFA 월드컵 예선 기록 | |||||||||||||||
---|---|---|---|---|---|---|---|---|---|---|---|---|---|---|---|---|
년도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 | 불참 | 불참 | ||||||||||||||
![]() | 준우승 | 2위 | 4 | 3 | 0 | 1 | 9 | 6 | 9 | 1[1] | 1 | 0 | 0 | 2 | 1 | 3 |
![]() | 8강 | 5위 | 3 | 1 | 1 | 1 | 5 | 3 | 4 | 2[2] | 1 | 1 | 0 | 7 | 1 | 4 |
![]() | 불참 | 불참 | ||||||||||||||
![]() | 조별리그 | 14위 | 2 | 0 | 0 | 2 | 0 | 7 | 0 | 4[3] | 3 | 1 | 0 | 5 | 1 | 10 |
![]() | 조별리그 | 9위 | 4 | 1 | 1 | 2 | 9 | 6 | 4 | 4[4] | 3 | 0 | 1 | 9 | 3 | 9 |
![]() | 준우승 | 2위 | 6 | 3 | 1 | 2 | 7 | 7 | 10 | 5[5] | 4 | 0 | 1 | 20 | 7 | 12 |
![]() | 예선 탈락 | 6[6] | 3 | 1 | 2 | 12 | 4 | 10 | ||||||||
![]() | 조별리그 | 15위 | 3 | 0 | 0 | 3 | 2 | 7 | 0 | 7[7] | 5 | 1 | 1 | 16 | 7 | 16 |
![]() | 예선 탈락 | 4[8] | 2 | 1 | 1 | 9 | 3 | 7 | ||||||||
![]() | 4[9] | 2 | 0 | 2 | 4 | 6 | 6 | |||||||||
![]() | 조별리그 | 19위 | 3 | 0 | 2 | 1 | 2 | 4 | 2 | 8[10] | 4 | 2 | 2 | 15 | 6 | 14 |
![]() | 예선 탈락 | 8[11] | 3 | 2 | 3 | 11 | 12 | 11 | ||||||||
![]() | 8강 | 6위 | 5 | 3 | 0 | 2 | 10 | 5 | 9 | 8[12] | 5 | 2 | 1 | 13 | 3 | 17 |
![]() | 예선 탈락 | 10[13] | 4 | 5 | 1 | 21 | 9 | 17 | ||||||||
![]() | 해체(체코가 승계) | 해체 | ||||||||||||||
합계 | 8회 진출(8/15) | 준우승(2회) | 30 | 11 | 5 | 14 | 44 | 45 | 38 | 71 | 40 | 16 | 15 | 144 | 63 | 134 |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UEFA 유로 대회 기록 | UEFA 유로 예선전 기록 | |||||||||||||||
---|---|---|---|---|---|---|---|---|---|---|---|---|---|---|---|---|
년도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 | 4강 | 3위 | 2 | 1 | 0 | 1 | 2 | 3 | 3 | 6 | 4 | 1 | 1 | 16 | 5 | 13 |
![]() | 예선 탈락 | 2 | 0 | 1 | 1 | 2 | 3 | 1 | ||||||||
![]() | 6 | 3 | 1 | 2 | 8 | 4 | 10 | |||||||||
![]() | 6 | 4 | 1 | 1 | 11 | 4 | 13 | |||||||||
![]() | 우승 | 1위 | 2 | 1 | 1 | 0 | 5 | 3 | 4 | 8 | 5 | 2 | 1 | 19 | 7 | 17 |
![]() | 4강 | 3위 | 4 | 1 | 2 | 1 | 5 | 4 | 5 | 6 | 5 | 0 | 1 | 17 | 4 | 15 |
![]() | 예선 탈락 | 8 | 3 | 4 | 1 | 15 | 7 | 13 | ||||||||
![]() | 6 | 2 | 3 | 1 | 7 | 5 | 9 | |||||||||
![]() | 8 | 5 | 0 | 3 | 12 | 9 | 15 | |||||||||
![]() | 해체(체코가 승계) | 해체 | ||||||||||||||
합계 | 3회 진출(3/9) | 우승(1회) | 8 | 3 | 3 | 2 | 12 | 10 | 12 | 56 | 31 | 13 | 12 | 107 | 48 | 106 |
하계 올림픽
올림픽 축구 기록 | |||||||||
---|---|---|---|---|---|---|---|---|---|
년도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 | 대회 도중 실격[17] | (2위) | 4 | 3 | 0 | 1 | 15 | 3 | 9 |
![]() | 1라운드 | 9위 | 3 | 1 | 1 | 1 | 6 | 4 | 4 |
![]() | 불참 | ||||||||
![]() | |||||||||
![]() | |||||||||
![]() | |||||||||
![]() | |||||||||
![]() | |||||||||
![]() | 은메달 | 준우승 | 6 | 5 | 0 | 1 | 19 | 5 | 15 |
![]() | 조별리그 | 9위 | 3 | 1 | 1 | 1 | 10 | 3 | 4 |
![]() | 진출 실패 | ||||||||
![]() | |||||||||
![]() | 금메달 | 우승 | 6 | 4 | 2 | 0 | 10 | 1 | 14 |
![]() | 불참[18] | ||||||||
![]() | 진출 실패 | ||||||||
![]() | |||||||||
![]() | 해체(체코가 승계) | ||||||||
합계 | 5회 진출(5/16) | 금메달(1회) | 22 | 14 | 4 | 4 | 60 | 16 | 46 |
분리 이후 참가한 팀들의 FIFA 월드컵 성적
팀 | ![]() 1998 | ![]() ![]() 2002 | ![]() 2006 | ![]() 2010 | ![]() 2014 | ![]() 2018 | ![]() 2022 | ![]() ![]() ![]() 2026 | 합계 |
---|---|---|---|---|---|---|---|---|---|
![]() | 탈락 | 탈락 | 1R | 탈락 | 탈락 | 탈락 | ? | ? | 1 |
![]() | 탈락 | 탈락 | 탈락 | 16강 | 탈락 | 탈락 | ? | ? | 1 |
합계 | 0 | 0 | 1 | 1 | 0 | 0 | ? | ? | 2 |
분리 이후 참가한 팀들의 유럽축구선수권대회 성적
팀 | ![]() 1996 | ![]() ![]() 2000 | ![]() 2004 | ![]() ![]() 2008 | ![]() ![]() 2012 | ![]() 2016 | ![]() 2020 | 합계 |
---|---|---|---|---|---|---|---|---|
![]() | 준우승 | 1R | 4강 | 1R | 8강 | 1R | ? | 6 |
![]() | 탈락 | 탈락 | 탈락 | 탈락 | 탈락 | 16강 | ? | 1 |
합계 | 1 | 1 | 1 | 1 | 1 | 2 | ? | 7 |
- 참고: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는 3위 결정전을 별도로 치르지 않는다.
유명 선수
- 요제프 아다메치
- 요세프 비찬
- 야로슬라프 부르그르
- 페르디난드 다우치크
- 카롤 도블라시
- 콜로만 괴흐
- 라디슬라프 쿠발라
- 안드레이 크바슈나크
- 요세프 마소푸스트
- 즈데넥 네호다
- 올드르지흐 네예들리
- 라디슬라프 노바크
- 안톤 온드루시
- 안토닌 파넨카
- 카렐 파세크
- 프란티세크 플라니츠카
- 스바토플루크 플루스칼
- 얀 포플루하르
- 안토닌 푸치
- 빌리암 슈로이프
- 요세프 실니
- 토마시 스쿠라비
- 이보 빅토르
- 라디슬라프 비제크
각주
↑ 폴란드를 2:1로 이기고 본선에 올랐다. 원래는 2차전이 예정되어 있었으나 폴란드가 중도 기권하면서 단 한 경기만 치르고 부전승으로 진출하게 되었다.
↑ 불가리아 원정에서 1:1, 홈에서 6:0으로 잡고 본선에 올랐다.
↑ 루마니아, 불가리아를 상대로 3승 1무로 잡으며 조 1위로 본선에 올랐다.
↑ 웨일즈 원정 첫 경기에서 0:1로 잡혔지만 남은 경기에서 모두 이기면서 조1위로 본선에 올랐다.
↑ 스코틀랜드와 3승 1패로 승점이 같아 플레이오프 끝에 4:2로 이기고 진출했다. 승점은 같았으나 골득실에서 8점이나 앞섰으므로 지금과 같은 규정이었으면 플레이오프를 거치지 않고 직행했을 것이다.
↑ 에우제비오가 이끄는 돌풍의 팀 포르투갈에 일격을 맞으며 조 2위로 본선진출에 실패했다. 체코슬로바키아 사상 첫 지역예선 탈락이자, 전 대회 준우승국의 2연속 탈락이었다.
↑ 헝가리와 4승 1무 1패로 동률이 되어 플레이오프 끝에 4:1로 이기고 본선에 진출했다. 다만 골득실에서 헝가리가 3점 앞서, 지금과 같은 규정이면 헝가리가 진출했을 것이다.
↑ 스코틀랜드에 조 1위를 내주고 본선진출에 실패했다.
↑ 스코틀랜드에게 또다시 조 1위를 내주며 2연속 본선진출에 실패했다. 스코틀랜드와 웨일즈 모두 1승 1패를 기록했지만 스코틀랜드가 웨일즈에 2연승한 것이 원인이었다.
↑ 소련에 이어 조 2위를 차지, 12년만의 본선 진출에 성공했다.
↑ 독일, 포르투갈, 스웨덴에게 밀려 조 4위로 본선 진출에 실패했다. 지역예선 사상 가장 낮은 순위였지만 조 편성 운 또한 없었다.
↑ 5승 2무 1패의 성적으로 승점이 같은 벨기에와 나란히 월드컵 진출에 성공했다.
↑ 또다시 벨기에와 같은 조가 되었는데 이번엔 루마니아가 조 1위를 차지하고 벨기에가 2위에 올라 조 3위로 본선 진출에 실패했다. 지역예선을 치르던 도중 체코와 슬로바키아로 분리되어 그에 따른 후폭풍이 원인이었다. 때문에 중간에 체코-슬로바키아 연합으로 명칭이 바뀌었다.
↑ 프랑스에서 열린 첫 유로컵 본선에 올라간 4개국 중 하나였다. 준결승에서 소련에 0:3으로 졌지만 3·4위전에서 프랑스를 2:0으로 이기며 최종 3위로 첫 대회를 마감했다.
↑ 초대 대회 이후 16년만의 본선에 올라 준결승에서 네덜란드를 3:1, 결승에서 서독을 2:2(PK 5:3)로 누르며 우승을 차지했다. 특히 맞붙은 두 나라가 바로 2년 전 월드컵에서 결승에 오른, 축구계의 혁명을 불러온 토탈사커의 두 나라라 더욱 값진 우승컵이었다. 현재까지도 체코와 슬로바키아가 유로컵에서 우승한 유일한 대회로 남아있다.
↑ 이 대회부터 본선 진출국이 8개국으로 늘어났다. A조에 속해 서독에 이어 2위를 차지하며 3·4위전에 직행했다. 홈팀 이탈리아와 맞붙어 시종일관 우세한 경기 끝에 1:1로 비기고, PK에서 무려 9:8까지 가며 간신히 3위를 차지하며 대회를 마감했다. 이후 세 대회 연속 본선 진출에 실패하고 1993년 1월 1일 체코슬로바키아가 해체되면서 이들의 마지막 무대로 남았다.
↑ 결승전까지 전승으로 진출해 벨기에와 경기했는데, 심판의 편파 판정으로 카렐 슈타이너 선수가 퇴장당한데 이어 벨기에 훌리건들의 난동으로 경기가 제대로 진행되지 못하자 체코 선수들은 격하게 항의하며 전반 40분경 경기를 중단하고 밖으로 나갔다. 후에 올림픽위원회에 제소했지만 인정받지 못하면서 결국 실격처리되고, 결승전에 진출했음에도 메달조차 받지 못하였다.
↑ 적성국인 미국에서 경기가 열려 체코슬로바키아를 비롯한 공산 진영 대다수 국가들이 불참했다.
↑ 가나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분류:
- 체코슬로바키아의 축구
- 유럽의 없어진 축구 국가대표팀
(RLQ=window.RLQ||[]).push(function()mw.config.set("wgPageParseReport":"limitreport":"cputime":"1.332","walltime":"1.702","ppvisitednodes":"value":48017,"limit":1000000,"ppgeneratednodes":"value":0,"limit":1500000,"postexpandincludesize":"value":677193,"limit":2097152,"templateargumentsize":"value":204933,"limit":2097152,"expansiondepth":"value":19,"limit":40,"expensivefunctioncount":"value":0,"limit":500,"unstrip-depth":"value":0,"limit":20,"unstrip-size":"value":8872,"limit":5000000,"entityaccesscount":"value":0,"limit":400,"timingprofile":["100.00% 996.369 1 -total"," 55.30% 550.948 14 틀:둘러보기_상자"," 51.94% 517.503 236 틀:국가대표팀"," 51.57% 513.798 229 틀:축구나라"," 51.26% 510.762 2 틀:둘러보기_상자_묶음"," 46.66% 464.946 229 틀:국가대표팀/국기+링크"," 43.64% 434.794 301 틀:국기그림"," 16.75% 166.887 236 틀:국가대표팀/링크"," 12.76% 127.182 1 틀:축구_국가대표팀_정보"," 11.77% 117.254 301 틀:국기그림/구현"],"scribunto":"limitreport-timeusage":"value":"0.104","limit":"10.000","limitreport-memusage":"value":1895887,"limit":52428800,"cachereport":"origin":"mw1239","timestamp":"20190815104709","ttl":2592000,"transientcontent":false););"@context":"https://schema.org","@type":"Article","name":"uccb4ucf54uc2acub85cubc14ud0a4uc544 ucd95uad6c uad6duac00ub300ud45cud300","url":"https://ko.wikipedia.org/wiki/%EC%B2%B4%EC%BD%94%EC%8A%AC%EB%A1%9C%EB%B0%94%ED%82%A4%EC%95%84_%EC%B6%95%EA%B5%AC_%EA%B5%AD%EA%B0%80%EB%8C%80%ED%91%9C%ED%8C%80","sameAs":"http://www.wikidata.org/entity/Q182072","mainEntity":"http://www.wikidata.org/entity/Q182072","author":"@type":"Organization","name":"uc704ud0a4ubbf8ub514uc5b4 ud504ub85cuc81dud2b8 uae30uc5ecuc790","publisher":"@type":"Organization","name":"Wikimedia Foundation, Inc.","logo":"@type":"ImageObject","url":"https://www.wikimedia.org/static/images/wmf-hor-googpub.png","datePublished":"2007-11-27T10:49:52Z","dateModified":"2019-08-10T01:36:13Z"(RLQ=window.RLQ||[]).push(function()mw.config.set("wgBackendResponseTime":1937,"wgHostname":"mw12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