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반야심경 목차 개요 본문 기타 관련 문화 같이 보기 참고 문헌 각주 외부 링크 둘러보기 메뉴eh《불설인왕반야바라밀경》과거 내용 찾기《불설인왕반야바라밀경]》과거 내용 찾기《불교 사전》원본 문서《Cologne Digital Sanskrit Dictionaries》《불설인왕반야바라밀경(佛說仁王般若波羅蜜經)》원본 문서《인왕호국반야바라밀다경(仁王護國般若波羅蜜多經)》원본 문서《佛學辭典(불학사전)》원본 문서《佛光大辭典(불광대사전)》원본 문서hrdaya심(心)"般若心經般若波羅蜜多心經(반야바라밀다심경)T08n0245_p0826b21 - T08n0245_p0826b2511 / 50T08n0246_p0836b11 - T08n0246_p0836b178-9 / 47五忍(오인)五忍한글대장경 반야바라밀다심경 전문 - 동국대 역경원과거 내용 찾기한글대장경 대반야바라밀다경 전문 - 동국대 역경원과거 내용 찾기eheh

대승경전


대반야바라밀다경당나라삼장법사현장반야바라밀다산스크리트어마음치타핵심정수정요에센스참된 앎흐르다야반야바라밀다대반야바라밀다경관자재보살반야바라밀다인왕경불설인왕반야바라밀경인왕호국반야바라밀다경고타마 붓다복인신인순인무생인적멸인5인5인보살대승불교의 수행자수행계위10신10주10행10회향10지등각묘각52위10신42현성인지혜무루혜성취10신청정믿음보살 수행계위적멸인묘각증득본래 갖추고 있는 위대한 지혜이르는본래 갖추고 있는 위대한 지혜이르는대한민국1989년임권택아제 아제 바라아제색즉시공가전연대가섭나후라목건련부루나사리불수보리아나률아난타우바리












반야심경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반야심경》(般若心經)은 불교의 중심이 되는 경전으로《대반야바라밀다경》의 요점을 간략하게 설명한 짧은 경전으로, 당나라 삼장법사인 현장(玄裝)이 번역한 것이다. 260자로 되어 있다.




목차





  • 1 개요


  • 2 본문


  • 3 기타


  • 4 관련 문화

    • 4.1 영화



  • 5 같이 보기


  • 6 참고 문헌


  • 7 각주


  • 8 외부 링크




개요


《대반야바라밀다심경》(大般若波羅蜜多心經)《마하반야바라밀다심경》(摩訶般若波羅蜜多心經) 또는 《반야바라밀다심경》(般若波羅蜜多心經, 산스크리트어: प्रज्ञापारमिताहृदयसूत्र, Prajñā-pāramitā-hṛdaya-sūtra)이라고도 한다. 불교의 핵심적인 이치인 반야바라밀다를 간결하고 명징하게 요약한 불교 경전의 정수에 해당한다.


《반야심경(般若心經)》의 산스크리트어 제목은 프라즈냐파라미타 흐르다야 수트라(Prajñāpāramitā-hṛdaya-sūtra)로 한자어 명칭에서 '심(心)'은 마음[心]을 뜻하는 치타(citta)의 번역어가 아니라 핵심 · 정수(精髓) · 정요(精要) · 에센스 또는 참된 앎[正知]을 뜻하는 흐르다야(hṛdaya)의 번역어이다.[1] 따라서 '반야심경(般若心經)'이라는 제목의 문자 그대로의 뜻은 '반야바라밀다 또는 《대반야바라밀다경》의 핵심 또는 정요(精要)를 간추려 담고있는 경전'이다.[2][3][4]


《반야심경》은 '관자재보살이 깊이 반야바라밀다를 행할 때(觀自在菩薩 行深般若波羅蜜多時)'로 시작되는데, 두 《인왕경》 즉 《불설인왕반야바라밀경》과 《인왕호국반야바라밀다경》에서 고타마 붓다는 반야바라밀다를 행한다는 것이란 복인(伏忍) · 신인(信忍) · 순인(順忍) · 무생인(無生忍) · 적멸인(寂滅忍)의 5인(五忍)을 수행하는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5][6][7][8]5인(五忍)은 보살 즉 대승불교의 수행자의 수행계위인 10신 · 10주 · 10행 · 10회향 · 10지 · 등각 · 묘각의 52위 가운데 최초의 10신을 제외한 나머지 42위 즉 42현성(四十二賢聖)을 인(忍) 즉 지혜, 그 중에서도 특히 무루혜의 성취라는 관점에서 크게 다섯 그룹으로 나눈 것으로, 따라서 반야바라밀다를 행한다는 것은 10신 즉 청정한 믿음을 바탕으로 하여 상위의 42위의 보살 수행계위를 직접 밟아가 최종적으로 적멸인(寂滅忍) 즉 묘각(妙覺)을 증득하는 것을 말한다.[9][10] 즉, 본래 갖추고 있는 위대한 지혜(prajñā)에 이르는(pāramitā) 것을 말한다. '반야심경(般若心經)'은 '본래 갖추고 있는 위대한 지혜에 이르는 열쇠[心: 핵심]를 설하고 있는 경전'을 뜻한다.



본문




.mw-parser-output ruby.witjutext-align:justify;text-justify:inter-character;justify-content:space-around.mw-parser-output ruby.witju.largefont-size:250%.mw-parser-output ruby.witju>rt,.mw-parser-output ruby.witju>rtcfont-size:65%;font-weight:normal.mw-parser-output ruby.witju.large>rt,.mw-parser-output ruby.witju.large>rtcfont-size:25%;font-weight:normal
摩(마)
訶(하)
般(반)
若(야)
波(바)
羅(라)
蜜(밀)
多(다)
心(심)
經(경)




觀(관)
自(자)
在(재)
菩(보)
薩(살)
行(행)
深(심)
般(반)
若(야)
波(바)
羅(라)
蜜(밀)
多(다)
時(시)
照(조)
見(견)
五(오)
蘊(온)
皆(개)
空(공)
度(도)
一(일)
切(체)
苦(고)
厄(액)

관자재보살(관세음보살)이 반야바라밀다(부처님의 지혜)를 행할때 오온이 모두 비어 있음을 비추어 보시고 하나이자 전부인 온갖 괴로움과 재앙을 건넜다.



舍(사)
利(리)
子(자)
色(색)
不(불)
異(이)
空(공)
空(공)
不(불)
異(이)
色(색)
色(색)
卽(즉)
是(시)
空(공)
空(공)
卽(즉)
是(시)
色(색)
受(수)
想(상)
行(행)
識(식)
亦(역)
復(부)
如(여)
是(시)

사리자여, 물질이 공(空)과 다르지 않고 공이 물질과 다르지 않으며 물질이 곧 공이요, 공이 곧 물질이다. 느낌, 생각과 지어감, 의식 또한 그러하니라.



舍(사)
利(리)
子(자)
是(시)
諸(제)
法(법)
空(공)
相(상)
不(불)
生(생)
不(불)
滅(멸)
不(불)
垢(구)
不(부)
淨(정)
不(부)
增(증)
不(불)
減(감)

사리자여, 이 모든 법은 나지도 않고 멸하지도 않으며, 더럽지도 않고 깨끗하지도 않으며, 늘지도 줄지도 않느니라



是(시)
故(고)
空(공)
中(중)
無(무)
色(색)
無(무)
受(수)
想(상)
行(행)
識(식)
無(무)
眼(안)
耳(이)
鼻(비)
舌(설)
身(신)
意(의)
無(무)
色(색)
聲(성)
香(향)
味(미)
觸(촉)
法(법)
無(무)
眼(안)
界(계)
乃(내)
至(지)
無(무)
意(의)
識(식)
界(계)

그러므로 공 가운데는 색이 없고 수 상 행 식도 없으며, 안이비설신의도 없고, 색성향미촉법도 없으며, 눈의 경계도 의식의 경계까지도 없으며



無(무)
無(무)
明(명)
亦(역)
無(무)
無(무)
明(명)
盡(진)
乃(내)
至(지)
無(무)
老(노)
死(사)
亦(역)
無(무)
老(노)
死(사)
盡(진)

무명도 무명이 다함까지도 없으며, 늙고 죽음도 늙고 죽음이 다함까지도 없고



無(무)
苦(고)
集(집)
滅(멸)
道(도)
無(무)
智(지)
亦(역)
無(무)
得(득)
以(이)
無(무)
所(소)
得(득)
故(고)
菩(보)
提(리)
薩(살)
陀(타)
依(의)
般(반)
若(야)
波(바)
羅(라)
蜜(밀)
多(다)

고집멸도도 없으며, 지혜도 얻음도 없느리라. 얻을것이 없는 까닭에 보살은 반야바라밀다를 의지하므로



故(고)
心(심)
無(무)
罣(가)
碍(애)
無(무)
罣(가)
碍(애)
故(고)
無(무)
有(유)
恐(공)
怖(포)
遠(원)
離(리)
(
一(일)
切(체))
顚(전)
倒(도)
夢(몽)
想(상)
究(구)
竟(경)
涅(열)
槃(반)

마음에 걸림이 없고, 걸림이 없으므로 두려움이 없어서 뒤바뀐 헛된 생각을 멀리 떠나 완전한 열반에 들어가며



三(삼)
世(세)
諸(제)
佛(불)
依(의)
般(반)
若(야)
波(바)
羅(라)
蜜(밀)
多(다)
故(고)
得(득)
阿(아)
耨(뇩)
多(다)
羅(라)
三(삼)
藐(먁)
三(삼)
菩(보)
提(리)
故(고)
知(지)
般(반)
若(야)
波(바)
羅(라)
蜜(밀)
多(다)
是(시)
大(대)
神(신)
呪(주)
是(시)
大(대)
明(명)
呪(주)
是(시)
無(무)
上(상)
呪(주)
是(시)
無(무)
等(등)
等(등)
呪(주)
能(능)
除(제)
一(일)
切(체)
苦(고)
眞(진)
實(실)
不(불)
虛(허)

삼세의 모든 부처님도 이 반야바라밀다를 의지하므로 최상의 깨달음을 얻느니라. 반야바라밀다는 가장 신비하고 밝은 주문이며, 위없는 주문이며, 무엇과도 견줄 수 없는 주문이니, 온갖 괴로움을 없애고 진실하여 허망하지 않음을 알지니라.



故(고)
說(설)
般(반)
若(야)
波(바)
羅(라)
蜜(밀)
多(다)
呪(주)
卽(즉)
說(설)
呪(주)
曰(왈)

이제 반야바라밀다주를 말하리라.



揭(아)
諦(제)
揭(아)
諦(제)
波(바)
羅(라)
揭(아)
諦(제)
波(바)
羅(라)
僧(승)
揭(아)
諦(제)
菩(모)
提(지)
娑(사)
婆(바)
訶(하)
(3)
'아제아제 바라아제 바라승아제 모지 사바하'(3)
(Gate Gate paragate parasamgate Bodhi Svaha:가테 가테 파라가테 파라삼가테 보디 스바하)
가자, 가자, 피안(彼岸)으로 가자, 피안으로 넘어가자, 영원한 깨달음이여



— 
摩(마)
訶(하)
般(반)
若(야)
波(바)
羅(라)
蜜(밀)
多(다)
心(심)
經(경)




기타



  • 반야심경을 영어로 번역한 것이 'The Heart of the Perfection of Wisdom Sutra' 또는 줄여서 'The Heart Sutra'이다.


관련 문화



영화


대한민국에서는 1989년에 임권택 감독의 영화 《아제 아제 바라아제》가 반야심경에 나오는 반야바라밀다의 주문을 따서 만들어졌다.또한 영화 색즉시공도 이 반야심경의 내용을 가지고 제목을 붙였다



같이 보기


  • 반야바라밀다심경약소


참고 문헌



  • 구마라습 한역, 번역자 미상 (K.19, T.246). 《불설인왕반야바라밀경》.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19(5-1021), T.245(8-825).  다음 날짜 값 확인 필요: |date= (도움말)[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불공 한역, 번역자 미상 (K.1340, T.245). 《불설인왕반야바라밀경]》.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1340(37-52), T.246(8-834).  다음 날짜 값 확인 필요: |date= (도움말)[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운허. 동국역경원 편집, 편집. 《불교 사전》. 2016년 3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3월 9일에 확인함. 


  • (영어) Sanskrit and Tamil Dictionaries. 《Cologne Digital Sanskrit Dictionaries》. Institute of Indology and Tamil Studies, Cologne University. 


  • (중국어) 구마라습 한역 (T.245). 《불설인왕반야바라밀경(佛說仁王般若波羅蜜經)》. 대정신수대장경. T8, No. 245, CBETA. 2015년 3월 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3월 9일에 확인함.  다음 날짜 값 확인 필요: |date= (도움말)


  • (중국어) 불공 한역 (T.246). 《인왕호국반야바라밀다경(仁王護國般若波羅蜜多經)》. 대정신수대장경. T8, No. 246, CBETA. 2015년 3월 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3월 9일에 확인함.  다음 날짜 값 확인 필요: |date= (도움말)


  • (중국어) 佛門網. 《佛學辭典(불학사전)》. 2015년 3월 1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3월 9일에 확인함. 


  • (중국어) 星雲. 《佛光大辭典(불광대사전)》 3판. 2011년 3월 1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3월 19일에 확인함.  CS1 관리 - 추가 문구 (링크)


각주



  1. Sanskrit and Tamil Dictionaries, "hrdaya". 2013년 4월 14일에 확인.


  2. 곽철환 2003, "심(心)". 2013년 4월 14일에 확인.


  3. 佛門網, ""般若心經". 2013년 4월 14일에 확인.


  4. 운허, "般若波羅蜜多心經(반야바라밀다심경)". 2013년 4월 14일에 확인.


  5. 구마라습 한역 T.245, 《佛說仁王般若波羅蜜經(불설인왕반야바라밀경)》, 상권 〈3. 보살교화품(菩薩敎化品)〉. p. T08n0245_p0826b21 - T08n0245_p0826b25. 5인(五忍)
    T08n0245_p0826b21║白佛言:「世尊!護十地行菩薩云何行可行?

    T08n0245_p0826b22║云何行化眾生?以何相眾生可化?」佛言:「大

    T08n0245_p0826b23║王!五忍是菩薩法:伏忍上中下、信忍上中下、

    T08n0245_p0826b24║順忍上中下、無生忍上中下、寂滅忍上中下,

    T08n0245_p0826b25║名為諸佛菩薩修般若波羅蜜。



  6. 구마라습 한역, 번역자 미상 K.19, T.245, 《불설인왕반야바라밀경》, 상권 〈3. 보살교화품(菩薩敎化品)〉. p. 11 / 50. 5인(五忍)
    부처님께 아뢰었다.

    “세존이시여, 10지행(地行)을 수호하는 보살은 어떠한 행을 행하여야 하며, 어떠한 행으로 중생을 교화하며, 어떠한 모습의 중생을 교화할 수 있습니까?”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대왕이여, 5인(忍)이 이 보살의 법이니, 복인(伏忍)의 상(上)ㆍ중(中)ㆍ하(下)와 신인(信忍)의 상중하와 순인(順忍)의 상중하와 무생인(無生忍)의 상중하와 적멸인(寂滅忍)의 상하를 이름하여 모든 불ㆍ보살이 반야바라밀을 닦는다고 하느니라.



  7. 불공 한역 T.246, 《仁王護國般若波羅蜜多經(인왕호국반야바라밀다경)》, 상권 〈3. 보살행품(菩薩行品)〉. p. T08n0246_p0836b11 - T08n0246_p0836b17. 5인(五忍)
    T08n0246_p0836b11║爾時,波斯匿王白佛言:「世尊!護十地行菩薩

    T08n0246_p0836b12║摩訶薩,應云何修行?云何化眾生?復以何相

    T08n0246_p0836b13║而住觀察?」

    T08n0246_p0836b14║佛告大王:「諸菩薩摩訶薩依五忍法以為修

    T08n0246_p0836b15║行,所謂:伏忍、信忍、順忍、無生忍——皆上中下,於

    T08n0246_p0836b16║寂滅忍而有上下,名為菩薩修行般若波羅

    T08n0246_p0836b17║蜜多。



  8. 불공 한역, 번역자 미상 K.1340, T.246, 《인왕호국반야바라밀다경》, 상권 〈3. 보살행품(菩薩行品)〉. pp. 8-9 / 47. 5인(五忍)
    그 때 바사닉왕이 부처님께 아뢰었다.

    “세존이시여, 십지의 행[十地行]을 보호하는 보살마하살은 마땅히 어떻게 수행하고 어떻게 중생을 교화하며 또 어떤 모양으로 머물러 관찰해야 합니까?”

    부처님께서 대왕에게 말씀하셨다.

    “모든 보살마하살은 5인(忍)의 법에 의해서 수행해야 할 것이다. 이른바 복인(伏忍)ㆍ신인(信忍)ㆍ순인(順忍)ㆍ무생인(無生忍)인데, 모두 상ㆍ중ㆍ하가 있고 적멸인(寂滅忍)에도 상ㆍ하가 있다. 이것을 보살이 반야바라밀다를 수행한다고 한다.



  9. 운허, "五忍(오인)". 2013년 4월 12일에 확인.


  10. 星雲, "五忍". 2013년 4월 12일에 확인.



외부 링크





  • 한글대장경 반야바라밀다심경 전문 - 동국대 역경원[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한글대장경 대반야바라밀다경 전문 - 동국대 역경원[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조기영 역, 지만지, ISBN 9788962283624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반야심경&oldid=24548234"













둘러보기 메뉴


























(RLQ=window.RLQ||[]).push(function()mw.config.set("wgPageParseReport":"limitreport":"cputime":"0.892","walltime":"1.263","ppvisitednodes":"value":7551,"limit":1000000,"ppgeneratednodes":"value":0,"limit":1500000,"postexpandincludesize":"value":308897,"limit":2097152,"templateargumentsize":"value":43239,"limit":2097152,"expansiondepth":"value":15,"limit":40,"expensivefunctioncount":"value":1,"limit":500,"unstrip-depth":"value":0,"limit":20,"unstrip-size":"value":147061,"limit":5000000,"entityaccesscount":"value":0,"limit":400,"timingprofile":["100.00% 860.824 1 -total"," 35.85% 308.620 15 틀:둘러보기_상자"," 29.10% 250.464 1 틀:ISBN"," 25.33% 218.066 1 틀:Error-small"," 16.23% 139.690 1 틀:불교_둘러보기"," 15.95% 137.261 1 틀:인용문"," 12.79% 110.111 282 틀:윗주"," 11.84% 101.948 8 틀:서적_인용"," 6.18% 53.212 1 틀:불교"," 5.72% 49.252 1 틀:Sidebar_with_collapsible_lists"],"scribunto":"limitreport-timeusage":"value":"0.242","limit":"10.000","limitreport-memusage":"value":3982941,"limit":52428800,"cachereport":"origin":"mw1239","timestamp":"20190903152855","ttl":2592000,"transientcontent":false););"@context":"https://schema.org","@type":"Article","name":"ubc18uc57cuc2ecuacbd","url":"https://ko.wikipedia.org/wiki/%EB%B0%98%EC%95%BC%EC%8B%AC%EA%B2%BD","sameAs":"http://www.wikidata.org/entity/Q622868","mainEntity":"http://www.wikidata.org/entity/Q622868","author":"@type":"Organization","name":"uc704ud0a4ubbf8ub514uc5b4 ud504ub85cuc81dud2b8 uae30uc5ecuc790","publisher":"@type":"Organization","name":"Wikimedia Foundation, Inc.","logo":"@type":"ImageObject","url":"https://www.wikimedia.org/static/images/wmf-hor-googpub.png","datePublished":"2008-12-08T00:05:06Z","dateModified":"2019-07-09T03:48:51Z","image":"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e/e8/DharmaWheelGIF.gif"(RLQ=window.RLQ||[]).push(function()mw.config.set("wgBackendResponseTime":316,"wgHostname":"mw1238"););

Popular posts from this blog

Kamusi Yaliyomo Aina za kamusi | Muundo wa kamusi | Faida za kamusi | Dhima ya picha katika kamusi | Marejeo | Tazama pia | Viungo vya nje | UrambazajiKuhusu kamusiGo-SwahiliWiki-KamusiKamusi ya Kiswahili na Kiingerezakuihariri na kuongeza habari

Swift 4 - func physicsWorld not invoked on collision? The Next CEO of Stack OverflowHow to call Objective-C code from Swift#ifdef replacement in the Swift language@selector() in Swift?#pragma mark in Swift?Swift for loop: for index, element in array?dispatch_after - GCD in Swift?Swift Beta performance: sorting arraysSplit a String into an array in Swift?The use of Swift 3 @objc inference in Swift 4 mode is deprecated?How to optimize UITableViewCell, because my UITableView lags

Access current req object everywhere in Node.js ExpressWhy are global variables considered bad practice? (node.js)Using req & res across functionsHow do I get the path to the current script with Node.js?What is Node.js' Connect, Express and “middleware”?Node.js w/ express error handling in callbackHow to access the GET parameters after “?” in Express?Modify Node.js req object parametersAccess “app” variable inside of ExpressJS/ConnectJS middleware?Node.js Express app - request objectAngular Http Module considered middleware?Session variables in ExpressJSAdd properties to the req object in expressjs with Typescrip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