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법인 같이 보기 참고 문헌 둘러보기 메뉴eheh
불교 사상불교 용어명수 3
불교불교근본불교일체개고Dukkha제행무상Anicca제법무아Anatta고무상무아영어Three marks of existence일체개고열반적정제행무상제법무아열반적정열반적정일체개고제행무상제법무아열반적정고타마 붓다고일체개고고일체개고현실존재고실체고현실존재제행무상실체제법무아실체고고타마 붓다지혜반야보리욕망집착에서 벗어날 때열반적정불교가전연대가섭나후라목건련부루나사리불수보리아나률아난타우바리
삼법인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불교 | |||||
---|---|---|---|---|---|
| |||||
교의와 용어
| |||||
역사와 종파
| |||||
경전
| |||||
성지
| |||||
지역별 불교
| |||||
삼법인(三法印,tilakkhaṇa)은 불교의 교의를 요약하여 제시한 기치 또는 슬로건으로, 불교의 기본적 입장을 특징적으로 보여 주는 근본불교 시대에 발생한 교의이다. 여기서 빠알리어의 ti는 3을, lakkhaṇa는 특징을 뜻하는 말로써, <3가지 특징>이라고 직역되며, 일반적으로 <3법인>이라고 부른다. 법인(法印)이란, 법의 도장이라는 뜻으로, "이것이 찍혀있으면 진짜이고, 이것이 찍혀있지 않으면 가짜이다."라고 말해질 정도로 불교의 진.위를 판별하는 중요한 개념이다.
처음에 삼법인은 일체개고(一切皆苦 · Dukkha) · 제행무상(諸行無常 · Anicca) · 제법무아(諸法無我 · Anatta)의 세 가지를 가리켰다. 이 최초의 삼법인의 각각은 간단히 고(苦) · 무상(無常) · 무아(無我)라고도 한다. "삼법인"이라는 낱말의 영어 번역어인 "Three marks of existence (존재의 세 가지 특징 또는 성격)"는 이 최초의 삼법인에 대한 번역어이다. 후에는 일체개고를 열반적정(涅槃寂靜)으로 대체하여 제행무상 · 제법무아 · 열반적정을 삼법인이라고 하기도 하였다. 또는 최초의 삼법인에 열반적정을 추가하여 일체개고 · 제행무상 · 제법무아 · 열반적정을 사법인(四法印)이라고도 하였다.
고타마 붓다는 이 현실세계는 모두 고(苦)라고 하는 일체개고(一切皆苦)의 현실인식에서 출발하여, 고(苦)의 원인이 인간 자신의 마음 속에 있는 자기모순에 있다고 하였다. 일체개고의 현실인식은 현실 또는 존재(existence) 그 자체에 고(苦)라고 하는 고정된 성질 또는 실체가 있다는 의미가 아니며 또한 고(苦)의 원인이 현실 또는 존재 그 자체에 있다는 의미가 아니다. 즉, 이 세상에 존재하고 있는 것은 시시각각 흘러가고 변화하고 있어 고정되어 있는 것이 없는데(제행무상) 인간은 항상 불변을 바라고, 또 모든 것은 무엇 하나 고정적 실체인 것은 없는데도(제법무아) 그것을 실체라고 고집하려 하는 데에 고(苦)의 원인이 있다고 고타마 붓다는 말하였다. 따라서 올바른 지혜(반야 · 보리)를 통해서, 이러한 자기모순에 빠진 자기 자신을 반성하며 욕망을 버리고 집착에서 벗어날 때야말로 아무 것에도 어지럽혀지지 않은 이상적인 열반적정의 경지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이, 삼법인 또는 사법인이라는 교의 속에서 나타나는 불교의 기본적 입장이다.
같이 보기
- 고집멸도
- 연기
- 공
- 반야
- 보리
참고 문헌
분류:
- 불교 사상
- 불교 용어
- 명수 3
(RLQ=window.RLQ||[]).push(function()mw.config.set("wgPageParseReport":"limitreport":"cputime":"0.240","walltime":"0.284","ppvisitednodes":"value":983,"limit":1000000,"ppgeneratednodes":"value":0,"limit":1500000,"postexpandincludesize":"value":190210,"limit":2097152,"templateargumentsize":"value":572,"limit":2097152,"expansiondepth":"value":9,"limit":40,"expensivefunctioncount":"value":0,"limit":500,"unstrip-depth":"value":0,"limit":20,"unstrip-size":"value":0,"limit":5000000,"entityaccesscount":"value":0,"limit":400,"timingprofile":["111.10% 154.736 14 틀:둘러보기_상자","100.00% 139.277 1 -total"," 59.07% 82.272 1 틀:불교_둘러보기"," 35.22% 49.049 1 틀:불교"," 32.39% 45.112 1 틀:Sidebar_with_collapsible_lists"," 2.99% 4.167 1 틀:.c"," 2.64% 3.679 1 틀:인용문2"," 2.42% 3.365 1 틀:글로벌세계대백과사전"," 2.39% 3.330 13 틀:.cw"],"scribunto":"limitreport-timeusage":"value":"0.065","limit":"10.000","limitreport-memusage":"value":2041663,"limit":52428800,"cachereport":"origin":"mw1309","timestamp":"20190903160456","ttl":2592000,"transientcontent":false););"@context":"https://schema.org","@type":"Article","name":"uc0bcubc95uc778","url":"https://ko.wikipedia.org/wiki/%EC%82%BC%EB%B2%95%EC%9D%B8","sameAs":"http://www.wikidata.org/entity/Q17280924","mainEntity":"http://www.wikidata.org/entity/Q17280924","author":"@type":"Organization","name":"uc704ud0a4ubbf8ub514uc5b4 ud504ub85cuc81dud2b8 uae30uc5ecuc790","publisher":"@type":"Organization","name":"Wikimedia Foundation, Inc.","logo":"@type":"ImageObject","url":"https://www.wikimedia.org/static/images/wmf-hor-googpub.png","datePublished":"2009-01-07T09:11:50Z","dateModified":"2017-01-08T15:30:21Z","image":"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e/e8/DharmaWheelGIF.gif","headline":"ubd88uad50 uc6a9uc5b4"(RLQ=window.RLQ||[]).push(function()mw.config.set("wgBackendResponseTime":178,"wgHostname":"mw12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