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문화방송 목차 역사 연혁 사가 방송 사옥 역대 사장 회사 네트워크 계열 방송사 마케팅 직원 해외 제휴 방송국 각주 함께 보기 외부 링크 둘러보기 메뉴북위 37° 34′ 52.3″ 동경 126° 53′ 26.9″ / 북위 37.581194° 동경 126.890806°  / 37.581194; 126.890806문화방송重役陣(중역진)을 改編(개편) 한국문화방송국走馬看山(주마간산)—結論(결론) 없이지나가는「革命(혁명)4年(년)」“방송문화진흥회법 개정 이유”社歌(사가)MBC 상암 신사옥 및 각 스튜디오 소개MBC 신길 스튜디오 준공 경향신문“방송사별 광고비 현황”문화방송문화방송 공식 웹사이트MBC 미디어 그룹 웹사이트경향신문 동업 시대의 정동 사옥의 현재MBC C&I(구 MBC 프로덕션) 웹사이트방송문화진흥회 웹사이트문화방송ehehehDTSDMB DriveKBS MOZEN TPEGDTSeheheh

MBC TV문화방송춘천문화방송원주문화방송MBC강원영동강릉방송국삼척방송국대전문화방송MBC충북청주방송국충주방송국전주문화방송광주문화방송목포문화방송여수문화방송대구문화방송안동문화방송포항문화방송부산문화방송울산문화방송MBC경남창원방송진주방송제주문화방송MBC PLUSMBC 드라마넷MBC 에브리원MBC 뮤직MBC 스포츠플러스MBC ONMBC NET방송문화진흥회정수장학회경향신문삼성현대자동차SKLG롯데포스코GS한화농협현대중공업현대백화점영풍대우조선해양한국투자금융금호아시아나효성OCIKT&GKCC교보생명보험한라이랜드DB호반건설동원현대산업개발태영아모레퍼시픽네이버동국제강현대KBS STARKBS HEARTKBS MUSICMBC RADIOSBS V-RadioArirang RadioHYUNDAI HomemYTNLOTTE HomeshopWOW-TVHome&ShoppingCJ O SHOPPINGCJ O SHOPPINGCJ O SHOPPINGCJB-mYTNCJ O SHOPPINGJTV-mYTNCJ O SHOPPINGCJ O SHOPPINGubc uCJ O SHOPPINGKBS1라디오2라디오(해피FM)3라디오(사랑의 소리방송)1FM(클래식FM)2FM(쿨FM)한민족월드지역EBS라디오MBC라디오FM4U지역SBS러브FM파워FM지역민방경인방송 iFMKFM 경기방송KNN러브FM파워FMTBC Dream FMTJB POWER FMkbc My FMubc Green FMJTV MAGIC FMCJB JOY FMG1 Fresh FMJIBS New Power FM관악FM마포FM성남FM금강FM성서공동체FM광주시민방송영주FMYTN NEWS FMArirang RadioDMB서울부산광주국악방송부산광주대구대전충주영동남원강릉전주남도경주제주tbs 교통방송TBN부산광주대구대전경인강원전북울산경남경북제주국방FMAFN The EagleAFN Thunder AMKBSKBS 1TVKBS 2TVMBCMBC TVSBSSBS TVEBSEBS 1TVEBS 2TVKBS 경인OBSKBS 원주KBS 강릉KBS 춘천춘천MBC원주MBCMBC강원영동강릉삼척G1KBS 대전KBS 충주KBS 청주대전MBCMBC충북TJBCJBKBS 전주KBS 광주KBS 순천KBS 목포전주MBC광주MBC목포MBC여수MBCJTVkbcKBS 대구KBS 안동KBS 포항KBS 부산KBS 울산KBS 창원KBS 진주대구MBC안동MBC포항MBC부산MBC울산MBCMBC경남창원진주TBCKNNubcKBS 제주제주MBCJIBSCNN USCNN InternationalFOX NEWSBBC World NEWSBloombergCNBCNHK World-JAPANNHK World PremiumCCTV-4CGTNCGTN DocumentaryArirang TVKBS N SportsMBC Sports+SBS SportsSBS GolfJTBC3 Fox SportsJTBC GOLFSPOTVSPOTV2SPOTV+SPOTV ON1SPOTV ON2IB SportsGolf Channel KoreaskySportsskyTravelskyHealing빌리어즈TV엣지TV한국승마TVSTN SPORTS생활체육TV마운틴TV폴라리스TVONT아웃도어채널FS-TV 한국레저낚시방송FTV 한국낚시채널브레인TV바둑TVK-바둑온북TVMBC MusicSBS MTVMnetCUBE TVGM국악방송Stingray Classica가요TV아이넷TV월드이벤트TVKISS 뮤직포털Satio 음악방송KBS N LIFEMBC NET9colorsNOW JEJU TVYTN 사이언스YTN 라이프채널뷰skyA&CskyICTskyPetParkNGCNat Geo WildNat Geo People디스커버리 채널HISTORYTLC애니멀 플래닛예술TV Arte리얼TV환경TVDIA TVOGNSPOTV GAMESSBS AfreecaTV투니버스챔프TVNickelodeon애니맥스애니플러스애니박스애니원디즈니채널디즈니 주니어카툰네트워크부메랑드림웍스KTV 국민방송국회방송한국직업방송소상공인방송 yestv국방TVtbs 교통방송소비자TV시민방송 RTV법률방송일자리방송복지TV실버TV실버아이사회안전방송JJC지방자치TVOUN 방송대학TVSBS Plus UHDUXNUMAXLIFE UUHD Dream TVskyUHDAsiaUHDINSIGHT UHD


문화방송대한민국의 지상파 방송국서울특별시의 기업1961년 설립된 기업1969년 설립된 텔레비전 방송국과 채널


대한민국수도권1961년2월 21일12월 2일라디오영등포구여의동여의도 문화방송 사옥디지털 미디어 시티2014년6월 28일2014년8월 4일2014년9월 1일서울특별시마포구상암동경기도양주KBS 2TV한국케이블TV제주방송부산문화방송5·16 군사 정변1969년새엄마신부일기수선화후회합니다KBSTBC웃으면 복이와요1974년11월 1일박정희경향신문1980년 언론 통폐합쌍용화재현대대구문화방송전주문화방송울산문화방송MBC경남 진주방송MBC강원영동 강릉방송국춘천문화방송목포문화방송제주문화방송MBC경남 창원방송한국방송공사국회방송문화진흥회채널 4정수장학회박목월손석우방송법서울특별시영등포구여의도중구경향신문도쿄베이징방콕파리런던로스앤젤레스워싱턴 D.C.뉴욕MBC 플러스MBC C&IiMBC1961년12월1969년7월1969년7월1974년7월1974년7월1981년3월1980년12월1981년12월1981년12월1985년12월1986년1월2004년12월2005년1월 3일2011년12월2005년1월 3일1969년7월1981년12월1981년12월1985년12월1986년1월2004년12월2005년1월









(function()var node=document.getElementById("mw-dismissablenotice-anonplace");if(node)node.outerHTML="u003Cdiv class="mw-dismissable-notice"u003Eu003Cdiv class="mw-dismissable-notice-close"u003E[u003Ca tabindex="0" role="button"u003E숨기기u003C/au003E]u003C/divu003Eu003Cdiv class="mw-dismissable-notice-body"u003Eu003Cdiv id="localNotice" lang="ko" dir="ltr"u003Eu003Cpu003Eu003Ca href="/wiki/%EC%9C%84%ED%82%A4%EB%B0%B1%EA%B3%BC:3.1%EC%9A%B4%EB%8F%99_100%EC%A3%BC%EB%85%84_%EA%B8%B0%EB%85%90_%EC%97%90%EB%94%94%ED%84%B0%ED%86%A4" title="위키백과:3.1운동 100주년 기념 에디터톤"u003E3.1운동 100주년 기념 에디터톤u003C/au003E이 3월 11일부터 4월 11일까지 진행됩니다.nu003C/pu003Eu003Cpu003E3월 30일 서울에서 u003Ca href="/wiki/%EC%9C%84%ED%82%A4%EB%B0%B1%EA%B3%BC:%EC%98%A4%ED%94%84%EB%9D%BC%EC%9D%B8_%EB%AA%A8%EC%9E%84/2019%EB%85%84_%EB%8F%85%EC%84%9C_%26_%EA%B3%B5%EB%8F%99_%ED%8E%B8%EC%A7%91" title="위키백과:오프라인 모임/2019년 독서 u0026amp; 공동 편집"u003E2019년 독서 u0026amp; 공동 편집 오프라인 모임u003C/au003E이 열립니다.nu003C/pu003Eu003Cpu003E3월 30일 u003Ca href="/wiki/%EC%9C%84%ED%82%A4%EB%B0%B1%EA%B3%BC:%EC%98%A4%ED%94%84%EB%9D%BC%EC%9D%B8_%EB%AA%A8%EC%9E%84/2019%EB%85%84_3%EC%9B%94_30%EC%9D%BC_%EB%8C%80%EA%B5%AC" title="위키백과:오프라인 모임/2019년 3월 30일 대구"u003E대구광역시에서 오프라인 모임u003C/au003E이 열립니다.nu003C/pu003Eu003C/divu003Eu003C/divu003Eu003C/divu003E";());



문화방송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MBC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좌표: 북위 37° 34′ 52.3″ 동경 126° 53′ 26.9″ / 북위 37.581194° 동경 126.890806°  / 37.581194; 126.890806











































문화방송

Munhwa Broadcasting Company.svg

MBC 상암 신사옥
MBC 상암 신사옥
한국명
문화방송
한자표기
文化放送
영문표기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
약칭
MBC
형태
준공영방송, 주식회사
창립일

1961년 2월 21일
개국일

1961년 12월 2일(AM)
1969년 8월 8일(TV)
1971년 9월 19일(FM)
자본금
1,000,000,000원 (2015.12)
매출액
1,500,941,912,398원 (2015)
영업 이익
59,272,035,738원 (2015)
순이익
82,403,520,805원 (2015)
자산 총액
2,557,227,645,206원 (2015.12)
주요 주주

방송문화진흥회 70%
정수장학회 30%
직원수
1,712명 (2015.12)
본사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마포구 성암로 267 (상암동)
사장

최승호
슬로건
새로움을 탐험하다.
웹사이트

문화방송 - 공식 웹사이트

문화방송(文化放送, 영어: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은 대한민국 수도권을 가시청권으로 하는 지상파 준공영방송사이다. 다른 지역의 16개의 문화방송네트워크 방송사와 함께 전국방송망을 구축하고 있다. 1961년 2월 21일 창립하였으며, 12월 2일에 라디오 방송국으로 개국했다. 문화방송이 운영하고 있는 라디오방송은 FM4U와 표준FM이 있으며, 24시간 방송한다. 문화방송의 호출부호는 HLKV이다.


문화방송 측은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동 기존 여의도 문화방송 사옥의 건물 노후화로 인하여 디지털 미디어 시티(DMC)내에 신사옥 건립을 추진해 2014년 6월 28일에 완공하였다. 그리고 2014년 8월 4일 상암동 신사옥에서 첫 전파를 발사하였으며, 2014년 9월 1일 신사옥 준공식을 가졌다. 본사는 서울특별시 마포구 성암로 267 (상암동)에 있고 경기도 양주의 스튜디오와 MBC드림센터 (일산제작센터) 등이 있다. KBS 2TV와같이 한국케이블TV제주방송을 제외한나머지는채널번호가 같다.




목차





  • 1 역사


  • 2 연혁

    • 2.1 라디오 시대 (1961년 ~ 1969년)


    • 2.2 흑백 텔레비전 시대 (1969년 ~ 1980년)


    • 2.3 컬러 방송 시대 (1980년 ~ 1990년)


    • 2.4 멀티미디어 시대 (1991년 ~ 2000년)


    • 2.5 디지털 시대 (2001년 ~ 2010년)


    • 2.6 다채널 시대 (2011년 ~ 현재)



  • 3 사가


  • 4 방송

    • 4.1 TV방송


    • 4.2 라디오방송


    • 4.3 지상파DMB방송



  • 5 사옥

    • 5.1 변천 과정


    • 5.2 현황



  • 6 역대 사장


  • 7 회사

    • 7.1 조직


    • 7.2 인원


    • 7.3 자본 및 주주 현황


    • 7.4 영업 매출


    • 7.5 사옥


    • 7.6 지사 · 자회사



  • 8 네트워크 계열 방송사


  • 9 마케팅

    • 9.1 CI(영문)


    • 9.2 CI(국문)


    • 9.3 로고송


    • 9.4 마스코트


    • 9.5 역대 방송지표



  • 10 직원

    • 10.1 아나운서

      • 10.1.1 현직 아나운서


      • 10.1.2 전직 아나운서

        • 10.1.2.1 퇴직


        • 10.1.2.2 퇴사/프리랜서 선언


        • 10.1.2.3 작고


        • 10.1.2.4 계약만료


        • 10.1.2.5 승진, 기타


        • 10.1.2.6 경질


        • 10.1.2.7 해고




    • 10.2 기자

      • 10.2.1 현직 기자


      • 10.2.2 전직 기자


      • 10.2.3 승진, 기타


      • 10.2.4 해고




  • 11 해외 제휴 방송국


  • 12 각주


  • 13 함께 보기


  • 14 외부 링크




역사


문화방송은 1959년 설립된 국내 최초의 상업 라디오 방송인 문화방송(現 부산문화방송)을 모태로 하고 있다. 현재의 부산문화방송은 개국 당시부터 1965년까지 명칭이 문화방송이었다. 현재의 문화방송은 現 부산문화방송보다 2년 늦게 개국했으며, 개국 당시의 명칭은 한국문화방송이었다. 당시 부산 지역의 유력 재벌이었던 김지태 (조선견직 사주)는 문화방송 외에 부산일보도 운영하고 있었는데, 문화방송(現 부산문화방송)의 경영이 어려워지자 이를 인수하고 1961년 한국문화방송(現 문화방송)도 개국하게 된다. 하지만 김지태는 5·16 군사 정변(쿠데타) 이후 부정축재자로 적발, 1962년 한국문화방송, 부산문화방송, 부산일보 등 전 재산을 5·16장학회에 헌납하게 됐다.[1][2] 후발주자였지만 1969년 TV 개국 이후 여러 대형쇼를 기획해 사람들의 이목을 집중시키더니 드라마 《새엄마》, 《신부일기》, 《수선화》, 《후회합니다》 등을 히트시키며 시청률면에서도 KBS를 앞서고, 마침내는 시청률 우위를 점하고 있던 TBC를 앞서기도 했다(1974년). 이후 TBC와 시청률이 막상막하였으며, 서로 번갈아가며 드라마를 히트시켰다(그러나 전체적으론 TBC는 드라마·뉴스에서, 문화방송은 웃으면 복이와요 등으로 예능에서 앞섰다. KBS는 가끔씩만 앞섰으며, KBS는 두 민방보다 채널이 다채롭지 않았다). 1974년 11월 1일 박정희 대통령의 지시로 경향신문과 통합되었으나 1980년 언론 통폐합으로 분리되면서 현재 경향신문-문화방송과의 관계는 정수장학회에 관여되어 있다는 것 뿐이다.[3] 1969년 은행 차입과 외자에 의존해 TV 방송을 시작하면서 경영난에 봉착한 문화방송의 경영난을 타개하기 위해 박정희 정권은 주식의 70%를 쌍용화재, 현대 등 대기업 11개 회사에게 강제 인수시켰다. 대기업 지분은 배당도 받지 못하고 의결권도 없고 매각도 할 수 없는 조건이었다.


문화방송은 1963년 4월 12일 정부로부터 전국의 주요 도시 곧 대구, 광주, 대전, 전주 등에 지국 설치 허가를 얻어서 네트워크 확장에 주력하기 시작했다. 1963년 8월 8일 문화방송 대구지국(現 대구문화방송), 1965년 문화방송 전주지국(現 전주문화방송)이 첫 전파를 발사함으로써 MBC는 전국 6대 도시를 연결하는 네트워크를 구성했다. 이어 1968년부터 1969년 사이에도 울산민간방송(現 울산문화방송), 진주민간방송(現 MBC경남 진주방송), 영동방송(現 MBC강원영동 강릉방송국), 강원방송(現 춘천문화방송), 라디오목포(現 목포문화방송), 남양방송(現 제주문화방송), 경남방송(現 MBC경남 창원방송) 등 7개의 민영방송이 등장, 문화방송과 네트워크 가맹을 맺음으로써 전국 네트워크에는 총 13개의 직할국 또는 가맹국이 참여하게 되었다.[4]


1980년 ‘전두환 신군부’가 실세가 되자 대기업들은 이 주식을 헌납하고 언론통폐합 과정에서 한국방송공사(KBS)가 맡게 됐다. 7개 지역가맹사의 주식 또한 각각 51% 이상 인수되어 문화방송은 전 가맹사와 직할국을 계열화하게 되었다. 그러나 시청률에 우위를 보였으며, 뉴스, 드라마, 예능 등 거의 전 부문에서 KBS를 앞선다.(90년대 중반까지)그리고 이 시기 MBC는 드라마 왕국으로 불렸다. 87년 민주화 이후 주식의 70%를 국회에서 제정한 공익재단인 방송문화진흥회가 보유하고 있으며, 사장 선임을 비롯한 간접적인 경영에 참여하고 있다. 모든 방송 제작비용을 시청료가 아닌 광고료로 하고 있어 상업방송으로 볼 수 있지만, 경영은 정부에서 하는 '준공영방송'체제라고 할 수 있다. 비슷한 체제로는 영국의 채널 4가 있다. 방송문화진흥회 주식 이외의 주식지분 30%는 정수장학회가 보유하며 수익의 일부를 사회에 환원하고 있다.



연혁



라디오 시대 (1961년 ~ 1969년)



  • 1961년 1월 28일 - 《서울민간방송㈜》이 설립 인가(대표이사 김지태).


  • 1961년 2월 21일 - 《서울민간방송㈜》이 설립 등기.


  • 1961년 3월 8일 - 《한국방송㈜, 약칭HBC》으로 사명을 변경(한국방송공사와는 관계 없음).


  • 1961년 6월 7일 - 1기 성우, 기자, 아나운서 모집.


  • 1961년 7월 7일 - 《라디오서울》으로 사명을 변경.


  • 1961년 7월 11일 - MBC 회사 마크 현상공표 가작.


  • 1961년 10월 10일 《한국문화방송㈜》으로 사명을 변경


  • 1961년 11월 11일 - 라디오방송 시험전파 발사.


  • 1961년 12월 2일 - MBC 라디오 방송 개국(호출부호 HLKV, 주파수 900kHZ, 출력 10kW).


  • 1962년 6월 30일 - 문화방송, 부산문화방송 강제 헌납.[5]


  • 1962년 7월 5일 - 부일장학회 해체 및 5.16 장학재단 설립 (1982년 정수장학회로 개명).


  • 1964년 MBC, 경영 규모 확대에 따라 불입자본금 2,000만원으로 증액.


  • 1964년 4월 12일 - 전국 네트워크 구축(대전MBC, 대구MBC, 광주MBC, 전주MBC).


  • 1965년 5월 1일 - MBC 라디오 드라마 《전설따라 삼천리》방송 시작.


  • 1966년 - 라디오의 질적 심화와 발전 위해 ‘뉴라디오이론’ 도입(한국 방송 사상 처음으로 생활정보방송 실시, 자율심의기관인 방송편성심의위원회·농어촌방송자문위원회 등 설치).


  • 1966년 1월 23일 - 라디오 방송출력 50kW로 증강.


  • 1967년 - 사세 확장과 TV 개국 준비에 맞춰 신사옥 건립 결정.


  • 1967년 7월 - 신사옥 기본설계 계약.


  • 1968년 2월 3일 - 정동사옥 기공.


  • 1968년 12월 31일 - TV, 시험전파 방송 개시.


흑백 텔레비전 시대 (1969년 ~ 1980년)



  • 1969년 3월 10일 - 《한국연합광고》 설립.


  • 1969년 7월 4일 - TV 개국을 앞두고(영문 소문자 mbc) 형태 고안 정탁영 제작.


  • 1969년 8월 1일 - 정동 사옥(현 경향신문 사옥) 준공.


  • 1969년 8월 8일 - MBC 텔레비전 방송 개시(호출부호 HLAC-TV, 출력 2 kW).


  • 1970년 10월 5일 - MBC 대표 메인뉴스 프로그램 MBC 뉴스데스크 방송 시작 (첫 방송 당시에는 10시 30분에 시작함).


  • 1971년 5월 11일 - 일본 후지 TV와 제휴.


  • 1971년 5월 16일 - MBC 도쿄지국 후지TV 카와다쵸 제1별관으로 개설.


  • 1971년 9월 19일 - MBC FM 방송시작(호출부호 HLKV-FM, 주파수 91.9 MHz).


  • 1971년 9월 29일 - 20개 지역 민방사와 네트워크 협정을 맺음.


  • 1971년 10월 1일 - MBC 제휴 방송국, 소재지 도시명 다음에 문화방송 표기토록 사명 변경 통일(제주 남양문화방송 제외). (現 제주MBC)


  • 1972년 2월 28일 - 《문화관광㈜》을 설립.


  • 1972년 4월 15일 - TV 호출부호를 HLAC-TV에서 HLKV-TV로 변경.


  • 1972년 7월 - TV방송, 7개의 네트워크망 형성.


  • 1973년 12월 3일 - 석유파동(오일 쇼크)으로 평일 및 토요일 아침방송 중단. (1981년 5월 24일까지 7년 6개월간 지속)


  • 1974년 11월 1일 - 《㈜문화방송·경향신문》으로 발족.


  • 1975년 9월 8일 - 문화체육관 개관.


  • 1977년 3월 7일 - 문화관광이 청산됨.


  • 1977년 9월 3일 - MBC 제1회 대학가요제 개최.


  • 1979년 7월 19일 - 주식상장이 폐지됨.


  • 1979년 8월 5일 - MBC 제1회 강변가요제 개최.


  • 1979년 9월 11일 - 지금의 상암동으로 옮기기 전 본사 소재지인 여의도 스튜디오가 착공.


  • 1980년 12월 1일 - 강제적인 언론통폐합으로 신아일보를 흡수통합하고, 전국 네트워크 가맹사의 주식 51%가 문화방송으로 넘겨져 계열화되어, 현재까지 계열국 체제가 유지되고 있음.


  • 1980년 12월 22일 - TV 컬러방송을 시작.


컬러 방송 시대 (1980년 ~ 1990년)



  • 1981년 1월 1일 - TV 컬러방송이 전국화됨.


  • 1981년 4월 1일 - 언론기본법 제정에 따라 문화방송과 경향신문사가 분리됨.


  • 1981년 5월 25일 - TV 아침방송 재개와 동시에 시작 시간 아침 6시로 조정.


  • 1981년 12월 2일 - MBC 창사 20주년을 맞아 로고 변경("mbc" 소문자에서 "MBC" 대문자 글자체로 통일)


  • 1982년 1월 26일 - 프로 야구단 MBC 청룡이 창단함


  • 1982년 3월 17일 - 여의도 스튜디오 사옥이 준공됨


  • 1982년 3월 18일 - 일본 후지TV 서울지국 여의도 사옥 이전.


  • 1982년 4월 2일 - TV 출력 증강(10㎾→50㎾).


  • 1982년 9월 4일 - 라디오 FM 시보 작곡 완료(작곡: 박춘석, 길옥윤, 엄기돈, 정서봉).


  • 1983년 4월 20일 - FM 출력 증강(1㎾→10㎾).


  • 1983년 1월 4일 - 일본에서 음반 구입(클래식 40매, 팝송 286매).


  • 1983년 4월 30일 - 제1회 MBC 창작동요제 개최.


  • 1983년 10월 1일 - MBC 라디오 드라마 《전설따라 삼천리》15년 간의 방송을 종영함.


  • 1984년 9월 20일 - 경기도 양주시에 소재한 사원체력단련장이 준공됨.


  • 1984년 12월 1일 - 송신·중계운영 KTA(한국전기통신공사, 현 주식회사 KT)에 위탁.


  • 1985년 5월 1일 - 여의도 사옥의 증축공사가 착공함.


  • 1985년 10월 10일 - MBC CI 기본체계 확정 발표.


  • 1986년 1월 1일 - MBC CI 첫 도입(홍익대학교 권명광 교수가 작업).


  • 1986년 4월 19일 - 관악산 TV중계소가 준공됨.


  • 1986년 4월 29일 - 정동방송시설, 여의도로 이전 송출 시작.


  • 1986년 5월 30일 - 여의도 사옥 증축공사가 완공됨.


  • 1987년 5월 - MBC 사업단의 비디오 테이프를 생산 개시.


  • 1987년 12월 9일 - 노동조합이 설립됨.


  • 1987년 12월 15일 - 관악산 표준FM방송 개국(호출부호 HLCP-FM(현재는 HLKV-SFM, 주파수 FM 95.9 MHz, 출력 10㎾, 스테레오로 방송).


  • 1988년 7월 1일 - AM·표준FM·음악FM 종일 방송 개시(AM·표준FM·음악FM의 월요일 ~ 토요일까지는 24시간, AM·표준FM의 일요일은 새벽 5시 ~ 익일 새벽 3시까지 22시간, 음악FM의 일요일은 새벽 5시 ~ 익일 새벽 2시까지 21시간 방송).


  • 1988년 9월 17일 ~ 10월 2일 - 88 서울 올림픽 생방송으로 KBS와 공동 중계.


  • 1988년 12월 31일 - 1988년 12월 26일 시행된 방송문화진흥회법에 따라 방송문화진흥회가 설립되었다. 위 법의 취지는 당시 한국방송공사가 소유하고 있던 주식회사 문화방송의 주식을 방송문화진흥회가 출연받고, 방송문화진흥회는 동 주식을 정부 또는 외부의 간섭없이 독자적으로 운용·관리함으로써 동 문화방송의 공정성과 독자성을 보장하고, 나아가 방송문화의 발전 및 공공복지향상에 이바지할 수 있도록 하려는 것이었다.[6]


  • 1989년 12월 14일 - 프로야구단 MBC 청룡을 LG 그룹에 130억원에 매각함.


  • 1990년 4월 1일 - CP(Chief Producer)제 확대 실시.


  • 1990년 7월 2일 - 《MBC 방송 강령》 선포.


  • 1990년 10월 15일 - TV문자방송(MINDS: 마인즈) 개국.



MBC 뉴스 취재현장
(한양대학교 총학생회 공청회 현장)



멀티미디어 시대 (1991년 ~ 2000년)



  • 1991년 4월 22일 - 《MBC 프로덕션》, 《MBC 미디어텍》 창립.(현 MBC C&I)


  • 1991년 6월 1일 - 《MBC 방송문화원》 창립.


  • 1991년 7월 11일 - 미주방송지사 설립.


  • 1991년 9월 9일 - 《MBC 예술단》 창립.


  • 1991년 12월 2일 - MBC 창사 30주년 기념식.


  • 1991년 12월 17일 - MBC 인력개발센터 설립.


  • 1992년 1월 5일 - MBC 30년사 발간.


  • 1992년 7월 1일 - 《MBC 미술센터》 창립.


  • 1993년 1월 12일 - 사내복지기금 설립.


  • 1993년 3월 17일 - 강성구 사장 취임.


  • 1993년 3월 22일 - 《연합광고》에서 《MBC 애드컴》으로 상호 변경.


  • 1993년 4월 10일 - 문자방송(MINDS) 폐지.


  • 1993년 7월 22일 - 신사풍운동추진팀 구성.


  • 1993년 10월 11일 - MBC 라디오 가을철 개편과 함께 MBC 뉴스데스크 TV와 라디오 동시생방송 시작함.


  • 1993년 12월 4일 - 《문화방송 창사 32주년 특집 MBC 뉴스데스크》 명동 특별 스튜디오에서 진행


  • 1994년 4월 25일 - 일산신사옥 부지 매입 및 부지 착수.


  • 1994년 6월 18일 - 사원이사회 출범.


  • 1994년 10월 1일 - PC통신망을 통한 MBC 방송정보 서비스 시작


  • 1995년 2월 1일 - 팀제 전사적 도입.


  • 1995년 3월 6일 - SNG 5원 생방송 성공.


  • 1995년 4월 1일 - 음악FM 종일 방송 전면 실시.


  • 1995년 10월 1일 - MBC 인터넷 TV프로그램 실시간 생중계.


  • 1995년 11월 13일 - 방송용 헬리콥터 도입.


  • 1995년 12월 9일 - 전국문화방송노동조합 출범.


  • 1996년 3월 1일 - MBC 인터넷 홈페이지 (www.mbc.co.kr) 개설.


  • 1996년 5월 31일 - MBC 스포츠를 2002 월드컵 유치를 위한 응원단을 구성.


  • 1996년 9월 - MBC 인터넷을 통해 TV 프로그램 실시간 생중계 개시.


  • 1996년 10월 - 유럽 3개 지사 통합 운영(파리, 런던, 본).


  • 1996년 11월 - 방송용 헬리콥터 도입(벨-412).


  • 1997년 3월 - MBC 일산제작센터를 실사 설계.


  • 1997년 3월 10일 - MBC 도쿄지국을 일본 후지TV 카와다쵸 사옥에서 오다비아 사옥(18층)으로 이전.


  • 1997년 7월 2일 - 한솔PCS 유상증자에 32억 원 청약키로 의결.


  • 1997년 8월 1일 - 양주 스튜디오 준공.


  • 1997년 9월 - DSNG 네트워크(M-SAT) 완전 개통.


  • 1998년 4월 10일 - MBC 연중기획 "실업은 고통과 함께를 있습니다" 실시


  • 1998년 5월 1일 - IMF 비상대책 노사협의회 구성.


  • 1999년 3월 9일 - 노성대 사장 취임.


  • 1999년 5월 11일 - 만민중앙교회 신도들이 주조종실에 난입하여 MBC-TV의 사상 첫 방송중단 사태가 발생.


  • 1999년 12월 30일 - 공적기여금 100억 원 기탁.


  • 2000년 3월 11일 - 《인터넷 MBC》(iMBC) 창립.


  • 2000년 4월 10일 - 《MBC 프로덕션》, 《MBC 예술단》 합병.


  • 2000년 7월 7일 - 《인터넷 MBC》(iMBC) 개국. (www.imbc.com) 사이트 개설.


  • 2000년 9월 1일 - 경영센터 입주.



MBC HDTV 중계차



디지털 시대 (2001년 ~ 2010년)



  • 2001년 2월 21일 - 《MBC Plus》 설립.


  • 2001년 3월 9일 - 김중배 사장 취임.


  • 2001년 4월 11일 - 일본 FM후쿠오카와 방송협력협정 체결.


  • 2001년 4월 14일 - 방송사 최초 프로그램 모니터 그룹 《아이러브 엠비씨》 개설.


  • 2001년 9월 10일 - MBC 방송편성규약 제정.


  • 2001년 12월 - 2002 연중캠페인 《정정당당 코리아》확정 / DTV 방송 개시.


  • 2001년 12월 2일 - MBC 창사 40주년.


  • 2002년 5월 30일 - 디지털 TV를 이용한 데이터방송 실험서비스 실시.


  • 2002년 8월 24일 - 한중수교 10주년을 기념해 CCTV 합동 콘서트를 개최.


  • 2003년 3월 - 이긍희 사장 취임.


  • 2003년 12월 - 일산 제작센터 개발 약정서 조인 / DTV 중계시설용 파주 TVR 건립.


  • 2004년 7월 3일 - 일산 제작센터 착공, 《베스트극장 “늪”》이 몬테카를로 TV페스티벌 드라마 부분 최고 작품상 수상.


  • 2004년 9월 - ABU상 TV 어린이 청소년 부문 대상 수상 《사과나무 - 수동이의 과거를 묻지 마세요》/ 지상파 DMB 채널 운용협정.


  • 2004년 12월 - 아시아TV Award 올해의 지상파 방송사 상, 최우수 작품상 등 수상(4개 부문).
    • 시사 부문 《PD수첩 - 탄핵정국, 기로에 선 국민》


    • 다큐멘터리 부문 《MBC 스페셜》 - 해외 입양 50년 특별 기획 2부


    • 드라마 부문 《다모》

    • 예능 부문《일요일 일요일 밤에》 - 〈러브 하우스〉



  • 2004년 12월 - 대장금 테마파크 개장.


  • 2004년 12월 - 지상파 DMB 채널 운용 협정.


  • 2005년 - MBC·EBS·CJ미디어 2005년 공동캠페인 《교육이 미래다》중장기 MBC 글로벌 전략: "One MBC, Worldwide MBC"


  • 2005년 1월 - 최문순 사장 취임.


  • 2005년 1월 3일 - 새 CI(Corporate Identity) 도입.


  • 2005년 1월 - 사회공헌센터 신설.


  • 2005년 1월 21일 - 코스닥 (IMBC)상장.


  • 2005년 1월 23일 - 해피타임 첫 방송.


  • 2005년 2월 - MBC 글로벌 사이트(http://content.mbc.co.kr) 를 오픈 및 운영에 들어감.


  • 2005년 6월 - 《Worldwide MBC》, 글로벌 전략 본격 추진.
    • 글로벌 사업본부 신설(6월).


    • 일본, 중국지사 설립(11월)



  • 2005년 9월 - MBC 윤리강령 제정, 윤리 경영 강화. SK텔레콤, MBC, Q채널 공동기획캠페인 사람을 향합니다 캠페인 첫방송 (방송기간은 2005년 9월 5일부터 2009년 12월 30일)


  • 2005년 10월 - INPUT(국제 공영TV 컨퍼런스), 2011년 개최지로 MBC 개최 유치(창사 50주년 기념).


  • 2005년 12월 - 지상파DMB 개국(MBC DMB)


  • 2005년 12월 1일 - 평일 낮 방송 개시


  • 2005년 12월 5일 - MBC 정오뉴스를 MBC 뉴스현장으로 명칭 변경


  • 2005년 12월 - 《대장금 테마파크》 개장 1주년, 연 인원 30만 명 방문.


  • 2006년 4월 - DTV 데이터방송 시험 서비스 및 본방송 준비, 용인 대장금 파크 (舊 MBC 드라미아) 건설 준비.


  • 2006년 4월 - MBC 워너브라이스를 채결.


  • 2006년 4월 - MBC 창작동요제를 금강산에서 개최.


  • 2006년 4월 - 공동 마케팅의 일환으로 아시아나항공과 《대장금호》(HL7514 등)를 출항.


  • 2006년 6월 - 데이터방송 시작.


  • 2006년 9월 - Mini(인터넷 라디오 방송 서비스) 시작.


  • 2006년 9월 30일 - MBC 대학가요제 30주년[7].


  • 2006년 11월 - IPTV 시범서비스(40일간).


  • 2007년 5월 5일 - MBC 창작동요제 25주년.


  • 2007년 6월 1일 - MBC중장기 비전 'MEGAMIND 30' 공표.


  • 2007년 11월 30일 - MBC 드림센터(일산 제작센터 -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호수로 596) 완공.


  • 2008년 2월 29일 - 문화방송 주주총회를 통해 엄기영 전 MBC 뉴스데스크 앵커를 제27대 사장으로 선임.


  • 2008년 12월 31일 - 방송문화진흥회 창립 20주년.


  • 2009년 - MBC 연중기획: MBC 경제살리기 캠페인 《사람이 희망입니다》.


  • 2010년 2월 26일 - 주주총회를 통해 제28대 사장으로 청주MBC 사장이었던 김재철 선임.


  • 2010년 2월 27일 - 키자니아 서울 내 'TV 스튜디오'와 '라디오 스튜디오' 체험관 개장. 이 날 MBC 플레이비가 키자니아 서울을 개장하였다.


  • 2010년 5월 5일 - MBC 창작동요제 제28회 마지막 방송 및 폐지


  • 2010년 6월 30일 - MBC 스포츠 환원 사명변경.


  • 2010년 8월 1일 - MBC 스포츠 플러스 채널명 변경.


  • 2010년 9월 1일 - MBC 경기인천지사(현 MBC 서울경인지사) 개소.


  • 2010년 10월 5일 - MBC 뉴스데스크 방송 40주년 특집.


  • 2010년 11월 6일 - 주말 MBC 뉴스데스크가 오후 9시에서 8시로 방송시간 이동.


다채널 시대 (2011년 ~ 현재)



  • 2011년 1월 3일 - MBC나눔 출범.


  • 2011년 9월 1일 - 경남지역 문화방송 계열사 창원문화방송·진주문화방송 광역 통폐합으로 MBC경남으로 출범(18개 지역 계열사).


  • 2011년 12월 2일 - MBC 창사 50주년.


  • 2012년 11월 5일 - 평일 MBC 뉴스데스크가 오후 9시에서 8시로 방송시간 이동.


  • 2012년 12월 31일 - 새벽 4시 수도권에서 지상파 아날로그 텔레비전 방송 종료.


  • 2013년 1월 1일 - 24시간 종일방송 실시.


  • 2013년 3월 26일 - 방문진 MBC 김재철 사장 해임.


  • 2013년 3월 27일 - MBC 김재철 사장 사퇴.


  • 2013년 4월 28일 - MBC에서 FIG 리듬체조 월드컵(이탈리아, 불가리아, 벨라루스), 리듬체조 아시아선수권대회 등 손연재선수 출전 단독 생중계


  • 2013년 7월 - 상암동 DMC의 MBC신사옥 방송미디어센터 건립 준공.


  • 2013년 10월 16일 - 지상파 디지털 TV방송 채널 재배치


  • 2014년 2월 25일 - 방문진 MBC 안광한 사장 취임.


  • 2014년 8월 3일 - 여의도 사옥 시대 마감.


  • 2014년 8월 4일 - 서울특별시 마포구 상암동의 신사옥에서 MBC 뉴스투데이, 뉴스콘서트 (MBC), MBC 뉴스데스크, MBC 뉴스 24 등 방송을 전파로 송출.


  • 2014년 9월 1일 - 여의도 사옥 시대를 마감하고 서울특별시 마포구 상암동의 신사옥으로 공식 준공·이전함.


  • 2014년 9월 2일 - 일본 후지TV 서울지국 문화방송 상암동 신사옥 이전.


  • 2015년 1월 1일 - 강원영동지역 문화방송 계열사 강릉문화방송·삼척문화방송 광역 통폐합으로 MBC강원영동으로 출범(17개 지역 계열사).


  • 2015년 12월 2일 - MBC 창사 54주년.


  • 2016년 4월 3일 - 해피타임 11년만에 종영.


  • 2016년 4월 8일 - 키자니아 부산 내에 'TV 스튜디오'와 '라디오 스튜디오' 체험관 개장. 이 날 MBC플레이비가 키자니아 부산을 오픈한다.


  • 2016년 10월 1일 - 충북지역 문화방송 계열사 청주문화방송·충주문화방송 광역 통폐합으로 MBC충북으로 출범(16개 지역 계열사).


  • 2016년 12월 19일 - MBC FM4U 1971년 개국 이후부터 함께한 남산 송신소 시대 마감과 더불어 관악산 송신소로 이전 완료. 이로써 그간 난청지역 이던 인천광역시, 경기도 수원시, 안양시, 용인시 등 경기도내 18개시,군 지역에서도 수신이 가능하게 됨.


  • 2017년 2월 24일 - 방문진 MBC 김장겸 사장 취임.


  • 2017년 2월 28일 - 지상파 3사 공동 UHD 실험방송 개시.


  • 2017년 5월 31일 - MBC UHD 방송개국.


  • 2017년 9월 4일 ~ 2017년 11월 13일 - MBC·KBS 양대 공영방송 노조 총파업으로 인해 9월 4일부터 11월 13일까지 24시간 종일방송이 71일동안 중단 됨.


  • 2017년 11월 13일 - 방문진, MBC 김장겸 사장 해임.


  • 2017년 11월 14일 ~ 2017년 11월 15일 - 모든 종일방송 임시 중단.


  • 2017년 11월 15일 - 라디오, 예능, 드라마 프로그램 모두 72일간의 파업을 마무리하고 오전 6시 업무 복귀 및 정상 방송 재개.


  • 2017년 11월 25일 - 24시간 종일방송 재개.


  • 2017년 12월 7일 - 방문진, MBC 신임 사장에 2012년 해직한 최승호 뉴스타파 PD 선임.


  • 2017년 12월 8일 - 신임 최승호 사장 취임, 이와 더불어 뉴스데스크 배현진 앵커 교체 결정 및 보도국 인사 단행.


  • 2018년 6월 2일 - 일명 MBC 무브먼트라고 불리는 고유 아이덴티티 디자인이 적용.


  • 2019년 3월 18일 - 평일 MBC 뉴스데스크 시간가 밤 8시에서 저녁 7시30분으로 방송시간 변경.


사가


청록파 시인 박목월에 의해 작사되었으며, 손석우에 의해 작곡되었다. 1974년경부터 문화방송의 사가로 사용되고 있다. 이 사가는 iMBC 홈페이지와 타 지역 제휴국의 라디오의 방송 시작 종료 멘트에서 들을 수 있다.


사가 가사에서 "우리 문화방송" 부분은 원래 "우리 문화경향", "MBC 문화방송" 부분은 원래 "MBC 경향신문"이었지만 1980년 언론 통폐합에 따라 지금과 같은 가사로 바뀌었다.[8]




1절


세계로 향하여 펼친 네트웍

오늘의 산 역사를 바로 잡아서

빠르고도 알찬 방송 정확한 보도

사회에 불을 켜는 우리 문화방송

2절


폭넓게 대중의 뜻을 모아서

찬란한 내일로 뻗어 나가는

슬기롭고 밝은 방송 신속한 보도

영광의 선두주자 우리 문화방송

후렴


날마다 즐거운 꿈을 심으며 새 역사 가꾸는 우리의 보람

MBC 문화방송 빛의 메아리




방송



TV방송




라디오방송





지상파DMB방송




사옥



변천 과정



  • 1961년 12월 2일 ~ 1969년 8월 7일: 라디오 개국 종로구 인사동(현재의 덕원 갤러리 사용).


  • 1969년 8월 8일 ~ 1982년 3월 16일: 텔레비전 개국 중구 정동(현재의 경향신문 사용).


  • 1982년 3월 17일 ~ 2014년 8월 3일: 영등포구 여의나루로 96(여의도동 31)번지.


  • 1997년: 경기도 양주시에 양주 스튜디오 준공.


  • 2000년: 영등포구 여의도동에 경영센터 입주.


  • 2007년 11월 30일: 고양시 일산동구 장항동에 일산 드림센터 준공.


  • 2013년 7월: 마포구 상암동의 디지털 미디어 시티에 방송영상제작센터 준공.


  • 2014년 8월 4일: 서울특별시 마포구 상암동의 신사옥으로 공식 준공 이전함(현 위치).


현황



  • 상암 신사옥 (본사)
    • 공사 기간: 2010년 6월 18일 ~ 2013년 7월

    • 지하 3층, 지상 14층 / 건축면적: 34,209m² / 연면적: 148,737m² [9]

    • 舊 여의도 사옥과 일산 MBC 드림센터 사옥을 합친 규모보다 더 크며 축구장 21개의 규모에 해당한다. 제작스튜디오 5곳, 뉴스스튜디오 2곳, 음향스튜디오 7곳, 매직스튜디오 1곳이 위치해있다.

    • 경영센터, 방송센터, 미디어센터 (내부)



  • 여의도 구 사옥
    • 공사 기간: 1979년 9월 11일 ~ 1982년 3월 17일 [10]

    • 지하 2층, 지상 10층 / 건축면적: 37,795m² / 연면적: 102,390m²

    • 본사로서 뉴스 및 시사교양, 라디오, 예능등 다용도 기능을 가지고 있다. 다용도스튜디오 1곳, 드라마스튜디오 2곳, 공개홀 1곳, 소형스튜디오 2곳이 위치하고 있다.

    • 경영센터 (외부)


    • 2014년 8월 3일부터 방송 송출 중단 및 여의도 시대 마감.



  • MBC일산드림센터
    • 공사 기간: 2004년 9월 ~ 2007년 7월 [11]

    • 지하 4층, 지상 10층 / 건축면적: 11,736m² / 연면적: 78,274m²

    • 한국 최대 규모의 복층 스튜디오로 구성되어 있다. 드라마와 예능 프로그램 제작이 주요 기능이며, 2층에 예능 스튜디오 2곳, 공개홀 1곳이 위치해 있고, 7층에 드라마 스튜디오 3곳이 위치하고 있다.



역대 사장














































































































역대
(대수)
성명
임기
출신 분야 또는 전직
초대
김지태
1961년 2월 21일 ~ 1963년 7월 22일
국회의원 & 부산일보 초대 사장 & 부산문화방송 초대 사장 & 부일장학회 이사장
2대
고원증
1963년 7월 22일 ~ 1964년 8월 26일

법무부 장관
3대
황용주1964년 8월 26일 ~ 1964년 12월 15일

정수장학회 이사 & 한국기원 이사장 & 국제신문 논설위원
4대
조증출1964년 12월 15일 ~ 1971년 6월 30일

부산문화방송 사장
5대
이환의
1971년 6월 30일 ~ 1980년 6월 20일

경향신문 정치부장

사장 직무대행
임택근1980년 6월 20일 ~ 1980년 7월 5일
서울중앙방송국(現 한국방송공사) 아나운서
6대
이진희1980년 7월 5일 ~ 1982년 6월 7일

서울신문 주필
7대
이웅희1982년 6월 7일 ~ 1986년 2월 17일

문화공보부 장관 & KBO 한국야구위원회 총재
8대
황선필1986년 2월 17일 ~ 1988년 8월 29일

대통령비서실 공보수석비서관
9대
김영수1988년 11월 2일 ~ 1989년 1월
연합광고사장
10대
최창봉1989년 2월 10일 ~ 1993년 3월 12일

대한방송 PD
11대
강성구1993년 3월 17일 ~ 1996년 6월 14일
기자

사장 직무대행
편일평1996년 6월 14일 ~ 1996년 7월 22일

12대
이득렬1996년 7월 22일 ~ 1999년 3월 8일
기자
13대
노성대1999년 3월 9일 ~ 2001년 3월 9일
기자
14대
김중배2001년 3월 9일 ~ 2003년 3월

한국일보 기자 & 한겨레신문 사장 & 동아일보 편집국장
15대
이긍희2003년 3월 ~ 2005년 2월 25일
프로듀서
16대
최문순2005년 2월 25일 ~ 2008년 2월 28일
기자 & 18대 국회의원 & 민선 5·6·7기 강원도지사
17대
엄기영2008년 2월 29일 ~ 2010년 2월 8일
기자
18대
김재철2010년 2월 26일 ~ 2013년 3월 26일
기자

사장 직무대행
안광한2013년 3월 26일 ~ 2013년 5월 3일

19대
김종국2013년 5월 3일 ~ 2014년 2월 24일
기자
20대
안광한2014년 2월 25일 ~ 2017년 2월 24일
프로듀서
21대
김장겸2017년 2월 25일 ~ 2017년 11월 13일
기자

사장 직무대행
최기화2017년 11월 14일[12] ~ 2017년 12월 7일
문화방송 기획본부장
22대
최승호2017년 12월 7일 ~ 현재프로듀서


회사



조직









인원





























임직원 수(2015년 1월 1일 기준)

임원
직원
계약직
총 수
문화방송71,5451531,705
지방계열사191,256621,337
자회사2079571886
총수463,596286
3,928


자본 및 주주 현황



  • 자본금: 10억원

  • 총 발행주식: 20만 주 (주당 액면가 5,000원)

  • 주주현황



















문화방송의 주주현황(2004년 기준)
주주
소유주식 수
소유 지분
액면가
방송문화진흥회14만 주70%7억원
정수장학회6만 주30%3억원
합계20만 주100%
10억원

방송법에 따르면, 누구든지 "특수관계자" [13] 가 소유하는 주식 또는 지분을 포함하여 지상파방송사업자(문화방송이 해당됨)의 주식 또는 지분 총수의 100분의 30을 초과하여 소유할 수 없으나, 예외적으로 문화방송의 경우처럼, 「방송문화진흥회법」에 의하여 설립된 방송문화진흥회가 방송사업자의 주식 또는 지분을 소유하는 경우를 포함하여 몇 가지 예외를 규정하고 있다.



영업 매출


MBC의 광고 매출은 6,940억 원(2010)으로 전년 대비 15% 증가하였으며, 1988년부터 현재까지 광고 매출액 기준으로 방송사 중 1위이다.[14]:3



사옥



지사 · 자회사


해외 지국

도쿄, 베이징, 방콕, 파리, 런던, 로스앤젤레스, 워싱턴 D.C., 뉴욕


자회사(8개사)

MBC 플러스, MBC C&I, iMBC, MBC ARTS, MBC플레이비, MBC 아카데미, MBC 미주법인, MBC 나눔


과거 관계사
  • 경향신문


네트워크 계열 방송사


강원권

  • 춘천문화방송 (강원 영서 북부)


  • 원주문화방송 (강원 영서 남부)


  • MBC강원영동 (강원 영동)

    • MBC강원영동 강릉방송국 (강원 영동 북부지역)


    • MBC강원영동 삼척방송국 (강원 영동 남부지역)


충청권

  • 대전문화방송 (대전광역시,세종특별자치시,충청남도 일원)


  • MBC충북 (충북)

    • MBC충북 청주방송국 (충북 남부지역)


    • MBC충북 충주방송국 (충북 북부지역)


대구·경북권

  • 대구문화방송 (대구광역시 일원,경북 중서남부)


  • 안동문화방송 (경북 북부)


  • 포항문화방송 (경북 동해안)

부산·울산·경남권

  • 부산문화방송 (부산광역시 일원,경남 동부 일부)


  • 울산문화방송 (울산광역시 일원)


  • MBC경남 (경남)

    • MBC경남 창원본부 (경남 동부지역)


    • MBC경남 진주본부 (경남 서부지역)


호남권

  • 전주문화방송 (전라북도 일원)


  • 광주문화방송 (광주광역시,전남 동북부)


  • 목포문화방송 (전남 서남부)


  • 여수문화방송 (전남 동부)

제주권

  • 제주문화방송 (제주특별자치도 일원)


마케팅



CI(영문)



CI(국문)



로고송



  • 1969년 ~ 1979년: 여성 내레이터의 "여러분의 문화방송 입니다."라는 내레이션이 사용되었다.


  • 1980년 ~ 1983년: "MBC~ MBC~ MBC~ 여러분의 문화방송~", "여러분의 문화방송 뭔가요? MBC 텔레비전"이라는 로고송이 사용되었다.


  • 1980년 ~ 1991년: 조운파에 의해 작사, 작곡된 "새 생활의 길잡이, MBC 문화방송~!", "집집마다 고을마다 MBC 문화 방~ 송~"이라는 로고송이 사용되었다.


  • 1990년 ~ 2004년: "만나면 좋은친구~ MBC 문화방송~"이 쓰였으며, 이 로고송은 MBC 로고송 중 가장 유명하고 널리 쓰인 로고송이자 'MBC'하면 떠오르는 로고송으로 자리잡았다.


  • 1991년 ~ 1996년: "좋은방송 밝은사회 MBC 문화방송", "오늘의 기쁨 내일의 희망 MBC 문화방송", "언제나 MBC 문화방송이 있습니다."가 사용되었다.


  • 1996년: "함께 있으면~ 좋아요 MBC 문~ 화~ 방송", "언제나~ 신선해요~ MBC 문화방송~", "함께 드려요~ 아름다운 세상, MBC 문화방송!"이 쓰였다


  • 1997년 ~ 2004년: "사랑하면~ 좋아요~ MBC 문화방송~", 남성합창에, "따뜻한 세상 함께 만드는~ MBC 문화방송~", .


  • 1993년 ~ 2004년: "엄마~ 세상은 참 따뜻한 거죠~ 우리 문화방송~"이 쓰였다. 이 로고송은 누가 작사, 작곡한지 알려지지 않았으나, 대부분 지역의 MBC 방송국이 쓰기도 하였다.


  • 2005년: 로고가 신 CI로 바뀐 뒤, 가수들이 부른 '행복한 미래~ 아름다운 세상~ MBC 문화방송~', '따따따따 ~ 늘 곁에 있는 ~ 따따따따 ~ 언제나 ~ 좋은친구 ~ MBC'라는 로고송이 사용되었다.


  • 2006년: 가수와 합창으로 '함께 꿈꾸는 아름다운 세상 MBC 문화방송', '행복한 미래 아름다운 세상 MBC 문화방송', '우리 함께 나눠요 MBC 문화방송'이 로고송이 쓰였다.


  • 2006년 ~ 현재: ID 영상에서는 주로 로고송 대신 계이름으로 '레 - 파 - 라 - 솔'인 멜로디가 BGM으로 쓰이고 있다. 이 BGM은 다음에 방송될 프로그램의 성격에 따라 일반 버전(바장조), 결혼행진곡 버전(다장조), 사극버전(가장조, 웅장한 오케스트라가 사용되었고 주몽 방영 당시 처음 등장했다.) 등이 있다. 또한 이 BGM은 다음 방송 예고 화면(NEXT)에서도 쓰이고 있다.


  • 2008년: 어린 아이 목소리로 '시작은 MBC'가 로고송으로 사용되었다.


  • 2008년 ~ 2013년: 가수 요조가 부른 '함께 꿈꾸는 세상 언제나 MBC'라는 로고송이 사용되었다.


  • 2008년: 시청자들이 부른 '모두 모여 신나게 외쳐봐, 즐거움이 완전! 넘쳐나 언제나 MBC'라는 로고송이 사용되고 있다.


  • 2011년 ~ 2013년: 가수 성시경과 정엽이 부른 '만나면 좋은친구 언제나 당신곁에 MBC', 무한도전 멤버 박명수와 정준하가 부른 '출발! 만나면 좋은친구 MBC! (박명수 버전)/MBC 힘을 보여줘! 친구의 힘을 보여줘! (정준하 버전) 만나면 좋은친구 MBC 문화방송', 가수 김경호와 김연우가 부른 '만나면 좋은친구 MBC 문화방송'이라는 로고송이 사용되고 있다.


  • 2013년: 가수 타이거JK와 윤미래와 아들 서조단이 부른 '만나면 좋은친구 만나면 좋은친구 만나면 좋은 MBC 문화방송'이라는 로고송이 사용되었다.


  • 2018년 6월 2일 ~ 현재: 가수 윤종신이 부른 '설레는 내일 MBC와 탐험해요 MBC'라는 로고송이 사용되고 있다.


마스코트



  • 1986년 ~ 1990년대 중반: 엠비스 (꿀벌, M-Bees)


  • 2008년 ~ 현재: 엠빅


  • 2015년 ~ 현재: 휴, 캡


역대 방송지표



  • 1987년 : 같이 사는 사회


  • 1988년 : 민족의 긍지, '88 서울올림픽


  • 1989년 : 아껴주는 마음, 아름다운 사회


  • 1990년 : 밝은 마음, 좋은 이웃 건강한 사회


  • 1991년 : 바르게 삽시다


  • 1992년 : 경제를 살립시다


  • 1993년 : 이제는 달라져야 합니다


  • 1994년 : 세계인이 됩시다


  • 1995년 : 세계로 50년, 미래로 50년


  • 1996년 : 다음 세대를 생각합시다


  • 1997년 ~ 1999년 : 사람을 존중하는 사회, 미래를 생각하는 방송


  • 2000년 : 희망의 21세기, MBC가 있습니다


  • 2001년 : 나보다 우리가 먼저입니다


  • 2002년 ~ 2003년 : 정정당당 KOREA


  • 2004년 : 희·망·한·국


  • 2005년 : 교육이 미래다


  • 2006년 : 여성의 힘, 희망한국


  • 2007년 : 힘내라! 한국경제


  • 2008년 : 에너지 캠페인 ‘당신이 아름답습니다’, ‘시작은 MBC’


  • 2009년 : 당신이 아름답습니다 MBC


  • 2010년 : 새로운 한류바람을 선도하는 MBC 콘텐츠 파워 언제 어디서나 ‘디지털 MBC’


  • 2011년 : 수퍼로케이션 50년 믿음, 이제는 100년의 미래로!‘MBC’이제는 옆을 봅시다, MBC 나눔


  • 2012년 : 通(통)MBC, 통통! 대한민국'


  • 2013년 : 열정MBC, 열정 대한민국


  • 2014년 : 무한도전코리아, 열정MBC


  • 2014년 ~ 2017년 : 세계 속의 MBC, 미래를 엽니다.


  • 2015년 ~ 2017년 : 기본과 원칙을 지키는 사회, MBC가 함께 합니다


  • 2017년 : 품격 있는 젊은 방송 MBC


  • 2017년 ~ 2018년 6월 1일 : 다시, 좋은 친구 MBC


  • 2018년 6월 2일 ~ 현재 : 새로움을 탐험하다 MBC


직원



아나운서



현직 아나운서



  • 황선숙 (1987년 입사, 아나운서 국장)


  • 신동진 (1996년 입사, 아나운서1부 부장, 생방송 오늘 아침 MC)


  • 박경추 (1997년 입사, 아나운서2부 부장, 평일 MBC 정오종합뉴스 앵커)


  • 이윤재 (1986년 입사)


  • 강재형 (1987년 입사)


  • 김범도 (1994년 입사)


  • 김상호 (1994년 입사)


  • 차미연 (2000년 입사, MBC 아나운서협회장)

  • 김미정 (2001년 입사)


  • 이정민 (2002년 입사, 930 MBC 뉴스 앵커)


  • 류수민 (2003년 입사)


  • 김정근 (2004년 입사, 2017년 퇴사 후 2018년 재입사, 기분 좋은 날 MC)


  • 전종환 (2005년 아나운서로 입사, 2011년 기자로 전직, 2018년 퇴사 후 아나운서로 재입사, 평일 MBC 뉴스투데이 앵커)


  • 손정은 (2006년 입사, 평일 MBC 정오종합뉴스 앵커)

  • 허일후 (2006년 입사)


  • 구은영 (2007년 입사, 5 MBC 뉴스 앵커)


  • 김나진 (2007년 입사, 평일 MBC 스포츠뉴스 앵커)


  • 서인 (2007년 입사, 출발! 비디오 여행 MC)


  • 양승은 (2007년 입사, 일요일 MBC 주말뉴스 앵커)


  • 이성배 (2008년 입사)


  • 강다솜 (2010년 입사)


  • 이진 (2010년 입사, 생방송 오늘 저녁 MC)


  • 김대호 (2011년 입사, 생방송 오늘 저녁 MC)


  • 김초롱 (2011년 입사, 출발! 비디오 여행 MC)


  • 오승훈 (2011년 입사, 12 MBC 뉴스, 앵커)


  • 이재은 (2012년 입사, 평일 MBC 뉴스데스크 앵커)


  • 박연경 (2013년 입사, 기분 좋은 날 MC)


  • 박창현 (2013년 입사, 토요일 MBC 주말뉴스 앵커, 주말 MBC 스포츠뉴스 앵커)


  • 임현주 (2013년 입사, 생방송 오늘 아침 MC)


  • 차예린 (2013년 입사, 생방송 오늘 저녁, 스포츠 다이어리 MC)


  • 김수지 (2017년 입사, 2018년 계약만료 후 재입사, 평일 MBC 뉴스투데이 앵커)


  • 김정현 (2018년 입사, 신입)


  • 이영은 (2018년 입사, 신입)


전직 아나운서



퇴직


  • 임택근 (1964년 입사, 1980년 MBC 사장 대행을 끝으로 퇴직)


  • 정경수 (1969년 입사, 1993년 퇴직)


  • 차인태 (1969년 입사, 1995년 제주MBC 사장 임명.)


  • 변웅전 (1969년 입사, 15·16·18대 국회의원.)

  • 김용 (1969년 입사, 1989년 안동MBC 사장 임명.)


  • 송재익 (1970년 입사, 2000년 SBS 이적)

  • 최창섭 (1973년 입사, 2003년 정년퇴직)


  • 임주완 (1973년 입사, 2003년 현 MBC스포츠 플러스 축구캐스터.)

  • 김충식 (퇴직)

  • 양진수 (1973년 입사, 2006년 6월 정년퇴임)

  • 이현우 (1977년 입사, 2008년 7월 정년퇴임)


  • 고창근 (1977년 입사, 2003년 청주MBC 사장 임명, 현 MBC ESPN 야구중계 캐스터)


  • 조일수 (1977년 입사, 2014년 정년퇴임)


  • 이윤철 (1981년 입사, 2010년 안동MBC 사장 임명.)

  • 최춘식 (1981년 입사, 1994년 한국 스포츠 TV 이적)


  • 성경환 (1982년 입사, 2009년 MBC 아카데미 사장 임명)


  • 한광섭 (1984년 입사, 2018년 정년퇴임)


  • 김창옥 (1985년 입사, 2013년 대전MBC 사장 임명.)


  • 홍은철 (1985년 입사, 2016년 퇴임)


  • 최재혁 (1986년 입사, 2013년 미래방송연구소장 발령, 2017년에 제주MBC 사장 승진했으나, 1년만에 경질.)


  • 하지은 (1994년 입사, 2018년 명예퇴직)


  • 김완태 (1995년 입사, 2018년 명예퇴직)


  • 이주연 (1995년 입사, 2018년 명예퇴직)


퇴사/프리랜서 선언


  • 박영선 (1982년 입사, 2004년 퇴사, 17·18·19·20대 국회의원)


  • 손석희 (1984년 입사, 2006년 퇴사, 현 JTBC 보도담당 사장, JTBC 뉴스룸 앵커)


  • 한선교 (1984년 입사, 1995년 퇴사, 17·18·19·20대 국회의원)


  • 백지연 (1987년 입사, 1999년 퇴사, 기자 전업 후 퇴사)

  • 김은주 (1987년 입사, 2001년 퇴사)


  • 정혜정 (1987년 입사, 2005년 퇴사)


  • 이재용 (1992년 입사, 2018년 퇴사, 前 아나운서1부 부장)


  • 김지은 (1992년 입사, 2017년 퇴사)


  • 박나림 (1996년 입사, 2004년 퇴사)


  • 방현주 (1997년 입사, 2015년 퇴사)


  • 김경화 (2000년 입사, 2015년 퇴사)


  • 박소현 (2000년 입사, 2015년 퇴사)


  • 김성주 (2000년 입사, 2007년 퇴사)


  • 임경진 (2001년 입사, 2008년 퇴사, 현 JTBC3 FOX Sports 캐스터)


  • 박혜진 (2002년 입사, 2014년 퇴사)


  • 최윤영 (2002년 입사, 2012년 퇴사)


  • 한준호 (2003년 입사, 2018년 퇴사)


  • 나경은 (2004년 입사, 2013년 퇴사)


  • 서현진 (2004년 입사, 2014년 퇴사)


  • 이하정 (2005년 입사, 2011년 TV조선 이직)


  • 오상진 (2005년 입사, 2013년 퇴사)


  • 문지애 (2006년 입사, 2013년 퇴사)


  • 최현정 (2006년 입사, 2015년 퇴사)


  • 김소영 (2012년 입사, 2017년 퇴사)


작고


  • 송인득 (1982년 입사, 2007년 작고)


  • 정은임 (1992년 입사, 2004년 작고)


  • 김태희 (1994년 입사, 2004년 작고)


계약만료


  • 이혜민 (2012년 입사, 2016년 퇴사)


  • 유선경 (2012년 입사, 2018년 퇴사)


  • 박보경 (2012년 입사, 2014년 퇴사)


  • 김원경 (2012년 입사, 2013년 퇴사)

  • 송지언 (2012년 입사, 2013년 퇴사)


  • 김민형 (2016년 입사, 2018년 퇴사 및 SBS 이직)


  • 김준상 (2016년 입사, 2018년 퇴사)


  • 안주희 (2016년 입사, 2018년 퇴사)


  • 엄주원 (2016년 입사, 2018년 퇴사)


  • 정다희 (2016년 입사, 2018년 퇴사)


  • 정슬기 (2016년 입사, 2018년 퇴사)


  • 김민호 (2017년 입사, 2018년 퇴사)


  • 박지민 (2017년 입사, 2018년 퇴사)


  • 이선영 (2017년 입사, 2018년 퇴사)


  • 이휘준 (2017년 입사, 2018년 퇴사)


승진, 기타


  • 변창립 (1984년 입사, 2017년 MBC 본사 부사장 승진, 2018년 운영 총괄 부사장 보직이동)


  • 강영은 (1985년 입사, 2014년 보직이동)

  • 김수정 (1986년 입사, 2016년에 보도본부 취재센터 기획취재부장으로 보직 이동했다가, 2018년에 뉴스투데이 편집부장으로 이동.)


  • 최율미 (1992년 입사, 2017년 보직이동, 기획국 정책협력부장.)


경질


  • 신동호 (1992년 입사, 前 아나운서국 국장)

해고


  • 최대현 (2002년 입사, 2018년 해고)


기자



현직 기자


  • 박태경 (1987년 입사, 전략편성본부장)

  • 정형일 (1987년 입사, 보도본부장)

  • 박성제 (1993년 입사, 2012년 부당해고, 2017년 복직, 보도국장)

  • 황외진 (1991년 입사, 논설위원실장, MBC 뉴스의 광장 앵커)

  • 전동건 (1991년 입사, 보도제작국장)

  • 이호인 (1991년 입사, 뉴미디어뉴스국장, MBC 2시의 취재현장 앵커)

  • 김현경 (1986년 아나운서로 입사, 1995년 기자로 전직, 통일방송추진단장)


  • 김상수 (1982년 입사)


  • 김상철 (1984년 입사, 논설위원)

  • 임정환 (1986년 입사, 논설위원)


  • 송형근 (1987년 입사, 논설위원, MBC 2시의 취재현장 앵커)

  • 이보경 (1987년 입사, 논설위원)

  • 지윤태 (1989년 입사, 논설위원)


  • 고주룡 (1991년 입사, 논설위원)

  • 오정환 (1991년 입사)

  • 유재용 (1991년 입사, 논설위원, MBC 뉴스와 경제 앵커)

  • 윤용철 (1991년 입사, 논설위원)

  • 한정우 (1991년 입사, 임시정부 100주년 사업단장)

  • 홍기백 (1991년 입사, 논설위원)


  • 도인태 (1993년 입사, 디지털뉴스에디터(부국장급))

  • 민병우 (1993년 입사, 정치국제에디터(부국장급))

  • 박장호 (1993년 입사, 경제산업에디터(부국장급))

  • 박준우 (1993년 입사)


  • 김경태 (1994년 입사, 뉴미디어뉴스국 마봉춘미디어랩부장, MBC 뉴스포커스 앵커)


  • 권순표 (1995년 입사, 논설위원, MBC 뉴스포커스 앵커)


  • 박성호 (1995년 입사, 2012년 부당해고, 2017년 복직, 보도국 워싱턴 특파원)

  • 성장경 (1995년 입사, 주간뉴스팀장, 2시 뉴스외전 앵커, 前 시사매거진 2580 CP)


  • 이성주 (1995년 입사, 디지털뉴스편집팀장)


  • 임영서 (1995년 입사, 사회문화에디터(부국장급))

  • 김효엽 (1996년 입사, 경제팀장)


  • 연보흠 (1996년 입사, 정치국제에디터 정치팀장)

  • 이언주 (1996년 입사)


  • 이용마 (1996년 입사, 2012년 부당해고, 2017년 복직)


  • 김연국 (1997년 입사, 전국언론노동조합 MBC본부장)

  • 문소현 (1997년 입사, 사회정책팀장)

  • 박범수 (1997년 입사, 전국팀장)


  • 박상권 (1997년 입사, 디지털뉴스에디터 디지털뉴스제작팀장)

  • 여홍규 (1997년 입사)

  • 조승원 (1997년 입사)

  • 고현승 (1999년 입사)

  • 이상현 (1998년 입사)

  • 전영우 (1998년 입사, 보도제작2부장 겸 탐사기획 스트레이트 CP 겸 탐사기획 스트레이트 구성원)

  • 허지은 (1998년 입사, 보도제작1부장 겸 MBC 100분 토론 CP)

  • 김희웅 (1999년 입사, 베이징 특파원)

  • 양효경 (2000년 입사)

  • 최형문 (2000년 입사, 사회부 기자)

  • 권희진 (2000년 입사, 보도제작2부 차장, 탐사기획 스트레이트 구성원)

  • 김혜성 (2000년 입사, 2시 뉴스외전 앵커)

  • 박재훈 (2000년 입사)

  • 왕종명 (2001년 입사, 평일 MBC 뉴스데스크 앵커)

  • 지영은 (2001년 입사)


  • 김수진 (2001년 입사, 주말 MBC 뉴스데스크 앵커)

  • 이세옥 (2001년 입사, 청와대 출입기자)

  • 이정신 (2001년 입사, 탐사기획 스트레이트 구성원)


  • 양윤경 (2002년 입사, 탐사기획 스트레이트 구성원)

  • 박영회 (2003년 입사)

  • 임명현 (2003년 입사, 청와대 출입기자)


  • 장미일 (2003년 입사)

  • 김경호 (2004년 입사)


  • 유충환 (2004년 입사)

  • 김지경 (2005년 입사, 주말 MBC 뉴스투데이 앵커)

  • 이지선 (2006년 입사)

  • 고은상 (2007년 입사, 탐사기획 스트레이트 구성원)

  • 박종욱 (2007년 입사, 탐사기획 스트레이트 구성원)

  • 장인수 (2007년 입사, 주말 MBC 뉴스투데이 앵커)

  • 임경아 (2008년 입사)

  • 조의명 (2008년 입사)

  • 곽승규 (2009년 입사, 보도국 사회 1부 소속)

  • 김정인 (2009년 입사, 탐사기획 스트레이트 구성원)

  • 나세웅 (2009년 입사, 탐사기획 스트레이트 구성원)

  • 염규현(2009년 입사)

  • 배주환 (2009년 입사, 탐사기획 스트레이트 구성원)

  • 김미희 (2012년 입사)

  • 손령 (2012년 입사)

  • 이동경 (2012년 입사)

  • 정희석 (2012년 아나운서로 입사, 2012년 기자로 전직)

  • 천현우 (2012년 입사, 뉴미디어뉴스국 소속)

  • 곽동건 (2013년 입사, 탐사기획 스트레이트 구성원)

  • 이덕영 (2013년 입사, 청와대출입기자)

  • 이준희 (2013년 입사)

  • 전예지 (2013년 입사)

  • 남효정 (2018년 입사)

  • 신수아 (2018년 입사)

  • 양소연 (2018년 입사)

  • 윤상문 (2018년 입사)

  • 윤수한 (2018년 입사)

  • 이유경 (2018년 입사)

  • 조희형 (2018년 입사)

  • 홍의표 (2018년 입사)


전직 기자


  • 박근숙 (1961년 개국요원으로 입사, 본사 방송상무 역임)

  • 고일환 (1962년 입사, 1964년 RSB 개국요원으로 이직)

  • 김기주 (1962년 입사, 1988년 제주MBC 사장 임명)

  • 김종신 (1962년 입사, 청와대 언론담당비서관 및 부산MBC 사장 역임)

  • 형진한 (1962년 입사, 1989년 진주MBC 사장 임명)

  • 이은명 (1963년 입사, MBC 청룡 및 대전MBC 사장 역임)

  • 곽노환 (1966년 입사,1986년 삼척MBC 사장 임명)


  • 이득렬 (1966년 입사, 1993년 MBC 애드컴 사장 임명)

  • 이상욱 (1966년 입사, 1994년 청주MBC 사장 임명)


  • 강성구 (1966년 입사, 1991년 마산MBC 사장 임명, 11·14·15·16대 前 국회의원)


  • 하순봉 (1967년 입사, 1981년 퇴사 및 민주정의당 입당)

  • 강영구 (1968년 입사, 1995년 마산MBC 사장 임명)

  • 고성광 (1968년 입사, 1996년 대전MBC 사장 임명)


  • 김기도 (1968년 입사, 1983년 청와대 방송담당 공보비서관 임명으로 퇴사)

  • 신대근 (1968년 입사, 충주MBC 및 대구MBC 사장 역임)

  • 이상열 (1968년 입사, 세종대 석좌교수 역임)


  • 추성춘 (1968년 입사, 2001년 제주MBC 사장 임명)


  • 정길용 (1969년 입사, MBC프로덕션 부사장 역임)

  • 고진 (1969년 입사, 2000년 목포MBC 사장 임명)

  • 유희근 (1970년 입사, 2001년 전주MBC 사장 임명)


  • 엄기영 (1974년 입사, 2008년 MBC 사장 취임)


  • 구본홍 (1974년 입사, 2005년 퇴사)


  • 정동영 (1978년 입사, 1996년 퇴사 및 새정치국민회의 입당, 15·16·18·20대 국회의원(민주평화당 대표)


  • 김재철 (1980년 입사, 2005년 울산MBC 사장 임명)


  • 신경민 (1981년 입사, 2010년 정년퇴임, 19·20대 국회의원(더민주소속))


  • 권재홍 (1981년 입사, 2017년 MBC 플러스 사장 임명)


  • 이인용 (1982년 입사, 2005년 퇴사 및 삼성그룹 이직)


  • 김종국 (1982년 입사, 2010년 마산, 진주MBC 사장 임명)

  • 이선명 (1982년 입사, 2018년 경기관광공사 역임)

  • 황희만 (1982년 입사, 2010년 본사 부사장 임명)

  • 정경수 (1984년 입사, 2005년 MBC 글로벌사업본부 중국 지사장 임명)


  • 최문순 (1984년 입사, 2005년 MBC 사장 취임, 36·37대 강원도지사(더민주소속)


  • 김성수 (1984년 입사, 2001년 도쿄 특파원, 2006년 ~ 2008년 보도국장, 2011년 목포MBC 사장, 새정치민주연합 입당)


  • 박광온 (1984년 입사, 2012년 퇴사 및 민주통합당 입당, 19·20대 국회의원(더민주소속)

  • 전영배(1984년 입사, 2012년 MBC C&I 사장 역임)

  • 차경호(1984년 입사, 2012년 대구MBC 사장 임명)

  • 임흥식(1984년 입사, 2015년 정년퇴임)

  • 허연회 (1984년 입사, 2017년 부산MBC 사장 승진했으나, 1년만에 경질.)


  • 황헌 (1984년 입사, 前 무보직 평기자, 논설위원, 보도국장, 논설위원 실장, 2018년 퇴사)


  • 노웅래 (1985년 입사, 2003년 퇴사 및 열린우리당 입당, 17·19·20대 국회의원)


  • 윤도한 (1985년 입사, 前 논설위원, 2019년 청와대 국민소통수석 임명)


  • 곽성문 (1985년 입사, 2004년 퇴사 및 한나라당 입당, 17대 前 국회의원)


  • 최일구 (1985년 입사, 2013년 퇴사, 프리 랜서 방송인)


  • 이진숙 (1986년 입사, 2015년 대전MBC 사장 임명)


  • 최명길 (1986년 입사, 2014년 퇴사 및 새정치민주연합 입당, 20대 前 국회의원(바른미래소속)


  • 김장겸 (1987년 입사, 2017년 사장 승진 및 사장 해임)

  • 최기화 (1988년 입사, 2018년 방송문화진흥회 이사 임명)

  • 심원택 (1988년 입사, 2017년 여수MBC 사장 승진했으나, 1년만에 경질.)


  • 박용찬 (1991년 입사, 前 논설위원실 실장, 2018년 명예퇴직)


  • 김은혜 (1993년 입사, 2008년 대통령 비서실 대변인 입각)

  • 조창호(1993년 입사, 2015년 비서실장, 2017년 시사제작국장 승진)

  • 이동애(1995년 입사, 2018년 비서팀장 임명)

  • 정상원(1995년 입사, 2005년 작고)

  • 고일욱(1995년 입사, 2010년 작고)

  • 이진호(1995년 입사, 2006년 퇴사)


  • 김주하 (1997년 아나운서로 입사, 2004년 기자로 전직, 2015년 퇴사 및 MBN 특임이사 취임)

  • 박성준 (2000년 입사, 2018년 명예퇴직)


  • 김세의 (2004년 입사, 2018년 퇴사)


  • 배현진 (2008년 아나운서로 입사, 2014년 기자로 전직, 2018년 퇴사 및 자유한국당 입당)


승진, 기타


  • 송기원 (1984년 입사, 2018년 전주MBC 사장 임명)

  • 김세용 (1985년 입사, 2018년 원주MBC 사장 임명)

  • 홍순관 (1985년 입사, 2018년 여수MBC 사장 임명)

  • 양찬승 (1991년 입사, 2018년 MBC 미주법인 사장 임명)


해고



  • 신강균 (1986년 입사, 2018년 해고)

  • 박상후 (1994년 입사, 2018년 해고)

  • 유재광 (1999년 입사, 2015년 성추행 사건으로 해고)

  • 현원섭 (2000년 입사, 2018년 해고)

  • 권지호 (2004년, 2018년 해고)

  • 송양환 (2007년, 2018년 성폭력 사건으로 해고)


해외 제휴 방송국



  • 영국 채널 4


  • 독일 ZDF


  • 오스트레일리아 SBS


  • 멕시코 Canal 22


  • 태국 NBT


각주



  1. 重役陣(중역진)을 改編(개편) 한국문화방송국 경향신문 1962.8.2


  2. 走馬看山(주마간산)—結論(결론) 없이지나가는「革命(혁명)4年(년)」 경향신문 1964.11.16


  3. 참고로, 사옥은 1983년 여의도에 준공될 때까지 경향신문과 같이 사용했다.


  4. [네이버 지식백과] 문화방송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 MBC] (매스컴대사전, 1993.12., 한국언론연구원(현 한국언론진흥재단))


  5. 시사저널 771호


  6. “방송문화진흥회법 개정 이유”. 법제처. 2009년 6월 29일에 확인함. 


  7. MBC 대학가요제는 1977년에 시작되었으므로 2006년을 기준으로 할 때 29주년이 되어야 하나, 서른 번째로 개최된 만큼 이를 기념하여 30주년으로 표기하였다.


  8. 社歌(사가) 1975년 7월 25일 경향신문


  9. MBC 상암 신사옥 및 각 스튜디오 소개


  10. MBC 신길 스튜디오 준공 경향신문 1982년 3월 17일자


  11. [건축환경설비 정보] MBC드림센터 건축음향 공사] <한국건축환경설비학회> 2008년


  12. 이 날은 백종문 부사장이 하루 동안 대행을 맡았다.


  13. "특수관계자"에 대해서는 방송법 시행령에서 규정하고 있다.
    제3조 (특수관계자의 범위) ①법 제8조제2항 내지 제4항 및 동조제10항에서 "특수관계자"라 함은 본인과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관계에 있는 자를 말한다. <개정 2004.9.17, 2006.3.10>
    1. 본인이 개인인 경우에는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
    가. 배우자(사실상의 혼인관계에 있는 자를 포함한다), 8촌 이내의 혈족 또는 4촌 이내의 인척
    나. 본인이 단독으로 또는 가목의 자와 합하여 100분의 30 이상을 출자 또는 출연하거나 주요 경영사항에 대하여 사실상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는 법인(법인격이 없는 사단 또는 재단을 포함한다. 이하 이 조에서 같다) 및 그 임원
    다. 본인이 단독으로 또는 그와 가목 또는 나목의 관계에 있는 자와 합하여 100분의 30 이상을 출자 또는 출연하거나 주요 경영사항에 대하여 사실상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는 법인 및 그 임원
    2. 본인이 법인인 경우에는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
    가. 임원
    나. 계열회사(「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 제2조제3호의 규정에 의한 계열회사를 말한다) 및 그 임원
    다. 단독으로 또는 제1호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관계에 있는 자와 합하여 본인에게 100분의 30 이상을 출자 또는 출연하거나 본인의 주요 경영사항에 대하여 사실상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는 개인 및 그와 제1호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관계에 있는 개인, 법인 및 그 임원
    라. 본인이 단독으로 또는 그와 가목 내지 다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관계에 있는 자와 합하여 100분의 30 이상을 출자 또는 출연하거나 주요 경영사항에 대하여 사실상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는 법인 및 그 임원



  14. “방송사별 광고비 현황”. 한국방송광고공사. 2011년 3월 5일에 확인함. 


  15. 실제는 2005년 1월2일까지



함께 보기


  • 방송문화진흥회


  • 지상파 방송
    • 한국방송공사

    • 한국교육방송공사

    • OBS경인TV

    • SBS


  • 문화방송에 대한 비판

  • E-세상이야기

  • 후지테레비

  • 중소기업은행


외부 링크





  • 문화방송 공식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MBC 미디어 그룹 웹사이트

    • 경향신문 동업 시대의 정동 사옥의 현재


  • MBC C&I(구 MBC 프로덕션) 웹사이트

  • 방송문화진흥회 웹사이트


  • 문화방송 - 트위터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문화방송&oldid=23867880"





둘러보기 메뉴

























(window.RLQ=window.RLQ||[]).push(function()mw.config.set("wgPageParseReport":"limitreport":"cputime":"0.988","walltime":"1.219","ppvisitednodes":"value":4582,"limit":1000000,"ppgeneratednodes":"value":0,"limit":1500000,"postexpandincludesize":"value":285813,"limit":2097152,"templateargumentsize":"value":5356,"limit":2097152,"expansiondepth":"value":12,"limit":40,"expensivefunctioncount":"value":0,"limit":500,"unstrip-depth":"value":1,"limit":20,"unstrip-size":"value":23729,"limit":5000000,"entityaccesscount":"value":1,"limit":400,"timingprofile":["100.00% 580.760 1 -total"," 30.14% 175.019 7 틀:둘러보기_상자"," 20.21% 117.387 19 틀:둘러보기_상자/중첩"," 9.93% 57.645 2 틀:웹_인용"," 9.66% 56.119 1 틀:방송국_정보"," 8.50% 49.340 1 틀:경기권의_지상파_방송사"," 8.40% 48.790 1 틀:좌표"," 7.91% 45.926 1 틀:MBC"," 7.56% 43.892 1 틀:대한민국의_디지털_멀티미디어_방송국"," 7.00% 40.638 29 틀:정보상자_선택칸"],"scribunto":"limitreport-timeusage":"value":"0.199","limit":"10.000","limitreport-memusage":"value":6056097,"limit":52428800,"limitreport-logs":"14n","cachereport":"origin":"mw1256","timestamp":"20190315151851","ttl":2592000,"transientcontent":false);mw.config.set("wgBackendResponseTime":131,"wgHostname":"mw1248"););

Popular posts from this blog

Kamusi Yaliyomo Aina za kamusi | Muundo wa kamusi | Faida za kamusi | Dhima ya picha katika kamusi | Marejeo | Tazama pia | Viungo vya nje | UrambazajiKuhusu kamusiGo-SwahiliWiki-KamusiKamusi ya Kiswahili na Kiingerezakuihariri na kuongeza habari

SQL error code 1064 with creating Laravel foreign keysForeign key constraints: When to use ON UPDATE and ON DELETEDropping column with foreign key Laravel error: General error: 1025 Error on renameLaravel SQL Can't create tableLaravel Migration foreign key errorLaravel php artisan migrate:refresh giving a syntax errorSQLSTATE[42S01]: Base table or view already exists or Base table or view already exists: 1050 Tableerror in migrating laravel file to xampp serverSyntax error or access violation: 1064:syntax to use near 'unsigned not null, modelName varchar(191) not null, title varchar(191) not nLaravel cannot create new table field in mysqlLaravel 5.7:Last migration creates table but is not registered in the migration table

은진 송씨 목차 역사 본관 분파 인물 조선 왕실과의 인척 관계 집성촌 항렬자 인구 같이 보기 각주 둘러보기 메뉴은진 송씨세종실록 149권, 지리지 충청도 공주목 은진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