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2015년 태풍 목차 통계 활동한 태풍 같이 보기 외부 링크 둘러보기 메뉴국가태풍센터

2015년 태풍


2015년태풍2015년1월 14일미국괌1월 16일1월 16일1월 17일필리핀마닐라1월 17일필리핀사마르 섬1월 19일필리핀마닐라태국2월 8일미국괌2월 10일미국괌2월 12일미국괌미국무화과일본 기상청3월 12일미국괌3월 14일미국괌미국괌3월 18일필리핀마닐라베트남산맥3월 28일미국괌3월 31일미국괌필리핀4월 5일필리핀마닐라캄보디아나무3월 31일미국괌일본 기상청4월 4일미국괌4월 5일미국괌4월 6일미국괌열대저압부중화인민공화국5월 4일미국괌5월 10일필리핀마닐라필리핀루손 섬루손 해협일본오키나와5월 12일일본가고시마일본 기상청5월 12일일본가고시마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노을5월 9일미국괌미국괌5월 16일미국괌5월 21일일본도쿄온대저기압홍콩돌고래6월 21일베트남다낭6월 22일중화인민공화국잔장하이난 섬통킹 만베트남베트남6월 25일베트남하노이일본별자리고래자리6월 30일미국괌미국괌7월 10일일본오키나와중화인민공화국상하이7월 13일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옹진반도7월 13일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평양열대저압부일본 기상청7월 13일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평양온대저기압라오스나무7월 2일필리핀마닐라필리핀필리핀남중국해7월 8일중화인민공화국산터우중화인민공화국산터우7월 10일홍콩남중국해대한민국마카오연꽃7월 4일미국괌7월 7일미국괌7월 9일7월 11일7월 13일일본7월 16일일본시코쿠고치현무로토 시일본7월 18일독도말레이시아열대과일7월 11일미국존스턴 환초날짜변경선7월 13일미국괌7월 15일미국괌일본 기상청7월 18일미국괌열대저압부7월 18일미국괌열대저압부열대저압부7월 20일미국괌7월 21일일본오키나와일본오키나와7월 25일일본가고시마현아마미 시동중국해동중국해일본 기상청7월 26일일본나가사키현사세보 시7월 26일일본가고시마일본 기상청7월 26일대한민국부산대한해협쓰시마 해협열대저압부7월 27일일본가고시마열대저압부하와이7월 30일미국괌사이판 섬8월 3일사이판 섬8월 4일미국괌타이완8월 8일중화민국화롄 시타이완중화인민공화국푸저우중국 대륙일본 기상청8월 9일중화인민공화국상하이열대저압부8월 10일중화인민공화국상하이열대저압부미크로네시아추장8월 7일일본도쿄8월 9일일본도쿄8월 14일일본센다이온대저기압필리핀가구나무8월 15일미국괌8월 16일미국괌미국괌8월 17일미국괌루손 해협타이완하테루마 섬이시가키 섬동중국해8월 25일일본구마모토현일본큐슈동해8월 26일울릉도온대저기압8월 23일이시가키 섬일본대한민국고니8월 15일미국괌8월 19일미국괌일본 기상청8월 25일일본삿포로온대저기압8월 25일일본삿포로온대저기압태국번개8월 21일미국하와이힐로날짜변경선8월 27일미국존스턴 환초8월 29일미국존스턴 환초허리케인8월 30일미국존스턴 환초날짜변경선9월 1일일본센다이9월 11일일본삿포로온대저기압허리케인하와이9월 7일일본오키나와9월 8일일본오사카9월 9일일본아이치현다하라 시일본혼슈9월 9일독도온대저기압미국팔라우폭풍구름9월 14일베트남다낭9월 14일베트남다낭베트남다낭9월 15일베트남다낭일본 기상청9월 15일베트남다낭베트남베트남강9월 16일미국괌9월 17일일본도쿄9월 21일일본도쿄온대저기압캄보디아나무9월 23일미국괌9월 27일중화민국타이베이일본오키나와현야에야마 제도9월 28일타이완타이완9월 29일중화인민공화국푸저우중국 대륙9월 29일중화인민공화국푸저우열대저압부9월 28일요나구니 섬일본중화인민공화국진달래10월 2일필리핀마닐라남중국해10월 4일중화인민공화국잔장레이저우 반도일본 기상청10월 5일중화인민공화국잔장10월 5일중화인민공화국잔장일본 기상청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무지개10월 2일미국괌온대저기압10월 8일일본센다이일본 기상청10월 8일일본센다이온대저기압10월 8일일본센다이온대저기압홍콩채운10월 13일미국괌필리핀루손 섬10월 18일필리핀마닐라필리핀루손 섬필리핀루손 섬남중국해루손 해협10월 21일필리핀마닐라일본컵10월 14일미국괌10월 19일미국괌10월 25일일본센다이온대저기압10월 25일일본센다이온대저기압라오스꽃11월 17일미국괌11월 21일미국괌11월 26일일본오키나와온대저기압마카오불꽃놀이12월 11일미국괌필리핀12월 14일필리핀마닐라필리핀남중국해12월 17일필리핀마닐라열대저압부말레이시아자스민꽃










(function()var node=document.getElementById("mw-dismissablenotice-anonplace");if(node)node.outerHTML="u003Cdiv class="mw-dismissable-notice"u003Eu003Cdiv class="mw-dismissable-notice-close"u003E[u003Ca tabindex="0" role="button"u003E숨기기u003C/au003E]u003C/divu003Eu003Cdiv class="mw-dismissable-notice-body"u003Eu003Cdiv id="localNotice" lang="ko" dir="ltr"u003Eu003Cpu003Eu003Ca href="/wiki/%EC%9C%84%ED%82%A4%EB%B0%B1%EA%B3%BC:%EA%B3%BC%ED%95%99%EC%9D%98_%EB%8B%AC_%EC%97%90%EB%94%94%ED%84%B0%ED%86%A4" title="위키백과:과학의 달 에디터톤"u003E과학의 달 에디터톤u003C/au003E이 4월 30일까지 진행됩니다. 관련 u003Ca href="/wiki/%EC%9C%84%ED%82%A4%EB%B0%B1%EA%B3%BC:%EA%B3%BC%ED%95%99%EC%9D%98_%EB%8B%AC_%EC%97%90%EB%94%94%ED%84%B0%ED%86%A4#오프라인_모임" title="위키백과:과학의 달 에디터톤"u003E오프라인 모임u003C/au003E이 서울 정독도서관에서 4월 27일에 열립니다.nu003C/pu003Eu003C/divu003Eu003C/divu003Eu003C/divu003E";());




2015년 태풍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2015년 북서태평양 태풍 시즌

2015 Pacific typhoon season summary.png
2015년 북서태평양 열대 저기압들의 이동 경로
담당 기관

RSMC 도쿄
열대 저기압 시작일
-
시작일
2015년 1월 14일
종료일
2015년 12월 17일
열대 저기압 종료일
-
발생(명명)수
27개
사망자수
-
재산 피해
-

연도별 문서
2014년2015년
2016년









태풍의 세부 구분
(10분 평균 풍속 기준)
TD
TS
STS
TY









사피어-심프슨 허리케인 등급
(1분 평균 풍속 기준)
TD
TS
1
2
3
4
5

이 문서에서는 2015년에 발생하는 태풍들의 활동에 대해 기록하였다.
2015년에는 1호 태풍 메칼라를 시작으로 27개의 태풍이 발생하였다.
평균적으로 1년 동안 태풍 발생 개수가 25.6개인 것과 비교하면 높은 수치이다.




목차





  • 1 통계

    • 1.1 월별 태풍 발생 개수



  • 2 활동한 태풍

    • 2.1 제1호 태풍 메칼라


    • 2.2 제2호 태풍 히고스


    • 2.3 제3호 태풍 바비


    • 2.4 제4호 태풍 마이삭


    • 2.5 제5호 태풍 하이선


    • 2.6 제6호 태풍 노을


    • 2.7 제7호 태풍 돌핀


    • 2.8 제8호 태풍 구지라


    • 2.9 제9호 태풍 찬홈


    • 2.10 제10호 태풍 린파


    • 2.11 제11호 태풍 낭카


    • 2.12 제12호 태풍 할롤라


    • 2.13 제13호 태풍 사우델로르


    • 2.14 제14호 태풍 몰라베


    • 2.15 제15호 태풍 고니


    • 2.16 제16호 태풍 앗사니


    • 2.17 제17호 태풍 킬로


    • 2.18 제18호 태풍 아타우


    • 2.19 제19호 태풍 밤꼬


    • 2.20 제20호 태풍 크로반


    • 2.21 제21호 태풍 두쥐안


    • 2.22 제22호 태풍 무지개


    • 2.23 제23호 태풍 초이완


    • 2.24 제24호 태풍 곳푸


    • 2.25 제25호 태풍 참피


    • 2.26 제26호 태풍 인파


    • 2.27 제27호 태풍 멜로르



  • 3 같이 보기


  • 4 외부 링크




통계



월별 태풍 발생 개수












































2015년 기록과 30년 평균 기록의 비교
-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2015년
1
(1)
1
(2)
2
(4)
1
(5)
2
(7)
2
(9)
4
(13)
4
(17)
4
(21)
4
(25)
1
(26)
1
(27)
30년 평균
1981년~2010년
0.3
(0.3)
0.1
(0.4)
0.3
(0.7)
0.6
(1.3)
1.0
(2.3)
1.7
(4.0)
3.6
(7.6)

5.9
(13.5)
4.9
(18.4)
3.6
(22)
2.3
(24.3)
1.2
(25.6)

  • 괄호 안의 숫자는 누적 태풍 수임.


활동한 태풍



제1호 태풍 메칼라















중형의 강한 태풍 (KMA)

강한 열대폭풍 (JMA)

1등급 태풍 (SSHS)

위성 화상이동 경로

활동 기간
1월 14일 ~ 1월 19일

최저 기압
975hPa

최대 풍속
(10분 평균)

KMA
36m/s

JMA
30m/s (60kt)

태풍 사망자
3명

2015년 제1호 태풍 메칼라(MEKKHALA)는 1월 14일 오후 3시에 중심기압 1000hPa, 최대풍속 18m/s(64.8km/h), 강풍 반경 390km(북쪽 반경), 크기 '중형'의 열대폭풍으로 미국 괌 서남서쪽 약 770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기준) 발생 당일부터 1월 16일 오전까지 발달 부진을 겪다가 1월 16일 오후부터 서~서남서진하며 급발달해서 필리핀 상륙을 앞둔 1월 17일 오전 9시에 필리핀 마닐라 동남동쪽 약 73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65hPa, 최대풍속 36m/s(129.6km/h), 강풍 반경 390km(북쪽 반경)의 세력 '강', 크기 '중형'(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속보치 기준)의 태풍으로 최성기를 맞이하였다. 최성기 이후 서~서북서진하면서 다소 약화되었고, 1월 17일 오후 6시경 중심기압 980hPa, 최대풍속 28m/s(100.8km/h)(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기준)의 세력으로 필리핀 사마르 섬에 상륙하였다. 필리핀 상륙 뒤 북서~서북서진하며 급약화되었고, 1월 19일 오전 3시에 필리핀 마닐라 북북동쪽 약 190km 부근 육상에서 중심기압 1004hPa의 열대저압부로 소멸하였다.(한국 기상청 태풍정보 기준으로는 중심기압 1002hPa) 메칼라는 태국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천둥의 천사를 의미한다.




제2호 태풍 히고스














중형의 강한 태풍 (KMA)

매우 강한 태풍 (JMA)

4등급 태풍 (SSHS)

위성 화상이동 경로

활동 기간
2월 8일 ~ 2월 12일

최저 기압
940hPa

최대 풍속
(10분 평균)

KMA
43m/s

JMA
45m/s (90kt)

태풍 사망자
-

2015년 제2호 태풍 히고스(HIGOS)는 2월 8일 오전 3시에 중심기압 1000hPa, 최대풍속 18m/s(64.8km/h), 강풍 반경 220km, 크기 '소형'의 열대폭풍으로 미국 괌 동쪽 약 1,390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기준) 발생 이후 서~서북서진하며 급발달해서 2월 10일 오후 3시에 미국 괌 동쪽 약 1,02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35hPa, 최대풍속 49m/s(176.4km/h), 강풍 반경 330km(북쪽 반경)의 세력 '매우 강', 크기 '중형'(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속보치 기준)의 태풍으로 최성기를 맞이하였다. 최성기 이후 북북동~서북서진하면서 급약화되었고, 2월 12일 오전 3시에 미국 괌 동북동쪽 약 88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1002hPa의 열대저압부로 소멸하였다. 히고스는 미국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무화과를 의미한다. 태풍 히고스는 2월 태풍으로서 3가지 기록을 세웠는데, 1번째 기록은 일본 기상청이 1951년에 태풍 통계를 개시한 이후로 지금까지 단 1개의 태풍도 발생하지 않은 '태풍 공백 기간'이었던 2월 8~15일 기간에 태풍 히고스가 발생해서 절반 이상 채웠다는 것이고, 2번째 기록은 2013년부터 2015년까지 3년 연속으로 2월 태풍 발생, 3번째 기록은 2월 태풍 중 역대 최강이었던 2002년 제2호 태풍 미톡(미탁)의 최성기 세력인 중심기압 930hPa, 최대풍속 49m/s(176.4km/h)와 일본 기상청 기준으로 타이 기록이다.




제3호 태풍 바비














중형의 강한 열대폭풍 (KMA)

열대폭풍 (JMA)

열대폭풍 (SSHS)

위성 화상이동 경로

활동 기간
3월 12일 ~ 3월 18일

최저 기압
990hPa

최대 풍속
(10분 평균)

KMA
27m/s

JMA
23m/s (45kt)

태풍 사망자
-

2015년 제3호 태풍 바비(BAVI)는 3월 12일 오전 3시에 중심기압 996hPa, 최대풍속 18m/s(64.8km/h), 강풍 반경 390km(북쪽 반경), 크기 '중형'의 열대폭풍으로 미국 괌 동남동쪽 약 2,710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기준) 발생 이후 서북서진하며 조금 발달해서 3월 14일 오후 9시에 미국 괌 동쪽 약 65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90hPa, 최대풍속 23m/s(82.8km/h), 강풍 반경 500km(북서쪽 반경)의 세력 '약', 크기 '대형'(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기준)의 열대폭풍으로 최성기를 맞이하였다. 최성기 세력으로 미국 괌 부근 해상을 통과한 이후 급약화되어서 3월 18일 오전 3시에 필리핀 마닐라 동쪽 약 1,34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1002hPa의 열대저압부로 소멸하였다. 바비는 베트남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산맥의 이름을 의미한다.




제4호 태풍 마이삭















중형의 매우 강한 태풍 (KMA)

맹렬한 태풍 (JMA)

5등급의 슈퍼 태풍 (SSHS)

위성 화상이동 경로

활동 기간
3월 28일 ~ 4월 5일

최저 기압
910hPa

최대 풍속
(10분 평균)

KMA
56m/s

JMA
55m/s (105kt)

태풍 사망자
4명

2015년 제4호 태풍 마이삭(MAYSAK)은 3월 28일 오전 3시에 중심기압 1002hPa, 최대풍속 18m/s(64.8km/h), 강풍 반경 220km, 크기 '소형'의 열대폭풍으로 미국 괌 동남동쪽 약 1,390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기준) 발생 이후 서~서북서진하며 발달해서 3월 31일 오후 9시에 미국 괌 남서쪽 약 64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05hPa, 최대풍속 59m/s(212.4km/h), 강풍 반경 390km(북쪽 반경)의 세력 '맹렬함', 크기 '중형'(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속보치 기준)의 태풍으로 최성기를 맞이하였다. 최성기 이후 서~서북서진하며 필리핀에 접근하면서 약화되었고, 4월 5일 오후 3시에 필리핀 마닐라 북쪽 약 320km 부근 육상에서 중심기압 1000hPa의 열대저압부로 소멸하였다.(한국 기상청 태풍정보 기준으로는 중심기압 1002hPa) 마이삭은 캄보디아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나무의 한 종류를 의미한다. 3월 31일 오후 9시에 미국 괌 남서쪽 약 640km 부근 해상에서 최성기 세력 중심기압 905hPa, 최대풍속 59m/s(212.4km/h)로 관측 사상 3월 최강의 태풍으로 기록되었다.


※ 일본 기상청의 2015년 5월 19일자 사후해석에서 2015년 제4호 태풍 '마이삭(Maysak)'의 최성기 세력을 중심기압 910hPa, 10분 평균 최대풍속 초속 54m (= 시속 194km)로 하향 조정시켰다.




제5호 태풍 하이선














소형의 열대폭풍 (KMA)

열대폭풍 (JMA)

열대폭풍 (SSHS)

위성 화상이동 경로

활동 기간
4월 4일 ~ 4월 6일

최저 기압
998hPa

최대 풍속
(10분 평균)

KMA
19m/s

JMA
18m/s (35kt)

태풍 사망자
-

2015년 제5호 태풍 하이선(HAISHEN)은 4월 4일 오후 3시에 중심기압 1002hPa, 최대풍속 18m/s(64.8km/h), 강풍 반경 110km, 크기 '소형'의 열대폭풍으로 미국 괌 동남동쪽 약 1,000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기준) 발생 이후 서~서북서진 및 거의 정체하면서 미미하게 발달하였고, 4월 5일 오전 3시에 미국 괌 남동쪽 약 86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98hPa, 최대풍속 18m/s(64.8km/h), 강풍 반경 110km의 세력 '약', 크기 '소형'(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기준)의 열대폭풍으로 최성기를 맞이하였다. 최성기 이후 서진 및 거의 정체하면서 약화되었고, 4월 6일 오전 9시에 미국 괌 남동쪽 약 78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1004hPa의 열대저압부로 소멸하였다.(한국 기상청 태풍정보 기준으로는 중심기압 1000hPa) 하이선은 중화인민공화국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바다의 신을 의미한다.




제6호 태풍 노을















중형의 매우 강한 태풍 (KMA)

맹렬한 태풍 (JMA)

5등급의 슈퍼 태풍 (SSHS)

위성 화상이동 경로

활동 기간
5월 4일 ~ 5월 12일

최저 기압
915hPa

최대 풍속
(10분 평균)

KMA
53m/s

JMA
55m/s (105kt)

태풍 사망자
2명

2015년 제6호 태풍 노을(NOUL)은 5월 4일 오전 3시에 중심기압 1000hPa, 최대풍속 18m/s(64.8km/h), 강풍 반경 220km, 크기 '소형'의 열대폭풍으로 미국 괌 남서쪽 약 600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기준) 발생 이후 서~서북서진하며 더디게 발달했지만 필리핀에 접근하며 급발달해서 5월 10일 오전 9시에 필리핀 마닐라 북동쪽 약 37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15hPa, 최대풍속 54m/s(194.4km/h), 강풍 반경 280km의 세력 '맹렬함', 크기 '소형'(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기준)의 태풍으로 최성기를 맞이하였고, 최성기 세력으로 필리핀 루손 섬 북동쪽 해안을 스쳐 지나갔다. 루손 해협을 가로지르는 북위 20도선에서 북동진으로 전향했고, 일본 오키나와 지역을 지나가면서 급속한 약화와 온대저기압화가 같이 진행되었다. 한국 기상청 기준으로는 5월 12일 오후 3시에 일본 가고시마 동남동쪽 약 20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96hPa의 온대저기압으로 변질되었다. 일본 기상청 기준으로는 5월 12일 오후 6시에 일본 가고시마 북동쪽 약 33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94hPa의 온대저기압으로 변질되었다. 노을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노을을 의미한다.




제7호 태풍 돌핀















중형의 매우 강한 태풍 (KMA)

매우 강한 태풍 (JMA)

5등급의 슈퍼 태풍 (SSHS)

위성 화상이동 경로

활동 기간
5월 9일 ~ 5월 21일

최저 기압
925hPa

최대 풍속
(10분 평균)

KMA
51m/s

JMA
50m/s (100kt)

태풍 사망자
1명

2015년 제7호 태풍 돌핀(DOLPHIN)은 5월 9일 오후 9시에 중심기압 1002hPa, 최대풍속 18m/s, 강풍 반경 170km, 크기 '소형'의 열대폭풍으로 미국 괌 동남동쪽 약 2,130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기준) 발생 이후 서~서북서진하며 더디게 발달했지만 미국 괌 부근 해상을 통과한 뒤에 급발달해서 5월 16일 오후 9시에 미국 괌 북서쪽 약 55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25hPa, 최대풍속 51m/s, 강풍 반경 390km(북동쪽 반경)의 세력 '매우 강', 크기 '중형'(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기준)의 태풍으로 최성기를 맞이하였다. 최성기 이후 북위 20도선에서 북동진으로 전향한 뒤에 서서히 약화되며 온대저기압화가 진행되었고, 5월 21일 오전 3시에 일본 도쿄 동쪽 약 1,05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80hPa의 온대저기압로 변질되었다.(한국 기상청 태풍정보 기준으로는 중심기압 985hPa) 돌핀은 홍콩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돌고래를 의미한다.




제8호 태풍 구지라














소형의 열대폭풍 (KMA)

열대폭풍 (JMA)

열대폭풍 (SSHS)

위성 화상이동 경로

활동 기간
6월 21일 ~ 6월 25일

최저 기압
985hPa

최대 풍속
(10분 평균)

KMA
24m/s

JMA
20m/s (40kt)

태풍 사망자
9명

2015년 제8호 태풍 구지라(KUJIRA)는 6월 21일 오전 9시에 중심기압 998hPa, 최대풍속 18m/s, 강풍 반경 220km, 크기 '소형'의 열대폭풍으로 베트남 다낭 동쪽 약 340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기준) 발생 이후 북~북북서진하며 미미하게 발달해서 6월 22일 오후 9시에 중화인민공화국 잔장 남쪽 약 24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85hPa, 최대풍속 21m/s, 강풍 반경 220km(남서쪽 반경)의 세력 '약', 크기 '소형'(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기준)의 열대폭풍으로 최성기를 맞이하였다. 최성기 세력으로 하이난 섬에 상륙한 뒤, 관통하면서 약화되었다가 통킹 만에 진출하면서 중심기압 985hPa, 최대풍속 21m/s(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기준)의 최성기 세력으로 재발달했고, 재발달한 세력에서 조금 약화된 990hPa, 최대풍속 21m/s(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기준)의 세력으로 베트남 북부 지방에 상륙하였다. 베트남 북부 지방 상륙 뒤 다시 약화되었고, 6월 25일 오전 3시에 베트남 하노이 북북동쪽 약 70km 부근 육상에서 중심기압 996hPa의 열대저압부로 소멸하였다. 구지라는 일본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별자리 중 고래자리를 의미한다.




제9호 태풍 찬홈















중형의 매우 강한 태풍 (KMA)

대형의 매우 강한 태풍 (JMA)

4등급 태풍 (SSHS)

위성 화상이동 경로

활동 기간
6월 30일 ~ 7월 13일

최저 기압
935hPa

최대 풍속
(10분 평균)

KMA
49m/s

JMA
45m/s (90kt)

태풍 사망자
18명

2015년 제9호 태풍 찬홈(CHAN-HOM)은 6월 30일 오후 9시에 중심기압 1002hPa, 최대풍속 18m/s, 강풍 반경 170km, 크기 '소형'의 열대폭풍으로 미국 괌 동남동쪽 약 1,660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기준) 발생 이후 서~서북서진하면서 미국 괌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75hPa, 최대풍속 33m/s(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기준)로 발달했다가 거의 정체하면서 연직시어 영향으로 중심기압 990hPa, 최대풍속 23m/s(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기준)까지 약화되었다가, 다시 서북서진하면서 재발달하였고, 7월 10일 오전 3시에 일본 오키나와 남서쪽 약 18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35hPa, 최대풍속 46m/s, 강풍 반경 560km(북동쪽 반경)의 세력 '매우 강', 크기 '대형'(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기준)의 태풍으로 최성기를 맞이하였다. 최성기 이후 서서히 약화되면서 중화인민공화국 상하이 부근 해안을 비켜 지나갔고, 북위 29도선에서 북동진으로 전향하였다. 북동진으로 전향한 뒤 서해상으로 진출하면서 계속 약화 및 온대저기압화가 진행되었고, 7월 13일 오전 1시 30분경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옹진반도 남쪽 해안에 중심기압 980hPa, 최대풍속 25m/s(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기준)의 세력으로 상륙하였다. 상륙 뒤 약화가 가속되어서, 한국 기상청 기준으로는 7월 13일 오전 6시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양 북쪽 약 20km 부근 육상에서 중심기압 985hPa의 열대저압부로 약화되었다. 일본 기상청 기준으로는 7월 13일 오전 9시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양 북동쪽 약 110km 부근 육상에서 중심기압 986hPa의 온대저기압로 변질되었다. 찬홈은 라오스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나무의 한 종류를 의미한다.




제10호 태풍 린파














소형의 강한 열대폭풍 (KMA)

강한 열대폭풍 (JMA)

1등급 태풍 (SSHS)

위성 화상이동 경로

활동 기간
7월 2일 ~ 7월 10일

최저 기압
980hPa

최대 풍속
(10분 평균)

KMA
29m/s

JMA
25m/s (50kt)

태풍 사망자
1명

2015년 제10호 태풍 린파(LINFA)는 7월 2일 오후 9시에 중심기압 998hPa, 최대풍속 18m/s, 강풍 반경 170km, 크기 '소형'의 열대폭풍으로 필리핀 마닐라 동쪽 약 840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기준) 발생 이후 서~북서진하며 발달해서 필리핀 북부 지방에 상륙하기 직전에 중심기압 985hPa, 최대풍속 28m/s(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기준)로 발달했다가 필리핀 북부 지방을 관통하면서 다시 약화되었고, 남중국해에 진출한 뒤 거의 정체하거나 북서진하면서 재발달해서 7월 8일 오후 3시에 중화인민공화국 산터우 남동쪽 약 26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75hPa, 최대풍속 28m/s, 강풍 반경 220km의 세력 '중', 크기 '소형'(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기준)의 강한 열대폭풍으로 최성기를 맞이하였다. 최성기 이후 북서진해서 중화인민공화국 산터우 부근 육상에 상륙한 뒤 급약화되어서 7월 10일 오전 9시에 홍콩 서북서쪽 약 170km 부근 육상에서 중심기압 1000hPa의 열대저압부로 소멸하였다. 린파가 남중국해에서 정체할 때 장마전선에 수증기를 공급해서 대한민국 남부 지방에 호우가 오게 했다. 린파는 마카오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연꽃을 의미한다.




제11호 태풍 낭카















중형의 매우 강한 태풍 (KMA)

대형의 매우 강한 태풍 (JMA)

4등급의 슈퍼 태풍 (SSHS)

위성 화상이동 경로

활동 기간
7월 4일 ~ 7월 18일

최저 기압
925hPa

최대 풍속
(10분 평균)

KMA
53m/s

JMA
50m/s (100kt)

태풍 사망자
2명

2015년 제11호 태풍 낭카(NANGKA)는 7월 4일 오전 3시에 중심기압 1000hPa, 최대풍속 18m/s, 강풍 반경 220km, 크기 '소형'의 열대폭풍으로 미국 괌 동쪽 약 2,860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기준) 발생 이후 서~서북서진하며 급발달해서 7월 7일 오후 9시에 미국 괌 동쪽 약 94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25hPa, 최대풍속 51m/s, 강풍 반경 330km의 세력 '매우 강', 크기 '중형'(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기준)의 태풍으로 최성기를 맞이하였다. 최성기 이후 잠시 7월 9일까지 중심기압 935hPa, 최대풍속 46m/s(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기준)까지 조금 약화되었다가, 다시 최성기 세력인 중심기압 925hPa, 최대풍속 51m/s(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기준)로 재발달하였다. 재발달해서 다시 최성기를 맞이한 이후 7월 11일부터 연직시어 영향으로 중심기압 950hPa, 최대풍속 41m/s(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기준)까지 약화되었고, 중간에 거의 정체하다가 7월 13일부터 북~북서진으로 전향한 뒤 일본을 향해 이동하면서 서서히 약화되기 시작했다. 서서히 약화되며 북~북서진해서 7월 16일 오후 11시경 일본 시코쿠 고치현 무로토 시 부근 육상에 중심기압 960hPa, 최대풍속 36m/s(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기준)의 세력으로 상륙하였다. 일본을 관통하면서 육상과의 마찰과 연직시어 영향으로 급속하게 약화되면서 동해상으로 진출하였고, 7월 18일 오전 3시에 독도 동쪽 약 33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1002hPa의 열대저압부로 소멸하였다.(한국 기상청 태풍정보 기준으로는 중심기압 1000hPa) 낭카는 말레이시아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열대 과일의 한 종류를 의미한다.




제12호 태풍 할롤라















중형의 강한 태풍 (KMA)

강한 태풍 (JMA)

2등급 태풍 (SSHS)

위성 화상이동 경로

활동 기간
7월 11일 ~ 7월 27일

최저 기압
955hPa

최대 풍속
(10분 평균)

KMA
39m/s

JMA
40m/s (80kt)

태풍 사망자
-

2015년 제12호 태풍 할롤라(HALOLA)는 7월 11일 오전 9시에 중심기압 1004hPa, 최대풍속 18m/s(1분 평균 풍속)의 열대폭풍으로 미국 존스턴 환초 남서쪽 약 695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 발생 이후 서~서북서진을 하며 서서히 발달하면서 날짜변경선을 통과하였고, 7월 13일 오전 9시에 중심기압 990hPa, 최대풍속 25m/s, 강풍 반경 170km, 크기 '소형'의 강한 열대폭풍으로 미국 괌 동쪽 약 3,750km 부근 해상에서 태풍으로 인정되었다.(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기준) 태풍으로 인정된 이후에도 계속 서~서북서진하며 발달해서 7월 15일 오전 3시에 미국 괌 동쪽 약 2,93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65hPa, 최대풍속 36m/s, 강풍 반경 220km의 세력 '강', 크기 '소형'(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기준)의 태풍으로 1차 최성기를 맞이하였다. 1차 최성기 이후에는 서~서북서진하다가 연직시어 영향으로 약화되어서, 일본 기상청 기준으로는 7월 18일 오후 3시에 미국 괌 동북동쪽 약 1,38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1006hPa의 열대저압부로 소멸하였다. 한국 기상청 기준으로는 7월 18일 오후 9시에 미국 괌 동북동쪽 약 1,26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98hPa의 열대저압부로 소멸하였다. 소멸 이후 열대저압부 상태로 서북서진하면서 재발달했고, 7월 20일 오전 9시에 중심기압 1000hPa, 최대풍속 18m/s, 강풍 반경 280km(동쪽 반경), 크기 '소형'의 열대폭풍으로 미국 괌 북북동쪽 약 920km 부근 해상에서 재발생하였다.(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기준) 재발생 이후에 계속 서~서북서진하며 급발달해서 7월 21일 오후 9시에 일본 오키나와 동남동쪽 약 1,46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55hPa, 최대풍속 41m/s, 강풍 반경 280km의 세력 '강', 크기 '소형'(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기준)의 태풍으로 2차 최성기를 맞이하였다. 2차 최성기 이후에 계속 서~서북서진하면서 일본 오키나와에 근접하며 서서히 약화되었고, 7월 25일 밤에 일본 가고시마현 아마미 시 부근 해상을 중심기압 975hPa, 최대풍속 31m/s(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기준)의 세력으로 지나갔다. 계속 북~북북서진하며 동중국해로 진출했고, 동중국해의 수온이 낮아 급약화되었다. 북위 30도선 통과 이후에 서서히 북동진으로 전향하였다. 북동진하면서 일본 기상청 기준으로는 7월 26일 오후 7시경 일본 나가사키현 사세보 시 부근 육상에 중심기압 998hPa, 최대풍속 21m/s, 강풍 반경 110km(남동쪽 반경), 크기 '소형'의 열대폭풍으로 상륙하였다. 한국 기상청 기준으로는 7월 26일 오후 7시 30분경 일본 가고시마 북북서쪽 약 200km 부근 육상에 중심기압 990hPa, 최대풍속 24m/s, 강풍 반경 160km(남쪽 반경), 크기 '소형'의 열대폭풍으로 상륙하였다. 상륙 이후 급약화되어서 일본 기상청 기준으로는 7월 26일 오후 9시에 대한민국 부산 남동쪽 약 155km 부근 해상(대한해협 중에서도 쓰시마 해협)에서 중심기압 1004hPa의 열대저압부로 소멸하였다. 한국 기상청 기준으로는 7월 27일 0시에 일본 가고시마 북쪽 약 300km 부근 육상에서 중심기압 1004hPa의 열대저압부로 소멸하였다. 할롤라는 중태평양상의 열대폭풍이 이동한 것으로 하와이 남자아이 이름을 의미한다.




제13호 태풍 사우델로르















중형의 매우 강한 태풍 (KMA)

대형의 맹렬한 태풍 (JMA)

5등급의 슈퍼 태풍 (SSHS)

위성 화상이동 경로

활동 기간
7월 30일 ~ 8월 10일

최저 기압
900hPa

최대 풍속
(10분 평균)

KMA
58m/s

JMA
60m/s (120kt)

태풍 사망자
59명

2015년 제13호 태풍 사우델로르(SOUDELOR)는 7월 30일 오후 9시에 중심기압 1000hPa, 최대풍속 18m/s, 강풍 반경 220km(북쪽 반경), 크기 '소형'의 열대폭풍으로 미국 괌 동쪽 약 1,570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기준) 발생 이후 서~서북서진하며 급발달해서 사이판 섬을 8월 3일 0시에 중심기압 955hPa, 최대풍속 39m/s(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기준)의 세력으로 관통하였다. 사이판 섬 관통 이후에도 계속 서북서진하며 발달해서 8월 4일 오전 3시에 미국 괌 북서쪽 약 64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00hPa, 최대풍속 59m/s, 강풍 반경 390km(북쪽 반경)의 세력 '맹렬함', 크기 '중형'(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속보치 기준)의 태풍으로 최성기를 맞이하였다. 최성기 이후 조금 약화되었다가 타이완 동쪽 해상에서 재발달했고, 재발달한 세력인 중심기압 930hPa, 최대풍속 49m/s(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기준)의 세력으로 8월 8일 오전 5시 40분경 중화민국 화롄 시 부근 육상에 상륙하였다. 타이완 관통 뒤 약화된 세력인 중심기압 970hPa, 최대풍속 36m/s(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기준)의 세력으로 중화인민공화국 푸저우 부근 육상에 상륙하였고, 중국 대륙 상륙 이후 급약화되어서 일본 기상청 기준으로는 8월 9일 오후 9시에 중화인민공화국 상하이 남서쪽 약 620km 부근 육상에서 중심기압 996hPa의 열대저압부로 소멸하였다.(한국 기상청 기준으로는 8월 10일 오전 3시에 중화인민공화국 상하이 서남서쪽 약 560km 부근 육상에서 중심기압 998hPa의 열대저압부로 소멸하였다.) 사우델로르는 미크로네시아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전설 속의 추장을 의미한다.




제14호 태풍 몰라베














소형의 열대폭풍 (KMA)

열대폭풍 (JMA)

열대폭풍 (SSHS)

위성 화상이동 경로

활동 기간
8월 7일 ~ 8월 14일

최저 기압
990hPa

최대 풍속
(10분 평균)

KMA
24m/s

JMA
23m/s (45kt)

태풍 사망자
-

2015년 제14호 태풍 몰라베(MOLAVE)는 8월 7일 오후 9시에 중심기압 1000hPa, 최대풍속 18m/s, 강풍 반경 390km(북동쪽 반경), 크기 '중형'의 열대폭풍으로 일본 도쿄 남남동쪽 약 1,500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기준) 발생 이후 북~서북서진하면서 조금 발달하였고, 8월 9일 오후 3시에 일본 도쿄 남쪽 약 89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90hPa, 최대풍속 23m/s, 강풍 반경 390km(북동쪽 반경)의 세력 '약', 크기 '중형'(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기준)의 열대폭풍으로 최성기를 맞이하였다. 최성기 이후 북위 30도선에서 북동진으로 전향한 뒤 온대저기압화가 진행되며 서서히 약화되었고, 8월 14일 오전 9시에 일본 센다이 동쪽 약 1,86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92hPa의 온대저기압으로 변질되었다.(한국 기상청 태풍정보 기준으로는 중심기압 998hPa) 몰라베는 필리핀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가구 제작용 나무를 의미한다.




제15호 태풍 고니














중형의 매우 강한 태풍 (KMA)

대형의 매우 강한 태풍 (JMA)

4등급 태풍 (SSHS)

위성 화상이동 경로

활동 기간
8월 15일 ~ 8월 26일

최저 기압
935hPa

최대 풍속
(10분 평균)

KMA
50m/s

JMA
50m/s (95kt)

태풍 사망자
74명

2015년 제15호 태풍 고니(GONI)는 8월 15일 오전 3시에 중심기압 1002hPa, 최대풍속 18m/s, 강풍 반경 110km, 크기 '소형'의 열대폭풍으로 미국 괌 동쪽 약 370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기준) 발생 이후 서~서북서진하며 발달해서 8월 16일 오전 3시에 미국 괌 북쪽 약 70km 부근 해상을 중심기압 985hPa, 최대풍속 28m/s(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기준)의 세력으로 통과하였다. 미국 괌 부근 해상 통과 뒤에도 계속 서북서진하며 급발달해서 8월 17일 오후 3시에 미국 괌 북서쪽 약 60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35hPa, 최대풍속 49m/s, 강풍 반경 330km의 세력 '매우 강', 크기 '중형'(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속보치 기준)의 태풍으로 최성기를 맞이하였다. 최성기 이후 계속 서~서북서진하며 이동했고, 루손 해협을 앞둔 북위 19도선에서 북진으로 전향했다. 전향하면서 열용량이 낮은 곳을 지나 조금 약화되었다가 타이완 동쪽 해상이 열용량이 높아 재발달했고, 재발달한 세력인 중심기압 940hPa, 최대풍속 49m/s(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기준)의 세력으로 하테루마 섬과 이시가키 섬을 통과했다. 동중국해에서 재발달한 세력을 유지하며 계속 북동진했고, 8월 25일 오전 6시경 중심기압 955hPa, 최대풍속 41m/s(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기준)의 세력으로 일본 구마모토현에 상륙하였다. 일본 큐슈를 관통한 뒤 동해로 진출하면서 온대저기압화가 진행되었고, 8월 26일 오전 6시에 울릉도 북동쪽 약 22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80hPa의 온대저기압으로 변질되었다.(한국 기상청 태풍정보 기준으로는 중심기압 985hPa) 고니는 8월 23일 오후 9시 16분에 이시가키 섬에서 순간최대풍속 71.0m/s를 기록하면서 일본 내에서 역대급 순간최대풍속 기록을 세웠다. 고니는 대한민국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고니를 의미한다.




제16호 태풍 앗사니














대형의 매우 강한 태풍 (KMA)

대형의 매우 강한 태풍 (JMA)

5등급의 슈퍼 태풍 (SSHS)

위성 화상이동 경로

활동 기간
8월 15일 ~ 8월 25일

최저 기압
925hPa

최대 풍속
(10분 평균)

KMA
53m/s

JMA
50m/s (100kt)

태풍 사망자
-

2015년 제16호 태풍 앗사니(ATSANI)는 8월 15일 오전 3시에 중심기압 1000hPa, 최대풍속 18m/s, 강풍 반경 150km, 크기 '소형'의 열대폭풍으로 미국 괌 동쪽 약 1,810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기준) 발생 이후 서~서북서진하며 발달해서 8월 19일 오후 9시에 미국 괌 북동쪽 약 98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25hPa, 최대풍속 51m/s, 강풍 반경 560km의 세력 '매우 강', 크기 '대형'(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속보치 기준)의 태풍으로 최성기를 맞이하였다. 최성기 이후 북위 27도선에서 북동진으로 전향한 뒤 온대저기압화가 진행되며 서서히 약화되었고, 일본 기상청 기준으로는 8월 25일 오후 6시에 일본 삿포로 남동쪽 약 1,47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64hPa의 온대저기압으로 변질되었다. 한국 기상청 기준으로는 8월 25일 오후 9시에 일본 삿포로 동남동쪽 약 1,55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85hPa의 온대저기압으로 변질되었다. 앗사니는 태국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번개를 의미한다.




제17호 태풍 킬로














중형의 매우 강한 태풍 (KMA)

매우 강한 태풍 (JMA)

4등급 태풍 (SSHS)

위성 화상이동 경로

활동 기간
8월 21일 ~ 9월 11일

최저 기압
940hPa

최대 풍속
(10분 평균)

KMA
45m/s

JMA
50m/s (95kt)

태풍 사망자
-

2015년 제17호 태풍 킬로(KILO)는 8월 21일 오후 9시에 중심기압 1004hPa, 최대풍속 18m/s(1분 평균 풍속)의 열대폭풍으로 미국 하와이 힐로 남남동쪽 약 860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 발생 후 서~서북서진하며 수온이 낮은 해역으로 들어가면서 열대저압부로 약화되었다가 수온이 높은 날짜변경선 부근 해상으로 진입했고, 8월 27일 오전 3시에 미국 존스턴 환초 북동쪽 약 27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1004hPa, 최대풍속 18m/s(1분 평균 풍속)의 열대폭풍으로 재발달했다. 그 때부터 서남서~서북서진하며 발달을 시작해서 8월 29일 오후 3시에 미국 존스턴 환초 서북서쪽 약 42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85hPa, 최대풍속 33m/s(1분 평균 풍속)의 허리케인으로 발달했고, 서남서진하며 계속 발달해서 8월 30일 오후 3시에는 미국 존스턴 환초 서북서쪽 약 80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40hPa, 최대풍속 61m/s(1분 평균 풍속)의 메이저 허리케인으로 최성기를 맞이했다. 메이저 허리케인으로 발달해서 최성기를 맞은 뒤 서북서~북북서진하며 조금씩 약화되면서 날짜변경선을 통과하였고, 9월 1일 오후 3시에 중심기압 945hPa, 최대풍속 49m/s, 강풍 반경 280km, 크기 '소형'의 매우 강한 태풍으로 일본 센다이 동남동쪽 약 4,080km 부근 해상에서 태풍으로 인정되었다.(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기준) 태풍으로 인정된 이후에도 서남서~서~서북서진하며 이동했지만 최성기 세력 수준까지 다시 도달하지 못하고 계속 약화 및 온대저기압화가 진행되어서, 9월 11일 오후 9시에 일본 삿포로 동쪽 약 53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80hPa의 온대저기압으로 변질되었다.(한국 기상청 태풍정보 기준으로는 중심기압 994hPa) 킬로는 중태평양상의 허리케인이 이동한 것으로 하와이 남자아이 이름을 의미한다.




제18호 태풍 아타우














소형의 강한 열대폭풍 (KMA)

강한 열대폭풍 (JMA)

열대폭풍 (SSHS)

위성 화상이동 경로

활동 기간
9월 7일 ~ 9월 9일

최저 기압
985hPa

최대 풍속
(10분 평균)

KMA
27m/s

JMA
25m/s (50kt)

태풍 사망자
8명

2015년 제18호 태풍 아타우(ETAU)는 9월 7일 오전 3시에 중심기압 1000hPa, 최대풍속 18m/s, 강풍 반경 110km(북쪽 반경), 크기 '소형'의 열대폭풍으로 일본 오키나와 동남동쪽 약 1,250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기준) 발생 이후 북~북북서진하면서 조금 발달하였고, 9월 8일 오후 9시에 일본 오사카 남동쪽 약 47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85hPa, 최대풍속 25m/s, 강풍 반경 330km(북동쪽 반경)의 세력 '중', 크기 '중형'(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기준)의 강한 열대폭풍으로 최성기를 맞이하였다. 최성기 이후 빠르게 북~북북서진하면서 9월 9일 오전 8시 30분경 중심기압 990hPa, 최대풍속 23m/s(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기준)의 세력으로 일본 아이치현 다하라 시에 상륙하였다. 일본 혼슈를 관통하며 온대저기압화가 진행되면서 동해상에 진출했고, 9월 9일 오후 9시에 독도 동북동쪽 약 28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1000hPa의 온대저기압으로 변질되었다.(한국 기상청 태풍정보 기준으로는 중심기압 998hPa) 아타우는 미국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팔라우 언어로 폭풍 구름을 의미한다.




제19호 태풍 밤꼬














소형의 열대폭풍 (KMA)

열대폭풍 (JMA)

열대폭풍 (SSHS)

위성 화상이동 경로

활동 기간
9월 14일 ~ 9월 15일

최저 기압
996hPa

최대 풍속
(10분 평균)

KMA
21m/s

JMA
18m/s (35kt)

태풍 사망자
15명

2015년 제19호 태풍 밤꼬(VAMCO)는 9월 14일 오전 3시에 중심기압 1000hPa, 최대풍속 18m/s, 강풍 반경 330km(북서쪽 반경), 크기 '중형'의 열대폭풍으로 베트남 다낭 동쪽 약 270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기준) 발생 이후 서진하면서 미미하게 발달하였고, 9월 14일 오후 9시에 베트남 다낭 남동쪽 약 10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96hPa, 최대풍속 18m/s, 강풍 반경 330km(북서쪽 반경)의 세력 '약', 크기 '중형'(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기준)의 열대폭풍으로 최성기를 맞이하였다. 최성기 이후 베트남 다낭 부근 육상에 상륙했고, 급약화되었다. 한국 기상청 기준으로는 9월 15일 오전 3시에 베트남 다낭 서남서쪽 약 140km 부근 육상에서 중심기압 1000hPa의 열대저압부로 소멸하였다. 일본 기상청 기준으로는 9월 15일 오전 9시에 베트남 다낭 서쪽 약 240km 부근 육상에서 중심기압 1002hPa의 열대저압부로 소멸하였다. 밤꼬는 베트남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베트남 남부를 흐르는 강의 이름을 의미한다.




제20호 태풍 크로반














중형의 강한 태풍 (KMA)

매우 강한 태풍 (JMA)

3등급 태풍 (SSHS)

위성 화상이동 경로

활동 기간
9월 16일 ~ 9월 21일

최저 기압
945hPa

최대 풍속
(10분 평균)

KMA
43m/s

JMA
45m/s (85kt)

태풍 사망자
-

2015년 제20호 태풍 크로반(KROVANH)은 9월 16일 오전 3시에 중심기압 998hPa, 최대풍속 18m/s, 강풍 반경 170km, 크기 '소형'의 열대폭풍으로 미국 괌 북동쪽 약 780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기준) 발생 이후 서북서~북서진하며 급발달해서 9월 17일 오후 9시에 일본 도쿄 남남동쪽 약 1,53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45hPa, 최대풍속 44m/s, 강풍 반경 330km(북쪽 반경)의 세력 '매우 강', 크기 '중형'(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속보치 기준)의 태풍으로 최성기를 맞이하였다. 최성기 이후 북위 25도선에서 북동진으로 전향한 뒤 온대저기압화가 진행되며 급약화되었고, 9월 21일 오전 3시에 일본 도쿄 동쪽 약 99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92hPa의 온대저기압으로 변질되었다.(한국 기상청 태풍정보 기준으로는 중심기압 994hPa) 크로반은 캄보디아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나무의 한 종류를 의미한다.




제21호 태풍 두쥐안














중형의 매우 강한 태풍 (KMA)

대형의 매우 강한 태풍 (JMA)

4등급 태풍 (SSHS)

위성 화상이동 경로

활동 기간
9월 23일 ~ 9월 29일

최저 기압
925hPa

최대 풍속
(10분 평균)

KMA
53m/s

JMA
50m/s (100kt)

태풍 사망자
3명

2015년 제21호 태풍 두쥐안(DUJUAN)은 9월 23일 오전 3시에 중심기압 996hPa, 최대풍속 18m/s, 강풍 반경 390km(서쪽 반경), 크기 '중형'의 열대폭풍으로 미국 괌 서북서쪽 약 840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기준) 발생 이후 북서~서남서~서북서진하며 서서히 발달해서 9월 27일 오전 9시에 중화민국 타이베이 동남동쪽 약 68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25hPa, 최대풍속 51m/s, 강풍 반경 460km의 세력 '매우 강', 크기 '중형'(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속보치 기준)의 태풍으로 최성기를 맞이하였다. 최성기 세력을 유지하면서 계속 서북서진하며 일본 오키나와현 야에야마 제도 부근 해상을 통과한 뒤 9월 28일 오후 7시경 타이완 동부 해안에 중심기압 955hPa, 최대풍속 44m/s(일본 기상청 매시간 태풍정보 발표 기준)의 세력으로 상륙했다. 타이완 관통 뒤 9월 29일 오전 10시경 중화인민공화국 푸저우 남서쪽 해안에 중심기압 985hPa, 최대풍속 28m/s(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기준)의 세력으로 상륙했다. 중국 대륙 상륙 뒤 급약화되어서 9월 29일 오후 9시에 중화인민공화국 푸저우 서쪽 약 270km 부근 육상에서 중심기압 1004hPa의 열대저압부로 소멸하였다.(한국 기상청 태풍정보 기준으로는 중심기압 1002hPa) 태풍 고니에 이어서 두쥐안도 9월 28일 오후 3시 41분에 요나구니 섬에서 순간최대풍속 81.1m/s를 기록하면서 일본 내에서 역대급 순간최대풍속 기록을 세웠다. 두쥐안은 중화인민공화국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진달래를 의미한다.




제22호 태풍 무지개














소형의 강한 태풍 (KMA)

강한 태풍 (JMA)

4등급 태풍 (SSHS)

위성 화상이동 경로

활동 기간
10월 2일 ~ 10월 5일

최저 기압
955hPa

최대 풍속
(10분 평균)

KMA
40m/s

JMA
40m/s (75kt)

태풍 사망자
29명

2015년 제22호 태풍 무지개(MUJIGAE)는 10월 2일 오전 3시에 중심기압 998hPa, 최대풍속 18m/s, 강풍 반경 170km, 크기 '소형'의 열대폭풍으로 필리핀 마닐라 북쪽 약 130km 부근 육상에서 발생하였다.(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기준) 발생 이후 남중국해에 진출해서 서북서진하며 급발달해서, 10월 4일 오후 3시에 중화인민공화국 잔장 북쪽 약 1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55hPa, 최대풍속 40m/s, 강풍 반경 250km의 세력 '강', 크기 '소형'(한국 기상청 태풍정보 기준, 일본 기상청 세력 해석의 문제로 무지개만 한국 기상청으로 대체)의 태풍으로 최성기를 맞이하였다. 최성기 이후 레이저우 반도에 바로 상륙했고, 급약화되어서 일본 기상청 기준으로는 10월 5일 오전 9시에 중화인민공화국 잔장 북서쪽 약 310km 부근 육상에서 중심기압 1008hPa의 열대저압부로 소멸하였다. 한국 기상청 기준으로는 10월 5일 오후 3시에 중화인민공화국 잔장 북서쪽 약 360km 부근 육상에서 중심기압 1010hPa의 열대저압부로 소멸하였다. 일본 기상청에서 2014년 제23호 태풍 장미에 이어 육상에서 태풍 발생을 선언한 2번째 태풍이다. 무지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무지개를 의미한다.




제23호 태풍 초이완














중형의 강한 태풍 (KMA)

초대형의 강한 열대폭풍 (JMA)

1등급 태풍 (SSHS)

위성 화상이동 경로

활동 기간
10월 2일 ~ 10월 8일

최저 기압
955hPa

최대 풍속
(10분 평균)

KMA
35m/s

JMA
30m/s (60kt)

태풍 사망자
-

2015년 제23호 태풍 초이완(CHOI-WAN)은 10월 2일 오후 3시에 중심기압 996hPa, 최대풍속 18m/s, 강풍 반경 750km, 크기 '대형'의 열대폭풍으로 미국 괌 동북동쪽 약 2,420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기준) 발생 이후 북서~서북서진하며 더디게 발달하였고, 온대저기압 변질 직전인 10월 8일 오전 9시에 일본 센다이 동북동쪽 약 65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55hPa, 최대풍속 31m/s, 강풍 반경 1,000km(북동쪽 반경)의 세력 '중', 크기 '초대형'(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기준)의 강한 열대폭풍으로 최성기를 맞이하였다. 일본 기상청 기준으로는 10월 8일 12시에 일본 센다이 북동쪽 약 68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54hPa의 온대저기압으로 변질되었다. 한국 기상청 기준으로는 10월 8일 오후 3시에 일본 센다이 동북동쪽 약 58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85hPa의 온대저기압으로 변질되었다. 초이완은 홍콩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채운을 의미한다.




제24호 태풍 곳푸














중형의 매우 강한 태풍 (KMA)

매우 강한 태풍 (JMA)

4등급의 슈퍼 태풍 (SSHS)

위성 화상이동 경로

활동 기간
10월 13일 ~ 10월 21일

최저 기압
920hPa

최대 풍속
(10분 평균)

KMA
50m/s

JMA
50m/s (100kt)

태풍 사망자
62명

2015년 제24호 태풍 곳푸(KOPPU)는 10월 13일 오후 9시에 중심기압 1000hPa, 최대풍속 18m/s, 강풍 반경 280km, 크기 '소형'의 열대폭풍으로 미국 괌 서북서쪽 약 700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기준) 발생 이후 서진하면서 더디게 발달했으나 필리핀 루손 섬 상륙 직전에 급발달해서, 10월 18일 오전 3시에 필리핀 마닐라 북동쪽 약 210km 부근 육상에서 중심기압 920hPa, 최대풍속 51m/s, 강풍 반경 440km(북쪽 반경)의 세력 '매우 강', 크기 '중형'(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속보치 기준)의 태풍으로 최성기를 맞이하였고, 최성기 세력으로 필리핀 루손 섬에 상륙하였다. 필리핀 루손 섬 관통 뒤 남중국해와 루손 해협에 진출하며 급속하게 약화되었고, 10월 21일 오후 3시에 필리핀 마닐라 북북동쪽 약 59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1000hPa의 열대저압부로 소멸하였다. 필리핀에서 큰 피해를 준 태풍 곳푸는 제명되었다. 곳푸는 일본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컵을 의미한다.




제25호 태풍 참피














중형의 매우 강한 태풍 (KMA)

매우 강한 태풍 (JMA)

4등급의 슈퍼 태풍 (SSHS)

위성 화상이동 경로

활동 기간
10월 14일 ~ 10월 25일

최저 기압
940hPa

최대 풍속
(10분 평균)

KMA
49m/s

JMA
45m/s (90kt)

태풍 사망자
-

2015년 제25호 태풍 참피(CHAMPI)는 10월 14일 오전 3시에 중심기압 1000hPa, 최대풍속 18m/s, 강풍 반경 330km, 크기 '중형'의 열대폭풍으로 미국 괌 동쪽 약 1,450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기준) 발생 이후 서북서~북서진하면서 급발달하였고, 10월 19일 오전 3시에 미국 괌 북북서쪽 약 89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40hPa, 최대풍속 46m/s, 강풍 반경 390km(남쪽 반경)의 세력 '매우 강', 크기 '중형'(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속보치 기준)의 태풍으로 최성기를 맞이하였다. 최성기 이후 거의 정체 및 전향하면서 중심기압 940hPa, 최대풍속 44m/s(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기준)까지 재발달했다가 북동진하며 온대저기압화가 진행되며 서서히 약화되었고, 한국 기상청 기준으로는 10월 25일 오후 3시에 일본 센다이 동남동쪽 약 1,97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90hPa의 온대저기압으로 변질되었다. 일본 기상청 기준으로는 10월 25일 오후 9시에 일본 센다이 동쪽 약 2,36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80hPa의 온대저기압으로 변질되었다. 참피는 라오스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꽃의 한 종류를 의미한다.




제26호 태풍 인파














중형의 매우 강한 태풍 (KMA)

매우 강한 태풍 (JMA)

4등급 태풍 (SSHS)

위성 화상이동 경로

활동 기간
11월 17일 ㅡ ~ 11월 26일

최저 기압
935hPa

최대 풍속
(10분 평균)

KMA
49m/s

JMA
50m/s (95kt)

태풍 사망자
-

2015년 제26호 태풍 인파(IN-FA)는 11월 17일 오후 9시에 중심기압 1002hPa, 최대풍속 18m/s, 강풍 반경 110km, 크기 '소형'의 열대폭풍으로 미국 괌 동남동쪽 약 1,910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기준) 발생 이후 서~서북서진하면서 서서히 발달하였고, 11월 21일 오전 9시에 미국 괌 남서쪽 약 33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35hPa, 최대풍속 49m/s, 강풍 반경 330km(북동쪽 반경)의 세력 '매우 강', 크기 '중형'(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속보치 기준)의 태풍으로 최성기를 맞이하였다. 최성기 이후 서서히 약화되면서 전향 및 온대저기압화가 진행되었고, 11월 26일 오전 9시에 일본 오키나와 동남동쪽 약 1,16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1004hPa의 온대저기압으로 변질되었다.(한국 기상청 태풍정보 기준으로는 중심기압 1002hPa) 인파는 마카오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불꽃놀이를 의미한다.




제27호 태풍 멜로르














소형의 매우 강한 태풍 (KMA)

매우 강한 태풍 (JMA)

4등급 태풍 (SSHS)

위성 화상이동 경로

활동 기간
12월 11일 ~ 12월 17일

최저 기압
935hPa

최대 풍속
(10분 평균)

KMA
49m/s

JMA
50m/s (95kt)

태풍 사망자
51명

2015년 제27호 태풍 멜로르(MELOR)는 12월 11일 오후 3시에 중심기압 1002hPa, 최대풍속 18m/s, 강풍 반경 110km, 크기 '소형'의 열대폭풍으로 미국 괌 서남서쪽 약 880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기준) 발생 이후 서~서북서진하면서 서서히 발달하다가 필리핀 상륙을 앞두고 급발달하였고, 12월 14일 오전 9시에 필리핀 마닐라 동남동쪽 약 58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35hPa, 최대풍속 49m/s, 강풍 반경 280km(북동쪽 반경)의 세력 '매우 강', 크기 '소형'(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속보치 기준)의 태풍으로 최성기를 맞이하였다. 최성기 세력으로 필리핀 상륙 및 관통 뒤 남중국해에 진출하며 급약화되었고, 12월 17일 오전 9시에 필리핀 마닐라 남남서쪽 약 37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1004hPa의 열대저압부로 소멸하였다.(한국 기상청 태풍정보 기준으로는 중심기압 1000hPa) 멜로르는 말레이시아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자스민 꽃을 의미한다.




같이 보기


  • 2014~2015년 오스트레일리아 근해 사이클론

  • 2014~2015년 남태평양 사이클론

  • 2015년 동태평양 허리케인


외부 링크


  • 국가태풍센터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2015년_태풍&oldid=24060928"










둘러보기 메뉴


























(window.RLQ=window.RLQ||[]).push(function()mw.config.set("wgPageParseReport":"limitreport":"cputime":"0.384","walltime":"0.411","ppvisitednodes":"value":12011,"limit":1000000,"ppgeneratednodes":"value":0,"limit":1500000,"postexpandincludesize":"value":97584,"limit":2097152,"templateargumentsize":"value":23277,"limit":2097152,"expansiondepth":"value":11,"limit":40,"expensivefunctioncount":"value":0,"limit":500,"unstrip-depth":"value":0,"limit":20,"unstrip-size":"value":0,"limit":5000000,"entityaccesscount":"value":0,"limit":400,"timingprofile":["100.00% 169.926 1 -total"," 66.47% 112.944 27 틀:태풍_정보_(소)"," 17.71% 30.086 8 틀:본문"," 11.56% 19.637 1 틀:연도별_태풍_목록"," 4.12% 7.002 1 틀:태풍의_구분_(단순)"," 3.55% 6.029 11 틀:폭풍_색"," 2.26% 3.846 1 틀:사피어-심프슨_허리케인_등급_(단순)"," 1.30% 2.201 29 틀:-"," 1.10% 1.861 2 틀:!!"],"scribunto":"limitreport-timeusage":"value":"0.013","limit":"10.000","limitreport-memusage":"value":997887,"limit":52428800,"cachereport":"origin":"mw1313","timestamp":"20190418204230","ttl":2592000,"transientcontent":false);mw.config.set("wgBackendResponseTime":129,"wgHostname":"mw1243"););

Popular posts from this blog

Kamusi Yaliyomo Aina za kamusi | Muundo wa kamusi | Faida za kamusi | Dhima ya picha katika kamusi | Marejeo | Tazama pia | Viungo vya nje | UrambazajiKuhusu kamusiGo-SwahiliWiki-KamusiKamusi ya Kiswahili na Kiingerezakuihariri na kuongeza habari

Swift 4 - func physicsWorld not invoked on collision? The Next CEO of Stack OverflowHow to call Objective-C code from Swift#ifdef replacement in the Swift language@selector() in Swift?#pragma mark in Swift?Swift for loop: for index, element in array?dispatch_after - GCD in Swift?Swift Beta performance: sorting arraysSplit a String into an array in Swift?The use of Swift 3 @objc inference in Swift 4 mode is deprecated?How to optimize UITableViewCell, because my UITableView lags

Access current req object everywhere in Node.js ExpressWhy are global variables considered bad practice? (node.js)Using req & res across functionsHow do I get the path to the current script with Node.js?What is Node.js' Connect, Express and “middleware”?Node.js w/ express error handling in callbackHow to access the GET parameters after “?” in Express?Modify Node.js req object parametersAccess “app” variable inside of ExpressJS/ConnectJS middleware?Node.js Express app - request objectAngular Http Module considered middleware?Session variables in ExpressJSAdd properties to the req object in expressjs with Typescrip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