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포시 목차 역사 지리 행정 구역 인구 산업 문화·관광 교육 기관 교통 스포츠 출신 인물 자매 도시 각주 외부 링크 둘러보기 메뉴북위 37° 42′ 0″ 동경 126° 36′ 0″ / 북위 37.70000° 동경 126.60000° / 37.70000; 126.60000김포1, 2동 명칭을 ‘김포본동, 장기본동’으로 변경주민등록 인구통계김포시 통계연보경기도 시군단위 지역내총생산(GRDP)경기도 사업체조사경기도 기본통계 및 2010 인구주택 총조사김포시김포 시청 (공식)eheh
고양시과천시광명시광주시구리시군포시김포시남양주시동두천시부천시성남시수원시시흥시안산시안성시안양시양주시여주시오산시용인시의왕시의정부시이천시파주시평택시포천시하남시화성시
김포시경기도의 도시1998년 설치
대한민국경기도시한강수원시한강고양시파주시강화군서울특별시강서구인천광역시계양구서구한강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황해북도개풍군사우동경기도한강인천 서구검단시생대중생대혈암사암2017년동 지역2016년 총선장기본동장기동구래동운양동풍무동2010년광해군조선 인조원종인헌왕후8월 27일임진왜란조헌제2해병사단올림픽대로서울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국도 제39호선제48호선1970년강화강화대교강화군김포한강로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인천국제공항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인천광역시김포 도시철도2006년11월 24일안산시안산시
김포시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좌표: 북위 37° 42′ 0″ 동경 126° 36′ 0″ / 북위 37.70000° 동경 126.60000° / 37.70000; 126.60000
김포시(金浦市,Gimpo)의 위치 | ||
현황 | ||
---|---|---|
국가 | 대한민국 | |
면적 | 276.65 km2 | |
세대 | 163,052 가구 (2018.9.30.) | |
총인구 | 427,776 명 (2019.2.28.) | |
인구밀도 | 1,546 명/km2 | |
읍 | 3개 | |
면 | 3개 | |
행정동 | 7개 | |
법정동 | 9개 | |
시장 | 정하영(더불어민주당) | |
국회의원 | 갑 : 김두관(더불어민주당) 을 : 홍철호(자유한국당) | |
시청 | ||
소재지 | 경기도 김포시 사우중로 1 | |
홈페이지 | http://www.gimpo.go.kr/ | |
상징 | ||
시목 | 느티나무 | |
시화 | 개나리 | |
시조 | 까치 |
김포시(金浦市)는 대한민국 경기도 중서부[1]에 위치하고 있는 시이다. 한강의 퇴적으로 충적토가 쌓여 농경에 적합한 김포평야를 이룬다. 한강이남 경기도를 관할하는 경기도 본청(수원시 소재) 관할지 중 월경지이다.
동쪽으로 한강을 경계로 고양시, 파주시, 서쪽으로 강화군, 남쪽으로 서울특별시 강서구, 인천광역시 계양구, 서구와 인접하고, 북쪽으로는 한강을 사이에 두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황해북도 개풍군과 경계를 이룬다. 시청은 사우동에 있고, 행정 구역은 3읍 3면 7행정동이다.
목차
1 역사
2 지리
3 행정 구역
4 인구
5 산업
5.1 지역 내 총생산
5.2 산업별 종사자 현황
5.3 상주인구와 유동인구
5.4 관내 어항
6 문화·관광
6.1 문화재
6.2 박물관·기념관·갤러리
6.3 기타
7 교육 기관
8 교통
8.1 철도
8.2 버스
8.3 도로
8.4 항공
9 스포츠
10 출신 인물
11 자매 도시
12 각주
13 외부 링크
역사
1998년 이전의 역사에 대해서는 김포군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914년 4월 1일 : 김포군(김포시내, 고촌읍, 인천 서구 검단동), 통진군(양촌읍 등 북부 5개 읍·면, 구래동), 양천군(서울특별시 양천구·강서구)이 김포군으로 통합되었다.
1963년 1월 1일 : 옛 양천군 일원(양동면·양서면)이 서울특별시에 편입되었다.
1995년 3월 1일 : 검단면이 인천광역시에 편입되었다.
1998년 4월 1일 : 김포군이 김포시로 승격하였다.[2]김포읍을 폐지하고, 김포1동, 김포2동, 김포3동을 설치하였다.[3](6면 3행정동)
2003년 9월 1일 : 김포3동이 사우동과 풍무동으로 분동하였다.(6면 4행정동)
2004년 1월 1일 : 통진면이 통진읍으로 승격하였다.[4](1읍 5면 4행정동)
2009년 9월 1일 : 고촌면이 고촌읍으로 승격하고, 양촌면 구래리 일부와 마산리가 김포2동에 편입되었다.[5](2읍 4면 4행정동)
2011년 11월 14일 : 양촌면이 양촌읍으로 승격하였다.[6](3읍 3면 4행정동)
2012년 9월 24일 : 장기동(법정동: 장기동 동부, 감정동 일부)이 김포2동으로부터 분동하였다.(3읍 3면 5행정동)
2013년 6월 : 김포시의 주민등록 인구가 30만 명을 돌파하였다.
2013년 10월 28일 : 구래동(법정동: 구래동, 마산동)이 김포2동으로부터 분동하였다.(3읍 3면 6행정동)
2015년 2월 2일 : 운양동이 김포2동으로부터 분동하였다.(3읍 3면 7행정동)
2017년 4월 18일 : 김포1동이 김포본동으로, 김포2동이 장기본동으로 각각 동명을 변경하였다.[7]
2018년 4월 : 김포시의 주민등록 인구가 40만 명을 돌파하였다.
지리
김포시는 경기도의 서쪽 한강 하구에 위치하고 있으며, 김포시와 인천 서구 검단 일대를 김포반도라고 부른다. 문수산·가현산·장릉산 등의 낮은 산이 약간 있을 뿐인 준평원화한 지역으로서 한강에 의한 퇴적으로 이루어져 농경지로 가장 적합한 평야지대를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소구릉군의 기복이 약간 있으나 넓은 평야를 이루고 있는 이곳을 김포평야라고 한다. 지질은 시생대의 화강편마암과 중생대 대동계(大同系)의 혈암·사암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행정 구역
김포시의 행정 구역은 3읍 3면 7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김포시의 면적은 276.65 km²이며, 인구는 2017년 12월 말 주민등록을 기준으로 392,092 명, 152,052 가구이다.[8] 시 전체인구 가운데 71.1%가 동 지역에 거주한다.[8] 1개였던 국회의원선거구가 2016년 총선부터 2개(갑: 김포본동·사우동·풍무동·장기동과 고촌읍, 을: 장기본동·구래동·운양동과 북부 5개 읍·면)로 분리되었다.
|
* 인구·세대는 2017년 12월 31일 기준
인구
2019년 4월 김포시의 주민등록 인구는 429,752 명이다. 신도시 지역인 장기본동, 장기동, 구래동, 운양동과 풍무동을 중심으로 인구가 점진적으로 늘고 있다.
2010년 기준으로 0~14세 인구는 19%, 65세 이상 인구는 11%이다. 생산연령층인 15~64세 인구는 70%로 전국평균 72.8%보다 비율이 낮고, 유소년인구부양비는 27%로 전국 평균인 22.8%보다 높고, 노년인구부양비는 13%로 전국 평균인 14.5%보다 낮다. 여자 인구 100명당 남자 인구를 나타내는 성비는 103로 남자가 다소 많다.[9]
김포시의 인구추이[10]
연도 | 총인구 | |
---|---|---|
1960년 | 110,320명 | |
1966년 | 84,990명 | |
1970년 | 76,379명 | |
1975년 | 91,768명 | |
1980년 | 96,876명 | |
1985년 | 110,976명 | |
1990년 | 114,583명 | |
1995년 | 107,684명 | |
2000년 | 150,194명 | |
2005년 | 195,776명 | |
2010년 | 217,280명 | |
2015년 | 349,990명 | |
2016년 | 363,443명 |
산업
지역 내 총생산
김포시의 2012년 지역 내 총생산은 16조 984억 원으로 경기도 지역 내 총생산의 2.2%를 차지하고 있다. 이중 농림어업(1차 산업)은 2485억 원으로 비중이 낮고 광업 및 제조업(2차 산업)은 10조 1630억 원으로 63.1%의 비중을 차지하고 상업 및 서비스업(3차 산업)은 5조 6869억 원으로 35.3%의 비중을 차지한다. 2차 산업 부분에서는 김포한강 신도시가 세워짐에 따라 도소매업(5.4%)과 건설업(4.7%), 부동산업 및 임대업(3.7%)과 전기, 가스, 증기 및 수도사업(3.0%)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11]
산업별 종사자 현황
2014년 김포시 산업의 총종사자 수는 129,440명으로 경기도 총종사자 수의 2.9%를 차지하고 있다. 이중 농림어업(1차 산업)은 93명으로 비중이 낮고 광업 및 제조업(2차 산업)은 62,946명으로 48.6%의 비중으로 차지하고 상업 및 서비스업(3차 산업)은 66,401명으로 51.3%의 비중을 차지한다. 2차 산업은 경기도 전체의 비중(27.1%)보다 높고 3차 산업은 경기도 전체 비중(72.9%)보다 낮다. 3차 산업 부문에서는 도소매업(12.1%), 숙박 및 음식점업(7.7%)과 교육서비스업(6.2%),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5.2%)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12]
상주인구와 유동인구
김포시의 2010년 기준 상주인구는 215,050명이고 주간인구는 227,159명으로 주간인구지수가 106으로 높다. 통근으로 인한 유입인구는 45,757명, 유출인구는 31,213명이고, 통학으로 인한 유입인구는 2,687명, 유출인구는 5,122명으로 전체적으로 유입인구가 12,109명 더 많은데, 이는 산업시설이 많이 이전해온 수도권 외곽지역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다.[13]
관내 어항
지방어항 : 대명항
어촌정주어항 : 고양항, 신안항
문화·관광
문화재
- 문수산성
월곶면 성동리에 있는 조선시대 산성이다. 1694년(숙종 20년)에 축성된 이 산성은 병인양요 때 프랑스군과 격전을 벌였던 곳이다. 그 주위에는 김포의 금강이라 불리는 문수산(376m)이 위치해 있다.
- 장릉
반정을 통해 광해군을 몰아내고 즉위한 조선 인조의 아버지인 원종과 그의 비 인헌왕후 구씨의 무덤이 있는 곳이다. 사적 제202호로 지정되어 있고, 소재지는 풍무동 산 141-1이다. 장릉산은 원래 북성산으로 불리다가 1627년 인조 5년 8월 27일 부친 정원군의 묘를 양주에서 이장하여 온 후부터 장릉이라고 불리게 되었다.
- 우저서원
성리학자이며 임진왜란 때 의병장이였던 조헌선생을 모시기 위해 지어진 서원이다. 감정동 소재.
- 덕포진
대곶면 신안리에 소재한 덕포진은 서해에서 강화만을 거쳐 서울로 진입하는 입구인 손돌항에 세워진 요새로 임진왜란 이후 선조때 만들어졌다.(사적 제292호) 조선 숙종 때까지는 월곶진이 주진이었으나, 그 후 덕포진이 주진으로 승격했다. 덕포진 인근에는 덕포진박물관이 있어 볼거리가 많다.[14]
박물관·기념관·갤러리
- 다도박물관
- 덕포진박물관
- 보름산미술관
- 옛날박물관
- 김포독립운동기념관
- 석정천문대
- 인삼쌀맥주갤러리
- 김포에코센터
- CICA 미술관
기타
- 대명항
대곶면 대명리에 소재한 대명항은 김포 유일의 지방 어항이다. 서울에서 가까운 만큼 관광객이 많이 찾는다. 대명항 바로 옆에는 김포함상공원이 있어 볼거리가 풍부하다.
- 애기봉
하성면 가금리에 위치해 있다. 제2해병사단에서 관리 하는 '애기봉(愛妓峯)'의 어원은 병자호란 때 끌려간 평양감사를 산봉우리 꼭대기에서 그리다 죽은 기생 애기의 한이 서려있다고 해서 붙여졌다. 애기봉은 북녘땅이 한눈에 보이기 때문에 많은 관광객들이 찾고 있다.
- 김포조각공원
월곶면 고막리에 있는 공원이다. 1998년에 16개의 조각 작품 설치와 함께 문을 열었고, 2001년에 추가로 14개의 조각 작품이 설치되었다.
교육 기관
- 사립대학교
|
|
- 사립전문대학
|
|
- 고등학교
|
(12개 고등학교) |
|
|
|
- 중학교
|
|
|
|
|
- 초등학교
|
|
|
|
|
교통
올림픽대로의 건설로 서울로의 접근이 용이하며,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와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 국도 제39호선, 제48호선이 김포시를 통과하며, 1970년에 김포와 강화를 잇는 강화대교가 개통되어 김포와 강화군을 오가는 데 더욱 편리하게 되었다.
김포 한강신도시와 개화 나들목을 연결하는 김포한강로를 비롯해 도로교통과 버스체계가 잘 갖추어져 있는 편이다.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를 통해 인천국제공항으로 바로 갈 수 있으며,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를 통해 인천광역시 중구,서구,송도 지역등으로 갈 수 있다.
철도
김포에는 철도가 없었으나, 2019년 7월 김포 도시철도가 개설되면 궤도교통 수단이 갖추어질 예정이다.
버스
- 시내버스 : 김포시의 시내버스, 김포시의 마을버스
도로
- 고속도로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 김포 나들목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 : 김포공항 나들목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 : 검단양촌 나들목, 대곶 나들목, 서김포통진 나들목
- 국도 및 기타 도로
국도 : 국도 제39호선, 국도 제48호선
국가지원지방도 : 국가지원지방도 제56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78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84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98호선
지방도 : 지방도 제355호선, 지방도 제356호선, 지방도 제358호선- 자동차전용도로 : 김포한강로, 올림픽대로
항공
김포국제공항 : 현재 국내선과 일부 국제선만을 운항하고 있다. 다만 김포시가 아닌 서울특별시 강서구에 있다. 개장 당시에는 옛 김포군 영역이었다가 1963년 서울특별시로 편입된 곳이기 때문이다.
스포츠
프로 스포츠팀 중 유일하게 김포에 연고를 두었던 할렐루야 축구단이 2006년 11월 24일에 안산시와 연고지 계약을 맺은 뒤 안산시로 연고지 이전을 하여 현재 김포시에 있는 프로 스포츠팀은 한 팀도 존재하지 않고 있다. 현재 김포 시민들은 대부분 서울, 인천 지역의 프로 스포츠 구단을 응원하고 있다.
출신 인물
분류:김포시 출신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자매 도시
중국
랴오닝 성 신민 시
산둥성 허쩌 시
미국- 리버티 군
- 글렌데일 시
대한민국
경상북도 상주시
전라남도 해남군
각주
↑ 한강이남으로 경기도 남부권에 속하면서 북한과 접경지대로 북부로 인식되기도 하지만 실질적으로 미수복 경기도와 경기도 전체적으로 보면 중서부로 보는 것이 맞다. 지정학적 위치로 보면 김포는 경기도 서쪽 중앙으로 봐야하며 따져보면 현재 김포시청의 위치는 경기도 (연천)북쪽끝과 (평택)남쪽끝의 중간지점이다.추후 분도시에는 가칭 경기남도 서북부로 자리 잡을 것이다.
↑ 법률 제5458호 경기도안성시등2개도농복합형태의시설치등에관한법률 (1997년 12월 17일)
↑ 김포시 조례 제150호 읍·면·동·리의명칭과관할구역에관한조례구 행정구역 신 행정구역 읍 법정리 행정동
법정동김포읍 북변리, 걸포리, 감정리 일부 김포1동 북변동, 걸포동, 감정동 일부 운양리, 장기리, 감정리 일부 김포2동 운양동, 장기동, 감정동 일부 사우리, 풍무리 김포3동 사우동, 풍무동
↑ 김포시 조례 제469호 시청및읍·면·동사무소소재지에관한조례 (2003년 12월 30일)
↑ 김포시 조례 제812호 읍·면·동·리의명칭과관할구역에관한조례 (2009년 7월 24일)
↑ 김포시 조례 제941호 읍ㆍ면ㆍ동ㆍ리의 명칭과 관할구역에 관한 조례 (2011년 10월 24일)
↑ 김포1, 2동 명칭을 ‘김포본동, 장기본동’으로 변경 서울신문, 2017.4.18.
↑ 가나 주민등록 인구통계 행정안전부, 2018년 2월 8일 확인.
↑ 김포시 통계연보, 2011년 통계연보 PDF자료
↑ 통계청, 인구주택총조사
↑ 경기도 시군단위 지역내총생산(GRDP) 통계청 국가통계포털
↑ 경기도 사업체조사 통계청 국가통계포털
↑ 경기도 기본통계 및 2010 인구주택 총조사 통계청 국가통계포털
↑ 2010년 통계연보
외부 링크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김포시 |
(한국어/영어/일본어/중국어) 김포 시청 (공식)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황해북도 개풍군 | 경기도 파주시 | |||
인천광역시 강화군 | 경기도 고양시 | |||
경기도 김포시 | ||||
인천광역시 계양구 인천광역시 서구 | 서울특별시 강서구 경기도 부천시 |
분류:
- 김포시
- 경기도의 도시
- 1998년 설치
(RLQ=window.RLQ||[]).push(function()mw.config.set("wgPageParseReport":"limitreport":"cputime":"0.472","walltime":"0.628","ppvisitednodes":"value":2575,"limit":1000000,"ppgeneratednodes":"value":0,"limit":1500000,"postexpandincludesize":"value":47015,"limit":2097152,"templateargumentsize":"value":8853,"limit":2097152,"expansiondepth":"value":10,"limit":40,"expensivefunctioncount":"value":0,"limit":500,"unstrip-depth":"value":0,"limit":20,"unstrip-size":"value":6297,"limit":5000000,"entityaccesscount":"value":1,"limit":400,"timingprofile":["100.00% 341.146 1 -total"," 18.08% 61.693 1 틀:좌표"," 10.86% 37.049 13 틀:막대"," 9.83% 33.540 1 틀:경기도"," 9.68% 33.015 2 틀:둘러보기_상자"," 9.15% 31.213 1 틀:위키공용분류"," 8.08% 27.557 1 틀:대한민국_시군구_정보"," 7.89% 26.927 1 틀:언어링크"," 7.72% 26.336 1 틀:각주"," 6.38% 21.768 8 틀:언어_이름"],"scribunto":"limitreport-timeusage":"value":"0.059","limit":"10.000","limitreport-memusage":"value":2024953,"limit":52428800,"cachereport":"origin":"mw1242","timestamp":"20190524080409","ttl":2592000,"transientcontent":false););"@context":"https://schema.org","@type":"Article","name":"uae40ud3ecuc2dc","url":"https://ko.wikipedia.org/wiki/%EA%B9%80%ED%8F%AC%EC%8B%9C","sameAs":"http://www.wikidata.org/entity/Q42080","mainEntity":"http://www.wikidata.org/entity/Q42080","author":"@type":"Organization","name":"uc704ud0a4ubbf8ub514uc5b4 ud504ub85cuc81dud2b8 uae30uc5ecuc790","publisher":"@type":"Organization","name":"Wikimedia Foundation, Inc.","logo":"@type":"ImageObject","url":"https://www.wikimedia.org/static/images/wmf-hor-googpub.png","datePublished":"2004-11-15T00:42:51Z","dateModified":"2019-05-22T10:19:08Z","image":"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e/e3/Gimpo_Gyeonggi_South_Korea.svg","headline":"ub300ud55cubbfcuad6duc758 uacbduae30ub3c4 ub3c4uc2dc"(RLQ=window.RLQ||[]).push(function()mw.config.set("wgBackendResponseTime":112,"wgHostname":"mw12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