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아스퍼거 증후군 목차 개요 분류 특징 진단 관련 서적 관련 항목 각주 외부 링크 둘러보기 메뉴F84.5312680015496086381703029110.1016/j.admecli.2006.06.01016596080“Few people mourn Asperger syndrome’s loss from diagnostic manuals”1856347410.1007/s00787-008-0701-0“Autism and Asperger syndrome: an overview”16791390“Asperger syndrome fact sheet”1101474910.1017/S0954579400003126〈F84.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s〉“Broader autism phenotype: evidence from a family history study of multiple-incidence autism families”90162661114434610.1016/S0896-6273(00)00115-X1832763610.1007/s10803-008-0541-21663910710.1097/01.yco.0000179486.47144.61“The classification of autism, Asperger's syndrome, and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11086556〈Diagnostic criteria for 299.80 Asperger's Disorder (AD)〉“Autism and Asperger syndrome: an overview”167913901703029110.1016/j.admecli.2006.06.010“Outcome research in Asperger syndrome and autism”125123981590940110.1007/s10803-004-1992-8115304491505630010.1111/j.1469-7610.2004.00262.x1631342610.1111/j.1469-7610.2005.01431.x829452210.1111/j.1469-7610.1993.tb02094.x1581681310.1111/j.1365-2788.2005.00642.x1498133610.1159/0000764121675538510.1007/s10803-006-0096-z1708026910.1007/s10803-006-0287-7“Self-referential cognition and empathy in autism”1784901210.1371/journal.pone.00008831450829810.1097/00008480-200310000-000081579611910.1007/s10803-004-1028-4“Screening adults for Asperger Syndrome using the AQ: a preliminary study of its diagnostic validity in clinical practice”1611947410.1007/s10803-005-3300-7원본 문서2766209267098110.1111/j.1469-7610.1989.tb00275.x“Diagnosis and differential diagnosis of Asperger syndrome”10.1192/apt.7.4.310“The challenge of adolescents and adults with Asperger syndrome”1251240310.1016/S1056-4993(02)00053-6이보연 아동 가족상담 센터의 아스퍼거 증후군Wired.com의 관련 기사아스퍼거 증후군sh910013534296005-813643314600954626

아스퍼거 증후군증후군자폐성 장애지능정신 질환유전병교육심리학소아기 및 청소년기에 주로 발병하는 기타 행동 및 정서장애


발달장애상동증자폐 스펙트럼인지발달자폐 스펙트럼 장애ICD-10DSM-4-TRDSM-5ICD-11자폐 스펙트럼2022년한스 아스페르거1944년지능자폐증자폐증ICD-10DSM-IV고기능 자폐증유전행동요법차이라는 쪽자폐 스펙트럼 장애전반적 발달 장애마음의 작용과 의식 상태에 관한 발달 장애표현형사회에 관계된 결핍형질자폐증인지발달레트 증후군소아기 붕괴성 장애고기능 자폐증운율억양서번트 증후군고기능 자폐증서번트 증후군고기능 자폐친구감정공룡카메라사진초등학교역사천문학교통은유성조억양운율리듬그림공감각한스 아스페르거자전거밤수면장애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조현병강박 장애우울증투렛 증후군양극성기분장애













아스퍼거 증후군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Entete médecine.png

아스퍼거 증후군


아스퍼거 증후군을 가진 사람들은 스태킹 캔에 대한 이 소년의 관심과 같이 종종 제한되거나 전문적인 관심사를 표시합니다.
아스퍼거 증후군을 가진 사람들은 스태킹 캔에 대한 이 소년의 관심과 같이 종종 제한되거나 전문적인 관심사를 표시합니다.

ICD-10

F84.5

ICD-9
299.80

질병DB

31268

MeSH
Asperger+syndrome

MedlinePlus

001549

OMIM

608638

아스퍼거 증후군(영어: Asperger syndrome) 혹은 아스페르거 증후군(독일어: Asperger-Syndrom)은 발달장애의 일종으로, 사회 관계나 화학 현상과 관련된 상호작용에 어려움을 겪고 관심사와 활동에 상동증이 나타나는 증상을 가진 사람들을 일컫던 말이다. 다른 자폐 스펙트럼과는 달리 전체에 걸쳐 언어 지체나 인지발달 지연은 발생하지 않으며, 표준 진단 기준에는 포함되어 있지 않으나 서투른 동작과 특이한 언어사용으로 특징지어지던[1][2]이 증후군은 자폐 스펙트럼 장애(ASD)의 한 종류로 여겨지며 ICD-10과 DSM-4-TR까지 별도의 진단명으로 구분되었으나, DSM-5과 ICD-11 개정과 함께 자폐 스펙트럼의 한 부분인 것으로 여겨지며 2022년부터 완전히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된다[3]. 이 글에서는 아스퍼거 증후군이 있는 사람을 아스퍼거인으로 줄여 부르기로 한다.




목차





  • 1 개요


  • 2 분류


  • 3 특징

    • 3.1 사회에 관계된 상호작용


    • 3.2 제한적이거나 반복된 행동과 관심사


    • 3.3 언어 사용


    • 3.4 기타



  • 4 진단


  • 5 관련 서적

    • 5.1 전문가가 저술한 서적


    • 5.2 아스퍼거 증후군 당사자의 부모가 저술한 서적


    • 5.3 아스퍼거인이 직접 저술한 서적


    • 5.4 기타 아스퍼거 증후군과 관련된 언급이 있는 서적



  • 6 관련 항목


  • 7 각주


  • 8 외부 링크




개요


증후군 이름은 이것을 발견한 한스 아스페르거 이름을 땄다. 그는 1944년 지능이 정상 수준이었으나 비언어성 의사소통 능력이 결핍되고 또래 아이들과의 공감을 표현하지 않으며, 사람의 몸에 관해 서투른 아이들을 연구한 결과를 보고했다. 아스페르거가 보통 자폐증과 다른 성향, 일부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전체에 걸치는 지능이 있고 언어와 의사소통 면에 차이가 없는 부류를 대상으로 한 보고서를 작성한 뒤에도 아스퍼거 증후군은 자폐증과 같게 취급되었다. 그러고서 50년 후, 아스퍼거 증후군은 ICD-10에 수록되었고 DSM-IV에도 "아스퍼거 장애"(Asperger's Disorder)라는 이름으로 실렸으나 아스퍼거 증후군을 대상으로 한 많은 부분이 여전히 의문으로 남아 있다.[4] 예로서 아스퍼거 증후군과 고기능 자폐증의 차이가 없다는 주장이 아직 이어지고[5] 이러한 이유로 아스퍼거인의 수도 명확히 밝혀지지 않는다. 증후군의 원인은 잘 알 수 없는 상황이지만, 연구된 결과를 보면 유전성을 띤 요인이 있는 듯하고 뇌영상 기술로써 뇌의 특정부에서 일반인과의 구조나 기능상 차이가 발견되기도 했다.


아스퍼거 증후군을 확실히 치료하는 방법은 없고 증상을 완화하게 하고자 사용하는 방법의 유효성에도 충분한 근거가 없다. 일부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전체에 걸쳐 시도되는 방법은 행동요법으로서 의사소통 문제나 반복 행동 문제나 신체 제어 문제 개선을 목적한다. 증후군이 있는 사람 대부분은 이것이 있는 채로 세상에 적응하는 법을 학습하지만, 계속 살고자 다른 사람들의 정서에 관계된 지원을 필요로 하기도 한다.[6] 연구자들과 아스퍼거인들의 노력으로, 아스퍼거 증후군을 대상으로 한 인식은 치료되어야 할 문제점이라는 쪽에서 장애가 아닌 차이라는 쪽으로 변화하였다.[7]



분류


아스퍼거 증후군은 자폐 스펙트럼 장애(ASD)나 전반적 발달 장애라는 스펙트럼에 속하고 생활을 어떤 범위나 한계에 모두 끌어넣는 영향을 미치는 상태가 특별한 변동이나 탈이 없이 제대로이지 않은 사회에 관계된 상호작용과 의사소통과 제한되고 반복된 관심사와 행동이 특징으로 나타난다. 그 밖의 마음의 작용과 의식 상태에 관한 발달 장애처럼 ASD는 영유아기에 시작되어 호전되거나 악화하는 바가 없이 안정된 과정을 따라 진행하고 성장 과정에서 뇌에서 발생하는 변화로 말미암아 문제점이 추가로 발생한다.[8] 그러나 다른 사람과 의사소통은 가능하다는 점과 일반인과 같거나 일반인보다 높은 지능이 있는 사례가 있다. ASD는 포괄적 자폐표현형(broader autism phenotype, BAP)의 일부분인데, BAP에는 ASD 이외에도 일부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전체에 걸쳐 사회에 관계된 결핍과 같은, 다른 사람들과 하는 의사소통을 회피하고 자기 가운데에 파묻혀 주위에서 고립되는 형질이 있는 개인들이 해당된다.[9] 이러한 점은 때로 반사회성으로 분류되지만 반사회성과는 차이가 존재한다.


아스퍼거 증후군이 발생하는 정확한 원인은 알려진 바가 없다. 자폐증은 나머지 4개의 ASD 중에서 아스퍼거 증후군과 가장 비슷한 증상과 예상되는 원인이 있으나, 자폐증으로 진단받으려면 의사소통에 심각한 장애가 있어야 하고 인지발달의 지연도 필요하다. 레트 증후군과 소아기 붕괴성 장애는 자폐증과 공통점이 많지만 발생하는 원인은 다른 듯하다. 각 장애들 중 실제이고 세부까지 포함한 기준을 만족하게 하는 것이 없을 때는 달리 분류되지 않은 전체에 걸친 발달 장애[PDD-NOS]로 진단받는다.[10] 아스퍼거 증후군과 고기능 자폐증(정신지체가 발생하지 않는 자폐증) 사이의 관계가 얼마나 가까운지는 불분명하다.[5][11][12] 현재의 ASD 분류법은 질환의 실제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을지도 모른다고 추측된다.[13]



특징


아스퍼거 증후군은 하나의 증상이 아닌 여러 증상이 함께 나타나는 패턴으로써 인식되고 실제이고 세부까지 포함한 증상은 사회에 관계된 상호작용의 총체와 관련된 손상, 정형적이고 제한된 활동과 관심사와 임상적으로 유의미한 정도로 인지발달과 언어발달이 지연되지 않는다는 점 등이다.[14] 제한된 주제에 격렬히 몰두, 상대의 반응을 신경쓰지 않고 떠들기, 운율과 억양의 결핍이나 서투른 동작 등도 일부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전체에 걸쳐 나타나지만, 진단을 목적한 필수요소는 아니다.[15]


일반인과 언어, 의사소통이 가능하다는 점에서는 서번트 증후군, 고기능 자폐증과 유사하다. 그러나 서번트 증후군이나 고기능 자폐와 비슷한 증상으로 보는 견해도 있으나 아스퍼거 증후군의 경우 취미나 성향이 같은 사람과는 잘 어울린다는 점, 눈맞춤 회피 등이 적은 점 등이 차이점으로 지적되기도 한다.



사회에 관계된 상호작용


아스퍼거 증후군 탓에 나타나는 큰 문제점 중 하나로 공감의 표현이 나타나지 않는다는 점을 들 수 있다.[2] 아스퍼거인들은 사회에 관계된 기본이 되는 상호작용에 곤란을 겪고 여기에는 친구를 사귀지 못하거나 자발하여 다른 사람들과 여흥을 즐기지 못하는 점, 감정 교환의 결핍, 눈 맞춤이나 표정, 자세, 손짓을 비롯한 비언어 의사소통 능력의 손상 등이 포함된다.[16]


자폐증과는 달리, 다른 사람들과의 접촉을 대체로 거부하지 않는 아스퍼거인은 서툴게라도 사람들에게 접근하려 하는데 예컨대 특이한 주제를 대상으로 해 듣는 사람의 느낌이나 반응을 신경 쓰지 않고 장황하게 이야기하는 식이다.[5] 이와 같이 사회에 관계된 작용에 부적절히 반응하여 이 사람들은 다른 사람의 감정을 무시한다는 느낌을 준다. 아스퍼거 어린이들은 이론적으로는 다른 사람들의 감정을 이해하고 제한된 상황 하에서의 사회에 관계된 규칙들을 명확히 말할 수 있지만,[1] 이런 지식을 실생활에서 일어나는 상황에 잘 적용시키지 못한다.[5] 아스퍼거인들은 사회에 관계된 상호작용을 관찰한 결과를 엄격한 규칙으로 정리하고 무례하거나 이상하게 보일 정도로 억지로 눈을 맞추는 등의 어색한 방법으로 규칙들을 적용한다. 이런 이유로, 어린 시절에는 친구를 사귀려고 노력했으나 그 시도가 지속으로 실패하면서 친구를 만들려는 관심이 사라지기도 한다.[1]


아스퍼거인들이 폭력이나 범죄 성향이 있다는 주장[17]에 대해 조사가 이루어졌으나, 그 결과 해당 주장의 근거를 찾을 수 없었다.[1] 오히려, 아스퍼거 어린이들은 대체로 학교 폭력의 가해자보다는 피해자인 것으로 나타났다.[18]



제한적이거나 반복된 행동과 관심사


아스퍼거 증후군의 눈에 가장 띄는 특징 중 하나로, 특정한 주제에 강하게 하는 관심이 있다.[1] 아스퍼거인들은 공룡이나 냄비 등의 제한된 주제에 많은 정보를 수집하기도 하는데 때로는 이것에 바탕이 되는 더 넓은 주제를 이해하지 못하는 때도 있다.[1][5] 예컨대 아스퍼거 어린이는 카메라의 모델 번호를 줄줄이 암기하면서도 사진술 자체에는 거의 무지할 수도 있다.[1] 이런 행동은 보통 초등학교에 입학할 무렵에 드러난다.[1] 보통 전철 역의 노선을 외우거나 버스 정류장을 외우는 등의 행동을 보인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관심사가 바뀌기도 하지만, 보통 그 주제는 사람 대부분이 관심하지 않는 특이한 것으로 유지된다. 어린 아이들이 공룡 등에 관심하는 것은 꽤 흔한 일이기에 이 증상은 한동안 인식되지 않을 수도 있다.[5] 때에 따라서는 그러한 성향이 성인기가 될 때까지 지속되기도 한다. 일반인이 하는 관심이나 역사나 천문학이나 교통수단 등의 영역에 관심하는 때에 따라서는 천재로 지적되기도 한다.


어떤 특정한 행동을 정형화하고 계속 반복하는 동작은 아스퍼거 증후군이나 기타 ASD의 진단에 핵심이다.[19] 여기에는 손을 흔들거나 꼬는 것과 함께, 몸 전체적인 복잡한 동작도 포함된다.[14] 이는 보통 틱보다 천천히 이루어지며, 덜 주기적이고, 덜 대칭적이다.[20]


어느 특정한 주제나 사물에 깊이 강하게 관심하고 자신이 관심한 그 주제나 대상에 듣는 사람의 느낌이나 다른 사람의 시선이나 반응에 신경을 쓰지 않고 이야기한다. 요점없이 장황하고 유식을 과시하는 용어를 자주 구사하면서 말이 많거나 화제를 갑작스럽게 바꾸기도 하며, 문자를 있는 그대로 이해하고 단어에 함축된 의미나 또다른 의도를 파악하지 못하는 등의 패턴을 보이므로 또래 친구나 성인이 된 뒤에는 다른 사람과 사귀는데 어려움이 있고 혼자 지내는 경향이 있으며, 다른 사람에게 어설픈 느낌이 들게끔 한다.



언어 사용


아스퍼거 어린이들은 언어 습득에 별다른 지연이 일어나지 않으며 성장한 뒤에도 회화에서 심각한 문제점을 보이지 않지만, 보통 그들의 언어 습득 및 사용에는 특이한 점이 여럿 나타난다.[5] 구체적으로는 장황하고 말이 많다거나, 갑작스럽게 대화의 주제를 바꾼다거나, 뉘앙스를 이해하지 못하고 문자 그대로 이해한다거나 자기 자신에게만 유의미한 은유를 사용한다거나 청각에 문제가 있다거나 유식을 과시하거나 형식에 경도되거나 특이한 화법, 목소리의 크기나 성조, 억양, 운율, 리듬이 일부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전체에 걸치지 않는 것이 있다.[1]


임상에서는 특히 조잡한 운율, 자주 옆길로 새는 화법 및 장황함이라는 3가지 의사소통적 특징이 주요 관심사이다. 자폐인 만큼은 아니지만, 아스퍼거인들은 억양을 자연스럽게 조절하지 못하여 단조로운 말투를 사용하게 된다. 또한 특이할 정도로 빠르거나, 갑작스럽거나, 시끄러운 말투를 사용하기도 한다. 아스퍼거인들은 대화할 때 듣는 이가 지겨워할 만한 주제에 대해 열심히 혼잣말을 하거나 문맥에 맞지 않게 말하거나 마음속의 생각을 별 생각 없이 내뱉는 등, 무슨 말하는지 종잡기 힘들다는 인상을 준다. 그 사람들은 듣는 사람이 대화 내용에 관심이 있는지 적절히 관찰하지 못하기도 한다. 그 사람들은 자신이 말하는 내용의 결론을 내지 않기도 하는데, 이럴 때 듣는 이가 대화의 내용을 바로잡으려 하거나 원래의 주제로 돌아가려는 노력해도 보통 성공하지 못한다.[5]


아스퍼거 어린이들은 어린 나이에 유식을 과시하는 상당히 어려운 단어들을 사용하여, "꼬마 교수님"이라고 불리기도 하나 그 어린이들은 비유하는 언어를 잘 이해하지 못하고 언어를 문자 그대로 의미로 해석하는 경향이 있다.[1] 아스퍼거인들은 유머나 풍자나 놀려대기처럼 언어를 문자 그대로 받아들이지 말아야 하는 영역에 잘 적응하지 못하는 듯하다. 아스퍼거인들은 보통 유머라는 것의 인지적 원리를 이해하기는 하지만, 추정하건대 유머의 의도를 이해하지 못해서 이것을 즐길 수 없는 때도 있다.[12] 일반인과의 의사소통이 가능한데도 농담과 장난을 그대로 받아들이지 못하여 감정의 갈등이 유발되기도 한다.



기타


진단 기준과는 무관하나 아래에서 나열할 아스퍼거인들의 특징은 본인과 가족에게 상당히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실제이고 세부까지 포함해서는 지각 능력의 특이성이나 운동 기술이나 수면이나 감정에 관련된 문제점이 있다.


아스퍼거인들은 시력이나 청력이 뛰어난 때가 잦다.[21] 많은 아스퍼거 어린이들은 대상이나 그림의 나열 패턴 등이 미세하게 변하는 것을 일반 어린이들보다 손쉽게 지각해낸다.[22] 아스퍼거인이나 자폐 스펙트럼 장애인들 스스로의 기술에서는, 그 밖에도 특이한 감각이나 지각 능력 및 경험 등이 나타난다. 그들은 소리, 빛, 접촉, 감촉, 맛, 냄새, 통증, 온도 및 그 밖의 자극에 대해 지나치게 민감하거나 또는 지나치게 둔감한 경우가 많다. 또한 그들에게는 냄새가 색상의 지각을 일으키는 등의 공감각이 나타날 수도 있다.[23] 이와 같은 감각반응은 아스퍼거 증후군이나 자폐 스펙트럼 장애에만 한정된 것이 아니며, 다른 발달장애에서도 일부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전체에 걸쳐 나타나는 현상이다. 자폐증이 투쟁 도주 반응의 발생을 증가하게 한다거나 습관화를 방해한다는 주장은 근거가 없고 오히려 감각 자극에 반응하는 성질이 감소한다는 증거 쪽이 더 많고 그 밖의 많은 연구 결과는 아무런 차이도 없음을 나타낸다.[24]


한스 아스페르거의 초기 보고[1] 및 그 밖의 진단 기준들[25]은 서투른 동작을 대상으로 한 묘사를 포함한다. 아스퍼거 어린이들은 자전거를 타는 것이나 뚜껑을 열듯이 복잡한 동작을 요하는 기술을 늦게 습득하는 경향이 있고 어색하게 움직이거나 "자기 몸에 익숙하지 않다."라고 느끼기도 하며, 몸이 보조가 잘 맞지 않아 이상하고 발걸음이나 자세가 불안정하거나 글씨를 잘 못 쓰고 시각과 행동을 잘 연결하지 못하는 등이다.[1][5] 운동신경 장애나 균형 잡기 실패, 앞꿈치 걸음, 무지 병치[finger-thumb apposition] 등 자기수용체에 문제를 보일 수도 있다. 행동 기술에 관계된 이런 문제점이 아스퍼거 증후군을 기타 고기능 자폐 스펙트럼 장애와 구분하게 한다는 증거는 없다.[1]


아스퍼거 어린이들은 밤에 잘 잠들지 못한다거나 밤중이나 이른 아침에 자주 깨어나는 등 수면장애가 있을 확률이 높다.[26][27] 또한 아스퍼거 증후군은 높은 수준의 감정표현 불능증과 연관이 있다.[28] 이와 같이 아스퍼거 증후군과 수면 장애 및 감정표현 불능증 사이에 상관관계가 있다는 것은 알려져 있으나, 이들 사이의 인과관계는 불확실하다.[27]


아스퍼거 증후군 환자의 가족력은 정확히 알려지지는 않았으나 아스퍼거 환자의 부모나 조부모 중 한 사람이 아스퍼거 증후군 환자인 것으로 알려졌다.



진단


아스퍼거 어린이의 부모들은 보통 아이의 특이성을 30개월 무렵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29] 일반 소아의가 실시할 수 있는 간단한 검진으로써 자세한 조사를 요하는 증상을 발견할 수 있다.[1][6] 아스퍼거 증후군의 검진에는 여러 검진 도구[6][25]가 사용되는데, 구체적으로는 아스퍼거 증후군 진단 척도(ASDS), 자폐 스펙트럼 검진 질문서(ASSQ), 소아기 아스퍼거 증후군 검사(CAST), 길리엄 아스퍼거 장애 척도(GADS), 크루그 아스퍼거 장애 지수(KADI),[30] 그리고 자폐 스펙트럼 지수(AQ)[31]가 있다. 이 중 어느 것도 아스퍼거 증후군과 그 밖의 ASD들을 신빙성 있게 구분해준다는 증거가 발견되지 않았다.[1]


표준 진단 기준은 사회에 관계된 상호작용의 장애와 반복되고 정형화한 행동과 활동과 관심사의 패턴과 언어·인지 발달 지연의 부재로 구성된다. 국제 표준[8]과는 달리, 미국에서 사용되는 기준은 매일의 활동에서 심각한 장애가 있을 것을 추가적으로 요구한다.[14] 그 밖에도 페테르 서트머리[32]나 길버그 부부[33]가 제안한 진단 기준이 있다.


진단은 보통 4세에서 11세 사이에 이루어진다.[1] 이는 다양한 전공 분야로 구성된 조직이 다양한 환경에서의 관찰과 함께, 신경학과 유전학에 기초한 평가, 인지 검사, 심리 운동 검사, 언어성·비언어성 강점과 약점, 학습 양식, 독립해서 살아갈 능력 등을 종합해 평가돼야 한다.[2][6][34][1] ASD를 대상으로 한 현재의 표준 진단 기준은 임상에 기초한 판단과 자폐증 진단 면접 개정판(ADI-R, 부모를 대상으로 한 체계 있는 면접이다)과 자폐증 진단 관찰 일정(ADOS, 아이와의 놀이 중심의 대화로 이루어진다)을 병용하는 것이다.[4] 진단이 늦어지거나 잘못된 진단을 내릴 경우 환자 개인과 가족에게 큰 손실이 될 수 있다. 예컨대 오진으로 처방받은 약 탓에 상태가 악화할 수도 있다.[34] 많은 아스퍼거 어린이들은 처음에는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로 오진받는다.[1] 표준이 되는 진단 기준이 어린이에 맞춰져 있고 아스퍼거 증후군의 증상은 나이에 따라 변하므로, 성인을 대상으로 한 진단은 더욱 어려워진다.[35] 감별 진단코자 고려해야 할 증상으로는 여타 ASD, 조현병 스펙트럼, ADHD, 강박 장애, 우울증, 의미 실용 장애, 비언어 학습 장애[34], 투렛 증후군[20], 상동증性 운동장애나 양극성기분장애[29] 등이 있다.



관련 서적



전문가가 저술한 서적


  • 아스퍼거 증후군 아이들 - 세상과 소통을 꿈꾸는 (토니 애트우드 저) ISBN 89-5820-059-6

  • 아스퍼거 증후군 (브렌다 스미스 마일스) ISBN 89-5891-341-X

  • 자폐증과 아스퍼거증후군 아동 - 치료자와 부모를 위한 지침서 (퍼트리샤 하울린) ISBN 89-90685-74-5

  • 고양이는 모두 아스퍼거 증후군이다 (캐시 후프먼) ISBN 978-89-89315-37-7


아스퍼거 증후군 당사자의 부모가 저술한 서적


  • 나의 라디오 아들 (바버라 러셀) ISBN 89-5596-174-X

  • 아스퍼거 증후군 아들을 키우며 (레이먼드 L. 반힐) ISBN 89-7821-229-8

  • 아스퍼거 패밀리가 사는 법 (크리스티 사카이) ISBN 9788993143300


아스퍼거인이 직접 저술한 서적


  • 고릴라 왕국에서 온 아이 (던 프린스-휴즈) ISBN 89-378-3115-5

  • 아스퍼거 증후군이 아닌 척하다 (리안 홀러데이 윌리) ISBN 9788968661822

  • 별종 괴짜 그리고 아스퍼거 증후군 (루크 잭슨) ISBN 978-89-93510-17-1

  • 나를 똑바로 봐 (존 엘더 로비슨) ISBN 9788988404829

  • 제가 좀 별나긴 합니다만 (쥘리 다셰[36]) ISBN 9791186921449


기타 아스퍼거 증후군과 관련된 언급이 있는 서적



  • 한밤중에 개에게 일어난 의문의 사건 (마크 헤이던) ISBN 1400032717


관련 항목


  • 자폐증

  • 서번트 증후군

  • 고기능 자폐증

  • 자폐권 운동

  • 신경다양성


각주




  1. McPartland J, Klin A (2006). “Asperger's syndrome”. 《Adolesc. Med. Clin.》 17 (3): 771–88. PMID 17030291. doi:10.1016/j.admecli.2006.06.010. 


  2. Baskin JH, Sperber M, Price BH (2006). “Asperger syndrome revisited”. 《Rev Neurol Dis》 3 (1): 1–7. PMID 16596080.  CS1 관리 - 여러 이름 (링크)


  3. Skuse, David (2018년 5월 9일). “Few people mourn Asperger syndrome’s loss from diagnostic manuals”. 《Spectrum.org》 (영어). 2019년 1월 29일에 확인함. 


  4. Woodbury-Smith MR, Volkmar FR (2008). “Asperger syndrome”. 《Eur Child Adolesc Psychiatry》. PMID 18563474. doi:10.1007/s00787-008-0701-0. 


  5. Klin A (2006). “Autism and Asperger syndrome: an overview”. 《Revista Brasileira de Psiquiatria》 28 (suppl. 1): S3–S11. PMID 16791390. 


  6. National Institute of Neurological Disorders and Stroke (NINDS) (2007년 7월 31일). “Asperger syndrome fact sheet”. 2007년 8월 24일에 확인함.  NIH Publication No. 05-5624.


  7. Baron-Cohen S (2000). “Is Asperger syndrome/high-functioning autism necessarily a disability?”. 《Dev Psychopathol》 12 (3): 489–500. PMID 11014749. doi:10.1017/S0954579400003126. 


  8.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6). 〈F84.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s〉. 《International Statistical Classification of Diseases and Related Health Problems》 10 (ICD-10)판. 2007년 6월 25일에 확인함. 


  9. Piven J, Palmer P, Jacobi D, Childress D, Arndt S (1997). “Broader autism phenotype: evidence from a family history study of multiple-incidence autism families” (PDF). 《Am J Psychiatry》 154 (2): 185–90. PMID 9016266.  CS1 관리 - 여러 이름 (링크)


  10. Lord C, Cook EH, Leventhal BL, Amaral DG (2000). “Autism spectrum disorders”. 《Neuron》 28 (2): 355–63. PMID 11144346. doi:10.1016/S0896-6273(00)00115-X.  CS1 관리 - 여러 이름 (링크)


  11. Witwer AN, Lecavalier L (2008). “Examining the validity of autism spectrum disorder subtypes”. 《J Autism Dev Disord》. PMID 18327636. doi:10.1007/s10803-008-0541-2. 


  12. Kasari C, Rotheram-Fuller E (2005). “Current trends in psychological research on children with high-functioning autism and Asperger disorder”. 《Curr Opin Psychiatry》 18 (5): 497–501. PMID 16639107. doi:10.1097/01.yco.0000179486.47144.61. 


  13. Szatmari P (2000). “The classification of autism, Asperger's syndrome, and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 《Can J Psychiatry》 45 (8): 731–38. PMID 11086556. 


  14.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00). 〈Diagnostic criteria for 299.80 Asperger's Disorder (AD)〉.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4, text revision (DSM-IV-TR)판. ISBN 0890420254. 2007년 6월 28일에 확인함. 


  15. Klin A (2006). “Autism and Asperger syndrome: an overview”. 《Rev Bras Psiquiatr》 28 (suppl 1): S3–S11. PMID 16791390. 


  16. McPartland J, Klin A (2006). “Asperger's syndrome”. 《Adolesc Med Clin17 (3): 771–88. PMID 17030291. doi:10.1016/j.admecli.2006.06.010. 


  17. 후쿠시마 아키라 (2008). 《아이를 죽이는 아이들》. New York: 산눈출판사. pp. 164, 165쪽. ISBN 978-89-959818-2-5.  CS1 관리 - 추가 문구 (링크)


  18. Tsatsanis KD (2003). “Outcome research in Asperger syndrome and autism”. 《Child Adolesc Psychiatr Clin N Am》 12 (1): 47–63. PMID 12512398. 


  19. South M, Ozonoff S, McMahon WM (2005). “Repetitive behavior profiles in Asperger syndrome and high-functioning autism”. 《J Autism Dev Disord》 35 (2): 145–58. PMID 15909401. doi:10.1007/s10803-004-1992-8.  CS1 관리 - 여러 이름 (링크)


  20. Rapin I (2001). “Autism spectrum disorders: relevance to Tourette syndrome”. 《Adv Neurol》 85: 89–101. PMID 11530449. 


  21. Frith U (2004). “Emanuel Miller lecture: confusions and controversies about Asperger syndrome”. 《J Child Psychol Psychiatry》 45 (4): 672–86. PMID 15056300. doi:10.1111/j.1469-7610.2004.00262.x. 


  22. Prior M, Ozonoff S (2007). 〈Psychological factors in autism〉. Volkmar FR. 《Autism and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s》 2판. Cambridge University Press. 69–128쪽. ISBN 0-521-54957-4.  CS1 관리 - 추가 문구 (링크)


  23. Bogdashina O (2003). 《Sensory Perceptional Issues in Autism and Asperger Syndrome: Different Sensory Experiences, Different Perceptual Worlds》. Jessica Kingsley. ISBN 1-843101-66-1. 


  24. Rogers SJ, Ozonoff S (2005). “Annotation: what do we know about sensory dysfunction in autism? A critical review of the empirical evidence”. 《J Child Psychol Psychiatry》 46 (12): 1255–68. PMID 16313426. doi:10.1111/j.1469-7610.2005.01431.x. 


  25. Ehlers S, Gillberg C (1993). “The epidemiology of Asperger's syndrome. A total population study”. 《J Child Psychol Psychiat》 34 (8): 1327–50. PMID 8294522. doi:10.1111/j.1469-7610.1993.tb02094.x. 


  26. Polimeni MA, Richdale AL, Francis AJ (2005). “A survey of sleep problems in autism, Asperger's disorder and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J Intellect Disabil Res》 49 (4): 260–8. PMID 15816813. doi:10.1111/j.1365-2788.2005.00642.x.  CS1 관리 - 여러 이름 (링크)


  27. Tani P, Lindberg N, Joukamaa M; 외. (2004). “Asperger syndrome, alexithymia and perception of sleep”. 《Neuropsychobiology》 49 (2): 64–70. PMID 14981336. doi:10.1159/000076412.  CS1 관리 - et al.의 직접적인 사용 (링크) CS1 관리 - 여러 이름 (링크)


  28. 감정표현 불능증과 아스퍼거 증후군의 관계:

    • Fitzgerald M, Bellgrove MA (2006). “The overlap between alexithymia and Asperger's syndrome”. 《J Autism Dev Disord》 36 (4): 573–6. PMID 16755385. doi:10.1007/s10803-006-0096-z. 


    • Hill E, Berthoz S (2006). “Response”. 《J Autism Dev Disord》 36 (8): 1143–5. PMID 17080269. doi:10.1007/s10803-006-0287-7. 


    • Lombardo MV, Barnes JL, Wheelwright SJ, Baron-Cohen S (2007). “Self-referential cognition and empathy in autism”. 《PLoS ONE》 2 (9): e883. PMID 17849012. doi:10.1371/journal.pone.0000883.  CS1 관리 - 여러 이름 (링크)




  29. Foster B, King BH (2003). “Asperger syndrome: to be or not to be?”. 《Curr Opin Pediatr》 15 (5): 491–4. PMID 14508298. doi:10.1097/00008480-200310000-00008. 


  30. Campbell JM (2005). “Diagnostic assessment of Asperger's disorder: a review of five third-party rating scales”. 《J Autism Dev Disord》 35 (1): 25–35. PMID 15796119. doi:10.1007/s10803-004-1028-4. 


  31. Woodbury-Smith MR, Robinson J, Wheelwright S, Baron-Cohen S (2005). “Screening adults for Asperger Syndrome using the AQ: a preliminary study of its diagnostic validity in clinical practice” (PDF). 《J Autism Dev Disord》 35 (3): 331–5. PMID 16119474. doi:10.1007/s10803-005-3300-7. 2008년 12월 17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12월 17일에 확인함.  CS1 관리 - 여러 이름 (링크)


  32. Szatmari P, Bremner R, Nagy J (1989). “Asperger's syndrome: a review of clinical features”. 《Can J Psychiatry》 34 (6): 554–60. PMID 2766209.  CS1 관리 - 여러 이름 (링크)


  33. Gillberg IC, Gillberg C (1989). “Asperger syndrome—some epidemiological considerations: a research note”. 《J Child Psychol Psychiatry》 30 (4): 631–8. PMID 2670981. doi:10.1111/j.1469-7610.1989.tb00275.x. 


  34. Fitzgerald M, Corvin A (2001). “Diagnosis and differential diagnosis of Asperger syndrome”. 《Adv Psychiatric Treat》 7 (4): 310–8. doi:10.1192/apt.7.4.310. 


  35. Tantam D (2003). “The challenge of adolescents and adults with Asperger syndrome”. 《Child Adolesc Psychiatr Clin N Am》 12 (1): 143–63. PMID 12512403. doi:10.1016/S1056-4993(02)00053-6. 


  36. 그림 부분은 비아스퍼거인이 담당했으며, 해당 인물은 글 부분이자 책의 이야기의 실제 주인공이다. 그래픽 노블이며 여성 아스퍼거인에 대한 이야기, 뒷부분 아주 조금이지만 아스퍼거와 퀴어 정체성에 대한 이야기가 있다.



외부 링크


  • 이보연 아동 가족상담 센터의 아스퍼거 증후군


  • (영어) Wired.com의 관련 기사


  • (영어) 아스퍼거 증후군 - Curlie (DMOZ 기반)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아스퍼거_증후군&oldid=24249128"










둘러보기 메뉴


























(RLQ=window.RLQ||[]).push(function()mw.config.set("wgPageParseReport":"limitreport":"cputime":"0.836","walltime":"1.218","ppvisitednodes":"value":5746,"limit":1000000,"ppgeneratednodes":"value":0,"limit":1500000,"postexpandincludesize":"value":97704,"limit":2097152,"templateargumentsize":"value":7100,"limit":2097152,"expansiondepth":"value":17,"limit":40,"expensivefunctioncount":"value":0,"limit":500,"unstrip-depth":"value":0,"limit":20,"unstrip-size":"value":56738,"limit":5000000,"entityaccesscount":"value":1,"limit":400,"timingprofile":["100.00% 1062.951 1 -total"," 41.87% 445.081 1 틀:각주"," 27.05% 287.505 30 틀:저널_인용"," 17.22% 183.081 14 틀:ISBN"," 14.77% 156.979 1 틀:전거_통제"," 8.21% 87.227 1 틀:좋은_글"," 7.85% 83.408 1 틀:상단_아이콘"," 6.77% 71.910 14 틀:Catalog_lookup_link"," 5.62% 59.729 1 틀:Category_handler"," 4.66% 49.531 1 틀:질병_정보"],"scribunto":"limitreport-timeusage":"value":"0.366","limit":"10.000","limitreport-memusage":"value":4527442,"limit":52428800,"cachereport":"origin":"mw1305","timestamp":"20190601214610","ttl":2592000,"transientcontent":false););"@context":"https://schema.org","@type":"Article","name":"uc544uc2a4ud37cuac70 uc99dud6c4uad70","url":"https://ko.wikipedia.org/wiki/%EC%95%84%EC%8A%A4%ED%8D%BC%EA%B1%B0_%EC%A6%9D%ED%9B%84%EA%B5%B0","sameAs":"http://www.wikidata.org/entity/Q161790","mainEntity":"http://www.wikidata.org/entity/Q161790","author":"@type":"Organization","name":"uc704ud0a4ubbf8ub514uc5b4 ud504ub85cuc81dud2b8 uae30uc5ecuc790","publisher":"@type":"Organization","name":"Wikimedia Foundation, Inc.","logo":"@type":"ImageObject","url":"https://www.wikimedia.org/static/images/wmf-hor-googpub.png","datePublished":"2006-10-20T09:19:38Z","dateModified":"2019-05-20T03:27:23Z","image":"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d/d1/Autism-stacking-cans_2nd_edit.jpg"(RLQ=window.RLQ||[]).push(function()mw.config.set("wgBackendResponseTime":156,"wgHostname":"mw1258"););

Popular posts from this blog

Kamusi Yaliyomo Aina za kamusi | Muundo wa kamusi | Faida za kamusi | Dhima ya picha katika kamusi | Marejeo | Tazama pia | Viungo vya nje | UrambazajiKuhusu kamusiGo-SwahiliWiki-KamusiKamusi ya Kiswahili na Kiingerezakuihariri na kuongeza habari

Swift 4 - func physicsWorld not invoked on collision? The Next CEO of Stack OverflowHow to call Objective-C code from Swift#ifdef replacement in the Swift language@selector() in Swift?#pragma mark in Swift?Swift for loop: for index, element in array?dispatch_after - GCD in Swift?Swift Beta performance: sorting arraysSplit a String into an array in Swift?The use of Swift 3 @objc inference in Swift 4 mode is deprecated?How to optimize UITableViewCell, because my UITableView lags

Access current req object everywhere in Node.js ExpressWhy are global variables considered bad practice? (node.js)Using req & res across functionsHow do I get the path to the current script with Node.js?What is Node.js' Connect, Express and “middleware”?Node.js w/ express error handling in callbackHow to access the GET parameters after “?” in Express?Modify Node.js req object parametersAccess “app” variable inside of ExpressJS/ConnectJS middleware?Node.js Express app - request objectAngular Http Module considered middleware?Session variables in ExpressJSAdd properties to the req object in expressjs with Typescrip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