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유류 목차 특징 하위 분류 국가별 포유류 계통 분류 같이 보기 각주 둘러보기 메뉴보충포유류분류《Mammal Species of the World: A Taxonomic and Geographic Reference》62265494“《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한국의 서식 포유류 목록”원본 문서“Retroposon analysis and recent geological data suggest near-simultaneous divergence of the three superorders of mammals”2009PNAS..106.5235N26552681928697010.1073/pnas.0809297106eheh16421MAMMC126133665135940151131017991340674e0d7b800-d17c-41c9-b73f-fb42d4e628cf1837D50D0066-A37D-4795-B5F8-3DDA029A4956sh850802594051253-8cb119324095(데이터)00563410

Multi tool use
포유류단궁강
척삭동물강뇌체온혈액 순환온혈동물생물 분류한국단공목유대하강
아프로테리아상목
빈치상목
진무맹장목
박쥐목
유린목
식육목
말목(기제류)
경우제목(우제류)
설치동물
영장동물
(function()var node=document.getElementById("mw-dismissablenotice-anonplace");if(node)node.outerHTML="u003Cdiv class="mw-dismissable-notice"u003Eu003Cdiv class="mw-dismissable-notice-close"u003E[u003Ca tabindex="0" role="button"u003E숨기기u003C/au003E]u003C/divu003Eu003Cdiv class="mw-dismissable-notice-body"u003Eu003Cdiv id="localNotice" lang="ko" dir="ltr"u003Eu003Cpu003Eu003Ca href="/wiki/%EC%9C%84%ED%82%A4%EB%B0%B1%EA%B3%BC:%EA%B3%BC%ED%95%99%EC%9D%98_%EB%8B%AC_%EC%97%90%EB%94%94%ED%84%B0%ED%86%A4" title="위키백과:과학의 달 에디터톤"u003E과학의 달 에디터톤u003C/au003E이 4월 30일까지 진행됩니다. 관련 u003Ca href="/wiki/%EC%9C%84%ED%82%A4%EB%B0%B1%EA%B3%BC:%EA%B3%BC%ED%95%99%EC%9D%98_%EB%8B%AC_%EC%97%90%EB%94%94%ED%84%B0%ED%86%A4#오프라인_모임" title="위키백과:과학의 달 에디터톤"u003E오프라인 모임u003C/au003E이 서울 정독도서관에서 4월 27일에 열립니다.nu003C/pu003Eu003C/divu003Eu003C/divu003Eu003C/divu003E";());
포유류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 ![]() | ||||||||||
![]() | ||||||||||
생물 분류 | ||||||||||
---|---|---|---|---|---|---|---|---|---|---|
| ||||||||||
아강 | ||||||||||
|
포유류(哺乳類) 또는 젖먹이 동물, 젖먹이 짐승은 척삭동물문의 한 강인 포유강(Mammalia)에 속하는 동물을 통틀어 부르는 말이다. 암컷에게는 새끼에게 양분을 공급할 젖을 만들어내는 유선이 있다. 대부분 몸에 털이 나 있고, 털이 변형된 비늘이나 가시가 있는 것들도 있다. 뇌에서 체온과 혈액 순환을 조절하는 온혈동물이다. 생물 분류 방법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29목 153과 1200속 약 5400종에 이르는 동물을 포함한다.[1]
목차
1 특징
2 하위 분류
3 국가별 포유류
3.1 대한민국
4 계통 분류
5 같이 보기
6 각주
특징
- 포유류의 가장 큰 특징은 젖샘이 있어서, 수유를 한다. 물론 다른 소수의 동물에게서도 젖샘과 비슷한 것은 있다.
- 알을 낳는 단공류를 제외한 모든 포유류는 태생이다. 이것을 기준으로 다시 나누어 태반이 없는 유대류와, 태반이 있는 유태반류로 다시 나눈다. 포유류 외에도 새끼를 낳는 동물이 몇 있다. 열대어 구피, 바닷물고기 망상어, 망치상어가 대표적이다. 그렇지만 이들은 뱃속에서 알을 부화시켜 새끼를 낳는 난태생이므로, 태생을 하는 포유류와는 다르다. 극소수의 동물 중 실러캔스, 진디등이 태생을 하는데, 이것은 매우 드문 예외이다.
- 모든 포유류가 온혈동물이기는 하지만 조류나 다랑어류도 마찬가지이므로, 이것만으로는 포유류의 정의로 적합하지 않다.
- 보통은 털로 덮여있으나 유린목은 털이 비늘로 변화하였고, 단공목의 한 종류인 가시두더지와 고슴도치목의 고슴도치는, 털이 가시로 변해 있다.
- 모든 포유류 - 영장류, 특히 인간-는 두뇌의 의존도가 크고 신체에 비해 커다란 두뇌를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같은 크기의 파충류와 비교할 때 포유류의 두뇌는 파충류의 약 네 배에 달한다.[2] 6500만년 전 소행성의 충돌로 공룡이 멸종한 뒤 포유류가 번성했을 때 초기 종들이 야행성이었던 탓에 시각만이 아니라 촉각, 후각, 청각 등의 감각으로 전해지는 정보를 처리하기 위해 더 큰 두뇌가 필요했다. 예를 들면 침팬지는 시각보다 청각적 정보를 통해 추론을 이끌어내는 데 더 능하다.[3]
하위 분류
사족상강 (Tetrapoda)에는 다음과 같은 동물이 있다.
양서강 (Amphibia)
석형강 (Sauropsida)
조강 (Aves)
단궁강 (Synapsida)
포유강 (Mammalia)
원수아강 (Prototheria)
단공목 (Monotremata)
수아강 (Theria)
후수하강 (Metatheria) /
유대하강 (Marsupialia)
반디쿠트목 (Peramelemorphia)
새도둑주머니쥐목 또는 빈구치목 (貧丘齒目, Paucituberculata)
주머니고양이목 (Dasyuromorphia)
주머니두더지목 (Notoryctemorphia)
주머니쥐목 또는 디델피형목 (Didelphimorphia)
칠로에오포삼목 (Microbiotheria)
캥거루목 또는 쌍전치목 (Diprotodontia)
진수하강 (Eutheria) /
태반하강 (Placentalia)
빈치상목(Xenarthra)
유모목 (Pilosa)
피갑목 (Cingulata)
아프로테리아상목 (Afrotheria)
관치목(Tubulidentata)
코끼리땃쥐목 (Macroscelidea)
바다소목 (Sirenia)
바위너구리목 (Hyracoidea)
아프리카땃쥐목 (Afrosoricida)
장비목 (Proboscidea)
로라시아상목 (Laurasiatheria)
진무맹장목 (Eulipotyphla)
기제목 (Perissodactyla)
박쥐목 (Chiroptera)
우제목/경우제목 (Artiodactyla)
식육목 (Carnivora)
유린목 (Pholidota)
영장상목 (Euarchontoglires)
나무두더지목 (Scandentia)
날원숭이목 (Dermoptera)
영장목 (Primates)
쥐목 (Rodentia)
토끼목 (Lagomorpha)
국가별 포유류
![]() |
대한민국

한국에 서식하는 포유류는 약 8목 80종이다 [4]
계통 분류
다음은 포유류 계통 분류이다.[5]
포유강 |
| ||||||||||||||||||||||||||||||||||||||||||||||||||||||||||||||||||
같이 보기
- 포유류의 목록
- 포유류의 과 목록
각주
![]()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자료와 분류가 있습니다. 포유류 (분류) |
![]() | 위키생물종에 관련된 분류 및 자료가 있습니다. 포유류 |
↑ Wilson, D.E.; Reeder, D.M., 편집. (2005). 《Mammal Species of the World: A Taxonomic and Geographic Reference》 (영어) 3판. 존스 홉킨스 대학교 출판사. ISBN 978-0-8018-8221-0. OCLC 62265494.
↑ 피터 왓슨, 《생각의 역사1》(들녘, 2009) 50쪽 ISBN 978-89-7527-836-5
↑ Steven Mithen, 《The prehistory of the Mind》(London: Thames & Hudson, 1996) 238쪽
↑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한국의 서식 포유류 목록”. 2007년 9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9월 4일에 확인함.
↑ Nishihara, H.; Maruyama, S.; Okada, N. (2009). “Retroposon analysis and recent geological data suggest near-simultaneous divergence of the three superorders of mammals”.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106 (13): 5235–5240. Bibcode:2009PNAS..106.5235N. PMC 2655268. PMID 19286970. doi:10.1073/pnas.0809297106.
분류:
- 포유류
- 단궁강
(window.RLQ=window.RLQ||[]).push(function()mw.config.set("wgPageParseReport":"limitreport":"cputime":"0.524","walltime":"0.825","ppvisitednodes":"value":2519,"limit":1000000,"ppgeneratednodes":"value":0,"limit":1500000,"postexpandincludesize":"value":175912,"limit":2097152,"templateargumentsize":"value":83685,"limit":2097152,"expansiondepth":"value":27,"limit":40,"expensivefunctioncount":"value":13,"limit":500,"unstrip-depth":"value":0,"limit":20,"unstrip-size":"value":5607,"limit":5000000,"entityaccesscount":"value":13,"limit":400,"timingprofile":["100.00% 659.987 1 -total"," 47.84% 315.762 1 틀:생물_분류_식별자"," 18.81% 124.134 1 틀:각주"," 11.07% 73.077 2 틀:둘러보기_상자"," 8.76% 57.837 12 틀:분지군"," 8.61% 56.851 1 틀:MSW3"," 8.06% 53.166 1 틀:서적_인용"," 7.05% 46.550 1 틀:척삭동물"," 6.93% 45.754 4 틀:둘러보기_상자/중첩"," 5.59% 36.886 1 틀:ISBN"],"scribunto":"limitreport-timeusage":"value":"0.251","limit":"10.000","limitreport-memusage":"value":4535948,"limit":52428800,"cachereport":"origin":"mw1242","timestamp":"20190415164818","ttl":2592000,"transientcontent":false);mw.config.set("wgBackendResponseTime":145,"wgHostname":"mw1321"););mj5gdRodElP,ee8sabL0,bRIylFdghBBJ8pw wbYGC8YI2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