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리그1 목차 역사 리그 구성 구단 경기장 역대 대회 결과 승격과 강등 관련 항목 참고 자료 외부 링크 둘러보기 메뉴공식 웹사이트“K리그 공식 명칭, 2013년부터 'K리그 클래식'”“위원석의 하프타임-K리그에 새로운 이름을 붙여주자”원본 문서“득실보다 다득점! K리그 순위 결정 방식 변경”“한국프로축구 최상위리그 1st DIVISION, K LEAGUE CLASSIC”K리그 웹사이트K리그 페이스북K리그 트위터K리그 유튜브 채널K리그 네이버 블로그K리그 네이버 오픈캐스트K리그 클래식 네이버 TV캐스트K리그 다음 tv팟K리그 아프리카 TVeheheheheh
강원 FC경남 FC대구 FC상주 상무FC 서울성남 FC수원 삼성 블루윙즈울산 현대인천 유나이티드전북 현대 모터스제주 유나이티드포항 스틸러스국민은행할렐루야한일은행상무전북 버팔로광주 상무고양 자이크로 FC충주 험멜안산 무궁화K리그 대상개인 수상최우수선수상영플레이어상득점상도움상베스트 11팬타스틱 플레이어감독상구단 수상K리그 드래프트K리그 자유선발K리그 자유계약선수제도K리그 올스타전K리그 주니어K리그 유스 챔피언십R리그공식 경기구1983198419851986198719881989199019911992199319941995199619971998199920002001200220032004200520062007200820092010201120122013201420152016201720182019KBLWKBL한국바둑리그V-리그아시아리그KBO 리그K리그1K리그2챔피언스 코리아리그 오브 레전드
K리그11983년 설립된 스포츠 리그아시아의 축구 1부 리그
1983년프로축구리그대한민국 축구 리그 시스템최상위 리그2013년승강제K리그2018년1983년2013 시즌승강제K리그 챌린지승강제2012 시즌2013 시즌스코틀랜드 프리미어리그상주국군체육부대광주 FCAFC 챔피언스리그K리그2K리그2성남종합운동장울산종합운동장한국프로축구연맹K리그성남 FCFC 서울전북 현대 모터스포항 스틸러스부산 아이파크수원 삼성 블루윙즈K리그아시아 축구 연맹K리그2K리그2K리그2K리그2
K리그1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K리그1 | |
---|---|
![]() | |
대륙 | AFC |
국가 | ![]() |
리그 등급 | 1 |
팀수 | 12 |
하위 리그 | K리그2 |
대륙 대회 | AFC 챔피언스리그 |
국내 대회 | FA컵 |
홈페이지 | 공식 웹사이트 |
역사 | |
설립 연도 | 1983년(1983) |
최근 우승 | 전북 현대 모터스 (2018) |
최다 우승 | 성남 FC (7회) |
![]() |
K리그1(K League 1)은 1983년에 출범한 프로축구 리그로서 대한민국 축구 리그 시스템에서 최상위 리그를 담당하고 있다. 2013년부터 승강제가 완전히 도입되면서, 기존 K리그에서 K리그 클래식으로 변경되었다가[1]2018년부터 현재의 명칭인 K리그1으로 리그명칭이 다시한번 변경되었다.
목차
1 역사
2 리그 구성
2.1 리그 방식
2.2 외국인 선수
3 구단
3.1 K리그1 잔류 시계
3.1.1 1983년~2002년: K리그1 20년
3.1.2 2003년~2022년: K리그1 40년
3.2 2019 시즌 참가 구단
4 경기장
5 역대 대회 결과
6 승격과 강등
7 관련 항목
8 참고 자료
9 외부 링크
역사
1983년 수퍼리그라는 명칭과 5개 구단으로 시작된 대한민국의 프로축구는 2013 시즌부터 본격적인 승강제를 갖추고 최상위 리그의 명칭을 K리그 클래식으로 변경하고 신설된 2부 리그를 K리그 챌린지로 명명하였다.[2]
승강제는 2012 시즌을 앞두고 본격적으로 논의되기 시작하였다. 프로축구연맹은 2013 시즌부터 본격적인 승강제를 실시하는 것을 목표로 테스크포스팀을 신설하고 외부 컨설팅 업체에 '한국형 승강제' 모델의 수립을 의뢰하였다. 오랜 논의 끝에 K리그 팀 개수를 12개 팀으로 축소하는 동시에 4팀을 가칭 프로 2부리그로 강등시켜 승강제를 진행하는 안이 급부상하였다. 결국 2012 시즌 K리그에 스코틀랜드 프리미어리그의 리그 진행 방식을 본뜬 스플릿 시스템을 도입하여 강등 팀 4팀을 결정하는 것으로 확정되는 듯 하였으나 시민구단들의 반발로 가칭 프로 2부 리그로 강등되는 K리그 팀의 숫자가 4팀에서 2팀으로 축소되었다. 강등팀은 리그 최하위팀과 1부 리그 구성 요건을 갖추지 못한 상주로 결정되었다. 하지만 상주와 국군체육부대가 이에 반발, 스플릿 이후 잔여 경기를 보이콧하면서 스플릿 14경기 모두 기권패 처리되었다. 추후 논란 끝에 상주는 2013년 2부리그 참가가 결정되었고 추후에 AFC가 요구한 구단라이센스 조건을 충족하면 K리그 클래식에도 승격할 수 있는 길을 열어놓았다. 그리고 2012 시즌 15위를 기록한 광주 FC가 강등되어 2013 시즌 2부 리그에서 뛰게 되었다.
2013 시즌에서는 리그 종료 후 최종 13위, 14위팀은 무조건 K리그 챌린지로 강등된다. 또한 2013 시즌 12위 팀은 K리그 챌린지 우승 팀과 경기를 치러 승강을 겨루게 된다. 그리고 2014년 시즌부터 1부리그 12팀이 정규 라운드를 진행하여, 이후에 1위부터 6위까지는 상위 조로 배정되고 7위부터 12위까지는 하위 조로 배정된다. 승점은 정규 라운드에서 획득한 승점 그대로 가지고 간다. 리그 종료 후 K리그 클래식 12위팀은 K리그 챌린지로 강등되고 K리그 챌린지 우승 팀은 K리그 클래식으로 승격된다. 그리고 K리그 클래식 11위팀은 K리그 챌린지 플레이오프 승자와 승강 플레이오프를 하여 승리한 팀은 K리그 클래식에서, 패배한 팀은 K리그 챌린지에서 다음 시즌을 치르게 된다.
2018년 1월 22일 리그명칭을 기존 K리그 클래식에서 K리그1으로 공식적으로 변경하였다.
리그 구성
리그 방식
2018년 현재 K리그 1에 12개 팀이 소속되어 있다. 리그 경기 수는 총 228경기이며, 먼저 정규 라운드인 33라운드를 치른 후, 추가적으로 5라운드를 치러 최종 순위를 가린다.
정규 라운드 순위 결정 기준
K리그는 전세계에서 유일하게 승점이 같은 경우 골득실보다 다득점을 우선시해서 순위를 정하는 특징이 있다.
정규 라운드 순위 결정 기준
- 승점
- 다득점[3]
- 득실차
- 다승
- 승자승
- 벌점
- 추첨
정규 라운드 종료 후 1위부터 6위까지는 상위 조, 7위부터 12위까지는 하위 조로 각각 배정된다. 정규 라운드에서 획득한 승점이 스플릿 라운드까지 계속 이어진다.
최종 순위 결정 기준
- 정규 라운드 순위 결정 기준을 따른다.
- 하위 조 팀이 상위 조 어느 팀보다 승점이 많을지라도 6위 안에 들 수는 없다.
최종 순위 1~3위는 AFC 챔피언스리그에 진출하게 된다.
만약 FA컵 우승 팀 또는 상주가 3위 안에 들면 해당 출전권은 차상위 팀에게 양도된다. 예를 들어, 최종 순위가 1위 전북, 2위 포항, 3위 대구, 4위 광주 순일 때, 전북이 이미 FA컵에서 우승했다면 4위 광주도 챔피언스리그에 진출하게 된다.
최종 순위 12위는 K리그2로 강등된다. 그리고 11위는 K리그2 플레이오프 승자와 승강 플레이오프를 치러, 플레이오프에서 승리한 팀은 K리그1, 패배한 팀은 K리그2에서 다음 시즌을 치르게 된다.
외국인 선수
현재 K리그1에서 외국인 선수 제한을 다음과 같이 두고 있다.
- 외국인 필드 플레이어는 최대 4명까지 등록할 수 있다. 단, 4명을 등록할 경우 최소한 그들 중 1명은 AFC 회원국 국적을 보유해야 한다.
- 외국인 골키퍼는 등록할 수 없다.
대한민국은 헌법상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국가로 인정하지 않기 때문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적의 선수는 자국 선수로 간주한다.
구단
K리그1 잔류 시계
당해 시즌 우승
당해 시즌 준우승
1983년~2002년: K리그1 20년
시즌 | 1983 | 1984 | 1985 | 1986 | 1987 | 1988 | 1989 | 1990 | 1991 | 1992 | 1993 | 1994 | 1995 | 1996 | 1997 | 1998 | 1999 | 2000 | 2001 | 2002 |
---|---|---|---|---|---|---|---|---|---|---|---|---|---|---|---|---|---|---|---|---|
구단 | ||||||||||||||||||||
부산 아이파크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제주 유나이티드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포항 스틸러스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FC 서울 |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울산 현대 | - | 1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
성남 FC | - | - | - | - | - |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전북 현대 모터스 | - | - | - | - | - | - | - | - | - | - | - | - | 1 | 2 | 3 | 4 | 5 | 6 | 7 | 8 |
전남 드래곤즈 | - | - | - | - | - | - | - | - | - | - | - | - | 1 | 2 | 3 | 4 | 5 | 6 | 7 | 8 |
수원 삼성 블루윙즈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 2 | 3 | 4 | 5 | 6 | 7 |
대전 시티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 2 | 3 | 4 | 5 | 6 |
상무 | - | - | 1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할렐루야 | 1 | 2 | 3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국민은행 | 1 | 2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한일은행 | - | 1 | 2 | 3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전북 버팔로 | - | - | - | - | - | - | - | - | - | - | - | 1 | - | - | - | - | - | - | - | - |
구단 | 1983 | 1984 | 1985 | 1986 | 1987 | 1988 | 1989 | 1990 | 1991 | 1992 | 1993 | 1994 | 1995 | 1996 | 1997 | 1998 | 1999 | 2000 | 2001 | 2002 |
시즌 |
2003년~2022년: K리그1 40년
시즌 | 2003 | 2004 | 2005 | 2006 | 2007 | 2008 | 2009 | 2010 | 2011 | 2012 | 2013 | 2014 |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2022 |
---|---|---|---|---|---|---|---|---|---|---|---|---|---|---|---|---|---|---|---|---|
구단 | ||||||||||||||||||||
제주 유나이티드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
포항 스틸러스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
FC 서울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
울산 현대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
부산 아이파크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KL2 | KL2 | KL2 | KL2 | |||
성남 FC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KL2 | KL2 | 29 | |||
전북 현대 모터스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
전남 드래곤즈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KL2 | |||
수원 삼성 블루윙즈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
대전 시티즌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KL2 | 18 | KL2 | KL2 | KL2 | KL2 | |||
인천 유나이티드 |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
대구 FC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KL2 | KL2 | KL2 | 12 | 13 | 14 | |||
경남 FC | - | - |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KL2 | KL2 | KL2 | 10 | 11 | |||
강원 FC | - | - | - | - | - | - | 1 | 2 | 3 | 4 | 5 | KL2 | KL2 | KL2 | 6 | 7 | 8 | |||
상주 상무 | - | - | - | - | - | - | - | - | 1 | 2 | KL2 | 3 | KL2 | 4 | 5 | 6 | 7 | |||
광주 FC | - | - | - | - | - | - | - | - | 1 | 2 | KL2 | KL2 | 3 | 4 | 5 | KL2 | KL2 | |||
수원 FC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 KL2 | KL2 | KL2 | |||
광주 상무 | 1 | 2 | 3 | 4 | 5 | 6 | 7 | 8 | - | - | - | - | - | - | - | - | - | - | - | - |
구단 | 2003 | 2004 | 2005 | 2006 | 2007 | 2008 | 2009 | 2010 | 2011 | 2012 | 2013 | 2014 |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2022 |
시즌 |
2019 시즌 참가 구단
구단 | 이전 순위 | 데뷔 시즌 | 총 시즌 | 연고지 | 홈구장 | 수용 좌석 | 감독 |
---|---|---|---|---|---|---|---|
FC 서울 | 011위 | 1984 | 35 | 서울 | 서울월드컵경기장 | 66,704 | ![]() |
강원 FC | 0 8위 | 2008 | 10 | 강원 | 춘천송암스포츠타운 | 20,000 | ![]() |
경남 FC | 0 2위 | 2006 | 9 | 경남 | 창원축구센터 | 15,116 | ![]() |
대구 FC | 0 7위 | 2002 | 15 | 대구 | DGB대구은행파크 | 12,000 | ![]() |
상주 상무 | 0 10위 | 2011 | 7 | 상주 | 상주시민운동장 | 15,042 | ![]() |
성남 FC ![]() | K리그2 2위 | 1988 | 1 | 성남 | 탄천종합운동장 | 성남종합운동장 | ![]() |
수원 삼성 블루윙즈 | 06위 | 1996 | 23 | 수원 | 수원월드컵경기장 | 43,959 | ![]() |
울산 현대 | 03위 | 1984 | 35 | 울산 | 울산문수축구경기장 | 울산종합경기장 | ![]() |
인천 유나이티드 | 09위 | 2004 | 15 | 인천 | 인천축구전용경기장 | 20,300 | ![]() |
전북 현대 모터스 | 01위 | 1995 | 25 | 전북 | 전주월드컵경기장 | 42,477 | ![]() |
제주 유나이티드 | 05위 | 1983 | 36 | 제주 | 제주월드컵경기장 | 29,791 제주 종합 경기장 | ![]() |
포항 스틸러스 | 04위 | 1983 | 36 | 포항 | 포항스틸야드 | 17,443 | ![]() |
경기장













강원 FC | 경남 FC | 대구 FC | 상주 상무 | FC 서울 | 성남 FC |
---|---|---|---|---|---|
춘천송암레포츠타운 | 창원축구센터 | DGB대구은행파크 | 상주시민운동장 | 서울월드컵경기장 | 탄천종합운동장, 성남종합운동장(임시홈구장) |
수용인원: 20,000명 | 수용인원: 15,116명 | 수용인원: 12,415명 | 수용인원: 15,042명 | 수용인원: 66,704명 | 수용인원: 16,146명 수용인원21,149명 |
![]() | ![]() | ![]() | |||
수원 삼성 블루윙즈 | 울산 현대 | 인천 유나이티드 | 전북 현대 모터스 | 제주 유나이티드 | 포항 스틸러스 |
수원월드컵경기장 | 울산문수축구경기장, 울산종합운동장(임시홈구장) | 인천축구전용경기장 | 전주월드컵경기장 | 제주월드컵경기장 | 포항스틸야드 |
수용인원: 43,959명 | 수용인원: 44,474명 수용인 원: 19,471명 | 수용인원: 20,300명 | 수용인원: 42,477명 | 수용인원: 29,791명 | 수용인원: 25,000명 |
![]() | ![]() | ![]() | ![]() |
역대 대회 결과

※ 한국프로축구연맹의 공식 통계 원칙에 의거하여 현재 K리그에 가입된 구단은 전신 구단의 역사와 기록을 승계하고 있다.[4]
K리그1에서 가장 많은 우승을 달성한 구단은 성남 FC로 총 7차례 정상에 등극했다. FC 서울과 전북 현대 모터스가 각각 6회 우승을, 포항 스틸러스가 5회 우승을 달성했으며, 부산 아이파크와 수원 삼성 블루윙즈가 각각 4차례씩 우승컵을 차지했다.
횟수 | 시즌 | 팀수 | 대회 방식 | 대회 명칭 | 우승 | 준우승 |
---|---|---|---|---|---|---|
1회 | 1983 | 5 | 단일 리그1 | 83 수퍼리그2 | 할렐루야 독수리 | 대우 로얄즈 |
2회 | 1984 | 8 | 전•후기 리그 + 챔피언 결정전3 | 84 축구대제전 수퍼리그4 | 대우 로얄즈 | 유공 코끼리 |
3회 | 1985 | 단일 리그 | 85 축구대제전 수퍼리그 | 럭키금성 황소 | 포항제철 아톰즈 | |
4회 | 1986 | 6 | 전•후기 리그5 + 챔피언 결정전 | 86 축구대제전6 | 포항제철 아톰즈 | 럭키금성 황소 |
5회 | 1987 | 5 | 단일 리그 | 87 한국프로축구대회 | 대우 로얄즈 | 포항제철 아톰즈 |
6회 | 1988 | 88 한국프로축구대회 | 포항제철 아톰즈 | 현대 호랑이 | ||
7회 | 1989 | 6 | 89 한국프로축구대회 | 유공 코끼리 | 럭키금성 황소 | |
8회 | 1990 | 90 한국프로축구대회 | 럭키금성 황소 | 대우 로얄즈 | ||
9회 | 1991 | 91 한국프로축구대회 | 대우 로얄즈 | 현대 호랑이 | ||
10회 | 1992 | 92 한국프로축구대회 | 포항제철 아톰즈 | 일화 천마 | ||
11회 | 1993 | 93 한국프로축구대회 | 일화 천마 | LG 치타스 | ||
12회 | 1994 | 7 | 94 하이트배 코리안리그 | 일화 천마 | 유공 코끼리 | |
13회 | 1995 | 8 | 전•후기 리그 + 챔피언 결정전 | 95 하이트배 코리안리그 | 일화 천마 | 포항 아톰즈 |
14회 | 1996 | 9 | 96 라피도컵 프로축구대회 | 울산 현대 호랑이 | 수원 삼성 블루윙즈 | |
15회 | 1997 | 10 | 단일 리그 | 97 라피도컵 프로축구대회 | 부산 대우 로얄즈 | 전남 드래곤즈 |
16회 | 1998 | 단일 리그 + 4강 PO7 | 98 현대컵 K-리그 | 수원 삼성 블루윙즈 | 울산 현대 호랑이 | |
17회 | 1999 | 99 바이코리아컵 K-리그 | 수원 삼성 블루윙즈 | 부산 대우 로얄즈 | ||
18회 | 2000 | 2000 삼성디지털 K-리그 | 안양 LG 치타스 | 부천 SK | ||
19회 | 2001 | 단일 리그 | 2001 포스코 K-리그 | 성남 일화 천마 | 안양 LG 치타스 | |
20회 | 2002 | 2002 삼성 파브 K-리그 | 성남 일화 천마 | 울산 현대 호랑이 | ||
21회 | 2003 | 12 | 삼성 하우젠 K-리그 2003 | 성남 일화 천마 | 울산 현대 호랑이 | |
22회 | 2004 | 13 | 전•후기 리그 + 4강 PO8 | 삼성 하우젠 K-리그 2004 | 수원 삼성 블루윙즈 | 포항 스틸러스 |
23회 | 2005 | 삼성 하우젠 K-리그 2005 | 울산 현대 호랑이 | 인천 유나이티드 | ||
24회 | 2006 | 14 | 삼성 하우젠 K-리그 2006 | 성남 일화 천마 | 수원 삼성 블루윙즈 | |
25회 | 2007 | 단일 리그 + 6강 PO9 | 삼성 하우젠 K-리그 2007 | 포항 스틸러스 | 성남 일화 천마 | |
26회 | 2008 | 삼성 하우젠 K-리그 2008 | 수원 삼성 블루윙즈 | FC 서울 | ||
27회 | 2009 | 15 | 2009 K-리그10 | 전북 현대 모터스 | 성남 일화 천마 | |
28회 | 2010 | 쏘나타 K리그 201011 | FC 서울 | 제주 유나이티드 | ||
29회 | 2011 | 16 | 현대오일뱅크 K리그 2011 | 전북 현대 모터스 | 울산 현대 | |
30회 | 2012 | 단일 리그 + 상하위 스플릿12 | 현대오일뱅크 K리그 2012 | FC 서울 | 전북 현대 모터스 | |
31회 | 2013 | 14 | 현대오일뱅크 K리그 클래식13 | 포항 스틸러스 | 울산 현대 | |
32회 | 2014 | 12 | 현대오일뱅크 K리그 클래식 2014 | 전북 현대 모터스 | 수원 삼성 블루윙즈 | |
33회 | 2015 | 현대오일뱅크 K리그 클래식 2015 | 전북 현대 모터스 | 수원 삼성 블루윙즈 | ||
34회 | 2016 | 현대오일뱅크 K리그 클래식 2016 | FC 서울 | 전북 현대 모터스 | ||
35회 | 2017 | KEB하나은행 K리그 클래식 2017 | 전북 현대 모터스 | 제주 유나이티드 | ||
36회 | 2018 | KEB하나은행 K리그1 201814 | 전북 현대 모터스 | 경남 FC | ||
37회 | 2019 | 하나원큐 K리그1 2019 |
- 수퍼리그 원년 1983 시즌은 전•후기 리그로 나누어 진행되었으나 챔피언 결정전 없이 단일리그로 변경하여 리그 순위로 최종 순위를 결정하였다.
- 당시 언론에서는 수퍼리그와 슈퍼리그를 혼용해서 사용하였으나 프로축구를 주관하던 대한축구협회는 공식적으로 수퍼리그라는 명칭으로 통일해서 사용했다.
- 전후기 각 리그 우승 팀들끼리 챔피언 결정전을 갖는 방식
- 체육부의 외래어 사용 금지 조치에 따라서 1984년 3월 8일 기존의 수퍼리그 명칭을 축구대제전으로 바꾸고 부명칭으로 수퍼리그를 병행 사용키로 하여 공식적인 대회 명칭은 축구대제전 수퍼리그였으나 당시 언론에서는 수퍼리그라는 명칭을 더 많이 사용했다.
- 1986 시즌만 전기리그를 춘계리그, 후기리그를 춘계리그로 표기했다.
1986년에는 5개 프로팀만이 참가하는 리그컵의 시초인 프로축구선수권대회가 추가로 개최되었으며 이 대회는 한국프로축구연맹에 의해 리그컵으로 분류되고 있으며 리그 대회는 축구대제전이다.- 리그 4위와 3위의 준 플레이오프를 거쳐, 준 플레이오프 승자와 2위의 플레이오프, 플레이오프 승자와 리그 1위가 챔피언 결정전을 치르는 방식
- 전•후기 각 리그 우승 팀과 통합 승점 차상위 두 팀이 각각 플레이오프를 거쳐 승자끼리 챔피언 결정전을 갖는 방식
- 리그 3위와 6위, 4위와 5위 팀이 각각 6강 플레이오프를 거쳐 두 경기 승자끼리 준플레이오프를 갖는다. 준플레오프 승자는 정규시즌 2위팀과 맞붙고, 플레이오프 승자가 리그 1위팀과 챔피언 결정전을 갖는 방식
- 포스트시즌에 한해 현대자동차와 스폰서 계약을 맺고 K-리그 쏘나타 챔피언십 2009라는 대회 명칭을 사용하였다.
- 2010년도부터는 K리그 표기법에 있어서 한국프로축구연맹은 한글일 경우는 대시 기호(—)를 빼고 K리그, 영문일 경우는 K-League, 이미지에서는 K•League라고 사용하는 것으로 공식표기법을 확정했다.
- 리그를 마친 후 성적에 따라 2012년도는 각각 8개 팀씩, 2013년도는 각각 7개 팀씩을 거쳐 2014년도부터는 각각 6개팀씩 상위스플릿과 하위스플릿으로 나뉘어 스플릿에 속한 팀들끼라만 대결을 하여 우승 팀과 강등 팀을 정하는 방식
- 2013년 K리그 클래식과 K리그의 승강제가 시행되고 새로운 엠블럼을 발표하며 영문 공식표기법을 1부리그 K LEAGUE CLASSIC, 2부리그 K LEAGUE CHALLENGE 로 확정했다.[5]2013년도에는 스폰서명을 포함한 공식명칭에 연도를 포함시키지 않았다.
- 2018년도부터 1부리그와 2부리그의 명칭이 각각 K리그 클래식, K리그 챌린지에서 K리그1, K리그2로 변경되었다.
승격과 강등
K리그는 아시아 축구 연맹에서 정한 기준에 맞추기 위해 2013년 2부리그인 K리그2를 출범시켰으며 2부리그 구성을 위해 2012 시즌에 최초로 두개 구단을 강등시켰다. 2013년부터 승강제를 시행하였으며 2013년은 3개 구단, 2014년부터 1~2개 구단이 1부리그인 K리그1에서 강등되어 2부리그인 K리그2로 내려가고 있으며 동시에 K리그2의 1~2개 구단이 K리그1으로 승격하여 올라오고 있다.
- 승격
아래 표에서 굵은 글씨는 K리그2에서 승격된 구단을 의미한다.
시즌 | 구단 1 | 구단 2 | 비고 | ||
---|---|---|---|---|---|
구단명 | 순위 | 구단명 | 순위 | ||
2013 | 상주 상무 | 1/8 | 없음 | 1위 구단 승강 PO 참가 | |
2014 | 대전 시티즌 | 1/10 | 광주 FC | 4/10 | K리그2 최종 2위 구단 승강 PO 참가 |
2015 | 상주 상무 | 1/11 | 수원 FC | 3/11 | |
2016 | 대구 FC | 2/11 | 강원 FC | 4/11 | |
2017 | 경남 FC | 1/10 | 없음 | ||
2018 | 성남 FC | 2/10 | 없음 |
- 강등
아래 표에서 굵은 글씨는 K리그1에서 강등된 구단을 의미한다.
시즌 | 구단 1 | 구단 2 | 구단 3 | 비고 | |||
---|---|---|---|---|---|---|---|
구단명 | 순위 | 구단명 | 순위 | 구단명 | 순위 | ||
2012 | 광주 FC | 15/16 | 상주 상무 피닉스 | 16/16 | 없음 | 승강 PO 없이 2개 구단 자동 강등 | |
2013 | 강원 FC | 12/14 | 대구 FC | 13/14 | 대전 시티즌 | 14/14 | K리그1 12위 구단 승강 PO 참가 |
2014 | 경남 FC | 11/12 | 상주 상무 | 12/12 | 없음 | K리그1 11위 구단 승강 PO 참가 | |
2015 | 부산 아이파크 | 11/12 | 대전 시티즌 | 12/12 | |||
2016 | 성남 FC | 11/12 | 수원 FC | 12/12 | |||
2017 | 없음 | 광주 FC | 12/12 | ||||
2018 | 없음 | 전남 드래곤즈 | 12/12 |
관련 항목
|
|
|
참고 자료
↑ 김태석 (2013년 1월 3일). “K리그 공식 명칭, 2013년부터 'K리그 클래식'”. 베스트일레븐.
↑ “위원석의 하프타임-K리그에 새로운 이름을 붙여주자”. 스포츠서울. 2013년 2월 19일. 2015년 11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8월 31일에 확인함.
↑ “득실보다 다득점! K리그 순위 결정 방식 변경”. CBS노컷뉴스. 2016년 1월 18일.
↑ “한국프로축구연감”. 한국프로축구연맹 편집부.
↑ “한국프로축구 최상위리그 1st DIVISION, K LEAGUE CLASSIC”. K리그 공식 웹사이트.
외부 링크
- K리그 웹사이트
- K리그 페이스북
- K리그 트위터
- K리그 유튜브 채널
- K리그 네이버 블로그
- K리그 네이버 오픈캐스트
- K리그 클래식 네이버 TV캐스트
- K리그 다음 tv팟
- K리그 아프리카 TV
분류:
- K리그1
- 1983년 설립된 스포츠 리그
- 아시아의 축구 1부 리그
(RLQ=window.RLQ||[]).push(function()mw.config.set("wgPageParseReport":"limitreport":"cputime":"0.764","walltime":"0.915","ppvisitednodes":"value":10813,"limit":1000000,"ppgeneratednodes":"value":0,"limit":1500000,"postexpandincludesize":"value":215967,"limit":2097152,"templateargumentsize":"value":17546,"limit":2097152,"expansiondepth":"value":14,"limit":40,"expensivefunctioncount":"value":0,"limit":500,"unstrip-depth":"value":0,"limit":20,"unstrip-size":"value":5196,"limit":5000000,"entityaccesscount":"value":0,"limit":400,"timingprofile":["100.00% 509.739 1 -total"," 30.62% 156.064 1 틀:축구_리그_정보"," 29.58% 150.791 1 틀:정보상자"," 20.60% 105.020 10 틀:둘러보기_상자"," 19.79% 100.877 1 틀:각주"," 16.12% 82.161 5 틀:뉴스_인용"," 12.51% 63.745 1 틀:위치_지도+"," 11.01% 56.142 166 틀:정보상자/행"," 10.82% 55.153 12 틀:위치_지도~"," 6.69% 34.111 1 틀:대한민국의_축구"],"scribunto":"limitreport-timeusage":"value":"0.110","limit":"10.000","limitreport-memusage":"value":3838773,"limit":52428800,"cachereport":"origin":"mw1273","timestamp":"20190809060456","ttl":86400,"transientcontent":true););"@context":"https://schema.org","@type":"Article","name":"Kub9acuadf81","url":"https://ko.wikipedia.org/wiki/K%EB%A6%AC%EA%B7%B81","sameAs":"http://www.wikidata.org/entity/Q2386334","mainEntity":"http://www.wikidata.org/entity/Q2386334","author":"@type":"Organization","name":"uc704ud0a4ubbf8ub514uc5b4 ud504ub85cuc81dud2b8 uae30uc5ecuc790","publisher":"@type":"Organization","name":"Wikimedia Foundation, Inc.","logo":"@type":"ImageObject","url":"https://www.wikimedia.org/static/images/wmf-hor-googpub.png","datePublished":"2005-09-21T10:57:38Z","dateModified":"2019-08-08T15:36:37Z"(RLQ=window.RLQ||[]).push(function()mw.config.set("wgBackendResponseTime":160,"wgHostname":"mw12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