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유위와 무위 목차 유위의 다른 이름 유·무위 분별 함께 보기 참고 문헌 각주 둘러보기 메뉴eh《불교 사전》원본 문서《아비달마구사론》과거 내용 찾기《해심밀경》과거 내용 찾기《佛光大辭典(불광대사전)》원본 문서《아비달마구사론(阿毘達磨俱舍論)》원본 문서《해심밀경(解深蜜經)》과거 내용 찾기6-13 / 1397有為無爲(무위)10-12 / 139711 / 1397257 / 139779-81 / 86T29n1558_p0002a17 - T29n1558_p0002a1811-12 / 13979 / 139742 / 139711-13 / 1397eheheheheheh

법체계 (불교)불교 사상불교 용어오위불교 교의


일체법제법일체법유루법무루법인연인연현상현상유위인연법법유위인연인연진리법법아비달마불교대승불교3무위6무위9무위설일체유부비바사사5온세로언의유리유사5온법법체계세로법언의법설법논유리법열반진리유사법인과법칙현상설일체유부설일체유부5온색수상행식인연몸색온마음마음작용수온상온행온설일체유부세로설일체유부시간삼세법시간시간설일체유부말근거존재존재수설해심밀경관대도리수설인연행유위법행유위법따르는 말설일체유부비바사사열반멸택멸열반설일체유부비바사사인과의 법칙인연사성제멸제고제집제도제일체법유루무루고제집제유루도제멸제무루고제집제멸제도제멸제열반도제인연도제5온무루법유루법5온무루법사성제도제팔정도무루유루법번뇌5취온유루사성제고제집제가전연대가섭나후라목건련부루나사리불수보리아나률아난타우바리












유위와 무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불교에는 일체법(一切法) 또는 제법(諸法)을 분류하는 여러 방식이 있는데, 그 중에는 크게 유위법(有爲法)과 무위법(無爲法)의 두 가지로 분류하는 방식이 있다. 이 분류 방식은 일체법을 크게 유루법(有漏法)과 무루법(無漏法)의 두 가지로 분류하는 방식과 더불어 불교 전반에서 널리 사용되는 분류법이다.[1]


유위(有爲, 산스크리트어: saṃskrta, 팔리어: savkhata, 영어: created, formed, conditioned)에서 위(爲)는 위작(爲作) · 조작(造作: 만들다)의 뜻으로, 유위는 만들어진 것, 조작된 것, 다수의 요소가 함께 작용된 것, 여러 인연이 함께 모여서 지은 것, 인연으로 말미암아 조작되는 모든 현상을 가리킨다. 또는 이렇게 하여 드러난 생성과 소멸의 세계, 즉 우리가 경험하는 현상의 세계를 뜻한다.[2][3]유위법(有爲法, 산스크리트어: sajskrta-dharma, 영어: Karmic existence, conditioned existence)은 유위(有爲)의 세계, 즉, 여러 인연의 화합에 의해 만들어진 생성과 소멸의 현상세계의 모든 개별 존재(법·法)를 통칭한다. 또는 그러한 개별 존재(법·法)를 가리킨다.[2][3]


무위(無爲, 산스크리트어: asaṃskrta, 팔리어: asavkhata, 영어: uncreated, unformed, unconditioned)는 조작(造作: 만들다)의 뜻이 없는 것으로 유위의 대(對)가 되며, 조작되지 않은 세계, 즉 인연의 화합에 의해 만들어진 것이 아닌 세계, 즉 생멸변화를 떠난 절대적이며 항상 존재하는 진리 또는 진리의 세계를 뜻한다.[2][3][4]무위법(無爲法, 산스크리트어: asaṃskrta-dharma, 영어: non-Karmic existence, unconditioned existence)은 무위의 세계, 즉 인연의 화합에 의해 만들어진 것이 아닌 진리의 세계의 모든 개별 존재(법·法)를 통칭한다. 또는 그러한 개별 존재(법·法)를 가리킨다.[2][3][4] 원래 무위 혹은 무위법은 열반(涅槃)의 다른 명칭이었는데, 후대의 아비달마불교와 대승불교에 의해 3무위(三無爲), 6무위(六無爲), 9무위(九無爲) 등의 설이 생겼다.[3]




목차





  • 1 유위의 다른 이름

    • 1.1 오온


    • 1.2 세로·시간


    • 1.3 언의


    • 1.4 유리


    • 1.5 유사



  • 2 유·무위 분별

    • 2.1 사성제


    • 2.2 오온



  • 3 함께 보기


  • 4 참고 문헌


  • 5 각주




유위의 다른 이름


설일체유부의 논사들인 비바사사(毘婆沙師)의 전통에 따르면, 5온(五蘊) · 세로(世路) · 언의(言依) · 유리(有離) · 유사(有事)는 모두 유위(有爲)의 다른 이름들로, 각각 유위법의 한 측면을 보여준다.[5]5온(五蘊)은 법의 공간적 측면 즉 법체계를, 세로(世路)는 법의 시간적 측면을, 언의(言依)는 법의 언어적 측면 즉 설법과 논의 가능성을, 유리(有離)는 법의 열반과의 관계의 측면 즉 진리의 측면을, 유사(有事)는 법의 인과법칙적 현상의 측면을 보여준다.



오온


설일체유부에서는 유위법을 또한 5온(五蘊, 팔리어: pañca khandha, 산스크리트어: pañca-skandha)이라고도 한다. 설일체유부에 따르면,
5온, 즉 색(色: 몸, 물질) · 수(受: 지각) · 상(想: 표상) · 행(行: 욕구, 의지) · 식(識: 마음, 의식)의 다섯 가지 법[五法]은 여러 인연이 모여서 함께 만든 것, 즉 조작(造作)된 것이기 때문에 이들은 모두 유위(有爲)이다. 즉, 개인의 몸(색온)뿐만 아니라 마음(식온)과 마음작용들(수온 · 상온 · 행온) 또한 한 개의 연(緣)에 의해 생겨난 것은 없으며 다수의 연[衆緣]에 의해 조작되어 형성된 것이다.[6]



세로·시간


설일체유부에서는 유위법을 또한 세로(世路, 산스크리트어: adhvan)라고도 한다. 세로는 일체의 유위법이 이미 작용하였고, 지금 바로 작용하고 있으며, 응당 작용할 성질을 가지고 있다는 뜻으로, 즉 일체의 유위법이 찰나찰나 생멸변천하면서 과거 · 현재 · 미래의 모습을 이루어가는 과정(過程) 또는 경로(經路) 중에 있다는 것을 말한다.[6]


설일체유부의 교학에 따르면, 시간(時間, kāla) 즉 과거 · 현재 · 미래의 삼세는 법(法), 즉 객관적으로 독립된 실체가 아니며 생멸변천하는 일체의 유위법을 근거로 하여 가설(假說)된 개념일 뿐이다. 시간이란 생멸변천의 과정 또는 경로를 가설적으로 지칭하는 것으로, 따라서 시간은 세로(世路)와 유위(有爲)의 다른 이름일 뿐이다.[6]



언의


설일체유부에서는 유위법을 또한 언의(言依, 산스크리트어: kathavastu)라고도 한다. 언의(言依)는 말[語言]의 근거[所依]라는 뜻으로, 책상 혹은 하늘과 같은 명사적 단어[名, 산스크리트어: nāma, 영어: name]에 의해 드러나는 의미를 말한다. 즉 책상 혹은 하늘 등의 온갖 명사 그 자체를 말하는 것이 아니라 이들 온갖 명사가 가리키는 존재(법)를 말한다. 따라서 언의(言依: 말의 근거)는 일체의 유위제법(有爲諸法)을 모두 포섭한다.[6]


한편, 전통적인 용어로는, 명사 그 자체를 능전의 명(能詮의 名)이라 하며, 명사가 가리키는 존재(법)을 소전의 법(所詮의 法)이라 한다.[6][7] 능전의 명(能詮의 名)을 수설(隨說)이라고도 하며, 수설을 번역하여 따르는 말이라고도 한다.


《해심밀경》 제5권에서는 관대도리(觀待道理)를 정의하면서 수설(隨說)을 언급하는데, 인(因)이나 혹은 연(緣)이 능히 모든 행(行: 유위법)을 생겨나게 하며 또한 해당 행(行: 유위법)에 따르는 말[隨說] 즉 관련된 개념도 일으키는 것을 관대도리라 정의하고 있다.[8]



유리


설일체유부에서는 유위법을 또한 유리(有離, 산스크리트어: saniḥsara)라고도 한다. 문자 그대로의 뜻은 '떠남이 있다'는 것이다. 비바사사의 해석에 따르면, 리(離)는 일체의 유위법을 영원히 떠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것은 곧 열반(涅槃)을 말한다. 즉 각각의 유위법에는 이와 같이 '그것으로부터 영원히 떠남[離]'의 의미가 들어있기[有] 때문에, 일체의 유위법을 유리(有離)라고도 이름할 수 있다.[9][10] 즉, 유리(有離)라는 다른 이름은 모든 유위법은 반드시 그것을 떠난 멸(또는 택멸, 열반)의 상태가 있으며, 그 상태를 성취할 수 있다는 것을 말한다.



유사


설일체유부에서는 유위법을 또한 유사(有事, 산스크리트어: savastuka)라고도 한다. 문자 그대로의 뜻은 "일[事]이 있다"는 것이다. 비바사사의 해석에 따르면, 사(事)는 원인[因]을 의미한다.[6] 즉, 일체의 유위법은 인과의 법칙의 결과물, 즉 인연 화합에 의해 만들어진 결과물이므로 유사(有事)라 부르기도 한다.



유·무위 분별



사성제



사성제를 유위(有爲)와 무위(無爲)로 분별하면, 멸제만이 무위이며 나머지 고제 · 집제 · 도제는 모두 유위이다.[1]


한편, 일체법을 유루(有漏)와 무루(無漏)로 분류하는 방식이 있는데, 이를 적용하면 고제 · 집제는 유루이고 도제 · 멸제는 무루이다.[1][11]


따라서, 고제 · 집제는 유위이고 유루이며, 멸제는 무위이고 무루이며, 도제는 유위이고 무루이다.[1][2] 불교에서는, 무위이고 무루인 멸제, 즉 열반은 유위이고 무루인 도제에 의해 생겨나는 것, 즉 인연 화합에 의해 생성되는 것이 아니라 유위이고 무루인 도제에 의해 증득(證得)되는 것이라고 말한다.[12][13]



오온



색 · 수 · 상 · 행 · 식의 5온은 모두 유위법에 속하며, 무루법과 유루법에 모두 통한다. 무위법은 5온에 속하지 않는다.[4][14]


5온이 무루법에 통한 경우가 사성제 중의 도제로, 도제 즉 팔정도(八正道)는 유위이면서 무루이다. 5온이 유루법에 통한 경우 5온은 번뇌를 낳는데, 이러한 상태의 5온을 특히 5취온(五取蘊)이라 한다. 이 때의 취(取)는 번뇌의 다른 이름이다. 5취온은 유위이면서 유루로, 사성제의 고제와 집제에 해당한다.[4][15]



함께 보기


  • 불생불멸

  • 현상

  • 진리

  • 5온

  • 5위 75법

  • 5위 100법


참고 문헌


  • Heckert GNU white.svgCc.logo.circle.svg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 권오민 (2003). 《아비달마불교》. 민족사. 


  • 운허. 동국역경원 편집, 편집. 《불교 사전》. 2016년 3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9월 7일에 확인함. 


  •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아비달마구사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CS1 관리 - 여러 이름 (링크)[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현장 한역, 김달진 번역 (K.154, T.676). 《해심밀경》.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154(10-709), T.676(16-688).  다음 날짜 값 확인 필요: |date= (도움말)[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중국어) 星雲. 《佛光大辭典(불광대사전)》 3판. 2011년 3월 1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3월 19일에 확인함.  CS1 관리 - 추가 문구 (링크)


  • (중국어) 세친 조; 현장 한역 (T.1558). 《아비달마구사론(阿毘達磨俱舍論)》. 대정신수대장경. T29, No. 1558, CBETA. 2014년 3월 1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12월 27일에 확인함.  다음 날짜 값 확인 필요: |date= (도움말)


  • (중국어) 현장 한역 (T.1563). 《해심밀경(解深蜜經)》. 대정신수대장경. T16, No. 676, CBETA.  다음 날짜 값 확인 필요: |date= (도움말)[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각주



  1.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6-13 / 1397쪽.


  2. 권오민 2003, 45-49쪽.


  3. 星雲"有為". 2012년 9월 7일에 확인 인용 오류: 잘못된 <ref> 태그; "FOOTNOTE星雲"이 다른 콘텐츠로 여러 번 정의되었습니다 인용 오류: 잘못된 <ref> 태그; "FOOTNOTE星雲"이 다른 콘텐츠로 여러 번 정의되었습니다 인용 오류: 잘못된 <ref> 태그; "FOOTNOTE星雲"이 다른 콘텐츠로 여러 번 정의되었습니다


  4. 운허"無爲(무위)". 2012년 9월 7일에 확인 인용 오류: 잘못된 <ref> 태그; "FOOTNOTE운허"이 다른 콘텐츠로 여러 번 정의되었습니다 인용 오류: 잘못된 <ref> 태그; "FOOTNOTE운허"이 다른 콘텐츠로 여러 번 정의되었습니다


  5.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10-12 / 1397쪽.


  6.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11 / 1397쪽.


  7.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257 / 1397쪽.


  8. 현장 한역, 김달진 번역 K.154, T.676제5권. pp. 79-81 / 86. 4종도리(四種道理)


  9. 세친 조, 현장 한역 T.1558제1권. p. T29n1558_p0002a17 - T29n1558_p0002a18. 유리(有離)
    "或名有離。離謂永離。即是涅槃。一切有為有彼離故。"



  10.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K.955, T.1558제1권. pp. 11-12 / 1397. 유리(有離)
    "혹은 유위를 '유리(有離, saniḥsara)'라고도 이름한다. 여기서 '리(離)'란 영원히 떠나는 것으로, 바로 열반을 말한다. 즉 일체의 유위법은 바로 그 같은 '리'를 지녔기 때문에 이같이 이름한 것이다."



  11. 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사상 > 근본불교의 사상 > 무루,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12. 권오민 2003, 90-94쪽.


  13.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9 / 1397쪽.


  14.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42 / 1397쪽.


  15.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11-13 / 1397쪽.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유위와_무위&oldid=22895634"













둘러보기 메뉴

























(RLQ=window.RLQ||[]).push(function()mw.config.set("wgPageParseReport":"limitreport":"cputime":"1.408","walltime":"1.561","ppvisitednodes":"value":6742,"limit":1000000,"ppgeneratednodes":"value":0,"limit":1500000,"postexpandincludesize":"value":655757,"limit":2097152,"templateargumentsize":"value":5271,"limit":2097152,"expansiondepth":"value":12,"limit":40,"expensivefunctioncount":"value":2,"limit":500,"unstrip-depth":"value":0,"limit":20,"unstrip-size":"value":20373,"limit":5000000,"entityaccesscount":"value":0,"limit":400,"timingprofile":["119.56% 1132.535 59 틀:둘러보기_상자","100.00% 947.289 1 -total"," 12.55% 118.852 1 틀:5위100법"," 12.24% 115.944 1 틀:불교_둘러보기"," 10.70% 101.358 33 틀:Sfn"," 10.20% 96.658 18 틀:Llang"," 10.08% 95.467 7 틀:서적_인용"," 9.86% 93.396 1 틀:5온"," 9.14% 86.596 1 틀:5위75법"," 7.41% 70.175 1 틀:십팔계"],"scribunto":"limitreport-timeusage":"value":"0.539","limit":"10.000","limitreport-memusage":"value":4891070,"limit":52428800,"cachereport":"origin":"mw1257","timestamp":"20190903154144","ttl":2592000,"transientcontent":false););"@context":"https://schema.org","@type":"Article","name":"uc720uc704uc640 ubb34uc704","url":"https://ko.wikipedia.org/wiki/%EC%9C%A0%EC%9C%84%EC%99%80_%EB%AC%B4%EC%9C%84","sameAs":"http://www.wikidata.org/entity/Q12609939","mainEntity":"http://www.wikidata.org/entity/Q12609939","author":"@type":"Organization","name":"uc704ud0a4ubbf8ub514uc5b4 ud504ub85cuc81dud2b8 uae30uc5ecuc790","publisher":"@type":"Organization","name":"Wikimedia Foundation, Inc.","logo":"@type":"ImageObject","url":"https://www.wikimedia.org/static/images/wmf-hor-googpub.png","datePublished":"2012-09-07T00:25:42Z","dateModified":"2018-10-31T21:11:51Z","image":"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e/e8/DharmaWheelGIF.gif"(RLQ=window.RLQ||[]).push(function()mw.config.set("wgBackendResponseTime":199,"wgHostname":"mw1268"););

Popular posts from this blog

Kamusi Yaliyomo Aina za kamusi | Muundo wa kamusi | Faida za kamusi | Dhima ya picha katika kamusi | Marejeo | Tazama pia | Viungo vya nje | UrambazajiKuhusu kamusiGo-SwahiliWiki-KamusiKamusi ya Kiswahili na Kiingerezakuihariri na kuongeza habari

Swift 4 - func physicsWorld not invoked on collision? The Next CEO of Stack OverflowHow to call Objective-C code from Swift#ifdef replacement in the Swift language@selector() in Swift?#pragma mark in Swift?Swift for loop: for index, element in array?dispatch_after - GCD in Swift?Swift Beta performance: sorting arraysSplit a String into an array in Swift?The use of Swift 3 @objc inference in Swift 4 mode is deprecated?How to optimize UITableViewCell, because my UITableView lags

Access current req object everywhere in Node.js ExpressWhy are global variables considered bad practice? (node.js)Using req & res across functionsHow do I get the path to the current script with Node.js?What is Node.js' Connect, Express and “middleware”?Node.js w/ express error handling in callbackHow to access the GET parameters after “?” in Express?Modify Node.js req object parametersAccess “app” variable inside of ExpressJS/ConnectJS middleware?Node.js Express app - request objectAngular Http Module considered middleware?Session variables in ExpressJSAdd properties to the req object in expressjs with Typescrip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