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위와 과위 같이 보기 참고 문헌 각주 둘러보기 메뉴eh시공 불교사전불교 사전성유식론佛學辭典(불학사전)佛光大辭典(불광대사전)대승의장(大乘義章)성유식론(成唯識論)T31n1585_p0011c29125-126 / 583과위(果位)果位(과위)果地(과지)果地佛果佛智佛智(불지)T44n1851_p0863b07 - T44n1851_p0864b08因位(인위)80 / 583因地地前菩薩地前三賢地前三賢(지전삼현)三賢(삼현)eh
불교 용어불교 수행
수행증득경지수행증득부처지위경지계위부처부처여래깨달음부처부처수행묘각깨달음결과과극여래10호선서불과불과초지보살10지10주10행10회향지전보살3현위가전연대가섭나후라목건련부루나사리불수보리아나률아난타우바리
인위와 과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인위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도가(道家)의 인위(人爲)에 대해서는 도가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불교 | |||||
---|---|---|---|---|---|
| |||||
교의와 용어
| |||||
역사와 종파
| |||||
경전
| |||||
성지
| |||||
지역별 불교
| |||||
인위(因位)와 과위(果位)는 불교의 수행과 수행에 의해 증득되는 결과 또는 도달하는 경지에 관련된 용어이다. 둘 다를 합쳐서 인과위(因果位)라고도 한다.[1][2]
과위(果位)부터 먼저 설명하면, 과위(果位)는 수행에 의해 증득된 결과로서의 불위(佛位) 즉 부처의 지위 · 경지 또는 계위를 말한다. 과지(果地)라고도 한다. 지(地)와 위(位)는 모두 수행상의 지위 또는 경지 즉 수행 계위를 뜻한다.[3][4][5][6] '부처라는 결과'라는 뜻에서 불과(佛果)라고도 하며, '부처 또는 여래의 계위 또는 지위'라는 뜻에서 불지(佛地) 또는 여래지(如來地)라고도 하며, '불과의 계위 또는 지위'라는 뜻에서 불과위(佛果位)라고도 하며, '불과로서 가지는 깨달음'이라는 뜻에서 불과보리(佛果菩提)라고도 하며,[7]부처의 지혜라는 뜻에서 불지(佛智, 산스크리트어: buddha-jñāna, 팔리어: buddha-ñāna)라고도 한다.[8][9] '부처의 상태를 이루었다 또는 부처의 상태에 도달했다'는 뜻의 성불(成佛, 산스크리트어: buddho bhavati)과도 같은 뜻이다.[7]수행을 원인으로 하여 묘각과(妙覺果) 즉 묘각이라는 결과 즉 깨달음이라는 결과가 지극히 완전하게 이루어졌다는 뜻에서 과극(果極)이라고도 한다.[6] 또한, 과극은 여래10호(如來十號) 가운데 특히 선서(善逝)라는 호칭이 가진 의미를 드러내는 전통적인 용어이다.[10]
인위(因位)는 부처의 상태 · 경지 또는 계위에 이르기 위해 수행하고 있는 과정 또는 단계를 말한다.[3] 간단히 말하면, 수행 기간을 말한다.[11][12]
한편, 인위(因位) 또는 인지(因地)는 일반적인 의미로는 위의 설명과 같이 불과(佛果) 즉 부처의 상태에 상대하여 쓰이는 낱말로서 불과에 이르기까지의 수행 기간을 말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초지보살(初地菩薩) 이상의 계위에 상대하여 쓰이는 지전보살(地前菩薩)의 계위를 가리키는 낱말로 쓰이기도 한다.[13] 즉, 10지(十地) 이전의 단계인 10주(十住) · 10행(十行) · 10회향(十迴向)의 세 현인(賢人) 즉 3현(三賢) 또는 3현위(三賢位)를 가리키는 낱말로 쓰이기도 한다. 이런 의미에서 지전보살 즉 3현위를 지전3현(地前三賢)이라고도 한다.[14][15][16][17]
같이 보기
- 여래10호
- 3계 9지
부파불교의 수행계위
3도: 견도 · 수도 · 무학도
5위: 자량위 · 가행위 · 견도위 · 수도위 · 무학위- 9지
대승불교의 수행계위- 인위와 과위
- 뢰야3위
5위: 자량위 · 가행위 · 통달위 · 수습위 · 구경위- 10지
참고 문헌
곽철환 (2003). 《시공 불교사전》. 시공사 / 네이버 지식백과.|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운허. 동국역경원 편집, 편집. 《불교 사전》.|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 김묘주 번역 (K.614, T.1585). 《성유식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614(17-510), T.1585(31-1). 다음 날짜 값 확인 필요:|date=
(도움말);|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CS1 관리 - 여러 이름 (링크)
(중국어) 佛門網. 《佛學辭典(불학사전)》.|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중국어) 星雲. 《佛光大辭典(불광대사전)》 3판.|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CS1 관리 - 추가 문구 (링크)
(중국어) 혜원 찬 (T.1851). 《대승의장(大乘義章)》. 대정신수대장경. T44, No. 1851, CBETA. 다음 날짜 값 확인 필요:|date=
(도움말);|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중국어) 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 (T.1585). 《성유식론(成唯識論)》. 대정신수대장경. T31, No. 1585, CBETA. 다음 날짜 값 확인 필요:|date=
(도움말);|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각주
↑ 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 T.1585, 제3권. p. T31n1585_p0011c29. 오직 사수와 상응하는 첫째 이유
"此識行相極不明了。不能分別違順境相。微細一類相續而轉。是故唯與捨受相應。"
↑ 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 김묘주 번역 K.614, T.1585, 제3권. pp. 125-126 / 583. 오직 사수와 상응하는 첫째 이유
"이 식은 인식작용[行相]이 매우 명료하지 않고, 거슬림과 수순의 대상의 모습을 분별할 수 없다. 그러나 그 행상은 미세하고 한 종류(이숙무기성)로서 상속하면서 전전한다. 따라서 오직 사수(捨受)와 상응한다.36)
36) 다음에 제8아뢰야식이 5수(受) 가운데 오직 사수(捨受)와 함께함을 밝힌다. 이것을 수구문(受俱門)이라고 한다. 그런데 본문에서 말하는 다섯 가지는 인위(因位)에서이고, 만약 불위(佛位)라면 제8식은 인식작용이 명료하며, 대상의 위순(違順)의 모습을 분별하고, 나머지 세 가지는 인과위(因果位)에 공통된다."
↑ 운허, "果位(과위)". 2013년 4월 6일에 확인
"果位(과위):
↔인위(因位). 과지(果地)와 같음. 인행(因行)이 성취되어 증득하는 불과(佛果)의 자리. 깨달은 지위. ⇒과지(果地)"
↑ 운허, "果地(과지)". 2013년 4월 6일에 확인
"果地(과지):
↔인지(因地). 수행에 의하여 깨닫는 결과를 얻은 지위. ⇒과위(果位)"
↑ 가나 星雲, "果地". 2013년 4월 6일에 확인
"果地:
相對於「因位」、「因地」而言。即依因位之修行而得妙覺果滿之極位。又作果位、果極。又聲聞、緣覺、菩薩三乘果地各異,而聲聞乘之中又有四果之別等。楞嚴經卷四(大一九‧一二二上):「應當審觀,因地發心與果地覺,為同為異。」 p3322"
↑ 가나 星雲, "佛果". 2013년 4월 6일에 확인
"佛果:
(一)指成佛。又作佛位、佛果位、佛果菩提。佛為萬行之所成,故稱佛果,即能成之萬行為因,而所成之萬德為果。亦即從修行之因到達佛果之位,又指從聲聞、菩薩之位至無上正等正覺之位。證得佛果之因,稱為佛因,即指一切萬行之善根、功德。〔佛母出生三法藏般若經卷十五、正法眼藏諸惡莫作〕
(二)(1063~1135)宋代僧。四川崇寧人,俗姓駱。參謁五祖山法演禪師而受其印證。宋徽宗敕賜「佛果禪師」之號。(參閱「克勤」2785) p2637" 인용 오류: 잘못된<ref>
태그; "FOOTNOTE星雲"[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9518DTITLEA6F2AAG 佛果]". 2013년 4월 6일에 확인"이 다른 콘텐츠로 여러 번 정의되었습니다
↑ 星雲, "佛智". 2013년 4월 21일에 확인
"佛智:
梵語 buddha-jñāna,巴利語 buddha-ñāna。佛特有之智慧。為最勝無上之智見,相當於一切種智。唯識法相以佛智有大圓鏡智、平等性智、妙觀察智、成所作智等四智,密教則加法界體性智而成五智。〔大智度論卷四十六、卷八十五、十住毘娑沙論卷十五、宗鏡錄卷三十三〕(參閱「五智」1161、「四智」1769)p2725"
↑ 운허, "佛智(불지)". 2013년 4월 21일에 확인
"佛智(불지):
부처님의 지혜. 우주의 진리를 깨달은 성지(聖智). 공간적으로는 10방(方)을 다하고, 시간적으로는 3세(世)를 다하는 완전하고 원만한 지혜. 이 지혜를 근본으로 하고, 무한한 자비 동정(同情)을 일으켜 법계를 거두어 교화하는 큰 사업을 일으키니, 이 지혜가 진리를 나타낸 방면으로 보아 이(理)와 지(智)가 둘이 아닌 지혜라 하고, 또 대자비심을 일으키는 점으로 보아 비(悲)와 지(智)가 둘이 아닌 지혜라 함. 이렇게 완전 무결한 지혜를 얻은 이가 부처님. 이 불지를 2지(智)ㆍ3지ㆍ4지ㆍ5지 등으로 나눔."
↑ 혜원 찬 T.1851, 제20권. pp. T44n1851_p0863b07 - T44n1851_p0864b08. 10호(十號)와 그 의미
"其十號者。是佛如來名稱功德。名有通別。釋迦彌勒阿[門@(人/(人*人))]佛等是其別也。如來等十是其通也。應相須分故立別名。實德須顯故立通稱。實德無量。依德施名名亦無邊。今據一數且論十種。所謂如來應供正遍知明行足善逝世間解無上士調御丈夫天人師佛世尊。此十經中說之為號。或云名稱。通釋義齊。隨相分別。顯體為名。標德云稱。名稱外彰。號令天下。說之為號。十中前五是自利德。後五利他。就自利中分為兩對。初二一對。前明道圓。後彰滅極。後三一對。前二因圓。後一果極。 ... 前五自德。後五化德。於中前四德能化物。後之一種為世欽敬。就前四中。初一明其化他之智。解了世間。第二明其化他之能。能調物心。第三明其化他之德。師德具足。第四明其化他之行。覺行窮滿。"
↑ 운허, "因位(인위)". 2013년 4월 6일에 확인
"因位(인위):
↔과위(果位). 부처가 되려고 수행하는 기간."
↑ 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 김묘주 번역 K.614, T.1585, 제3권. p. 80 / 583. 뇌야삼위(賴耶三位)
"이 식의 자상은 분위(分位)가 많지만 장식(藏識)이라 이름하는 것은, 첫 번째 지위이면서 과실이 크기 때문에 이에 비중을 두어 이름한 것이다.87)
87) 뇌야삼위(賴耶三位) 중에서 아애집장현행위(我愛執藏現行位)의 제8식을 장식(藏識), 즉 아뢰야식이라고 부르는 까닭을 말한다. 뇌야삼위는 수행기간[因位]에서 불과(佛果)의 지위[果位]에 이르는 사이에 제8식에서 일어나는 변화를 세 가지로 나눈 것으로서, 이외에 선악업과위(善惡業果位), 상속집지위(相續執持位)가 있다. 아애집장현행위는 제7식이 제8식의 견분을 인식대상[所緣]으로 하여, 상일주재(常一主宰)하는 실제적 주체[我, ātman]로 착각하여 집착하는 기간이다. 범부로부터 보살은 제7지[遠行地]까지, 2승(乘)은 유학의 성자까지의 제8식을 아뢰야식이라고 이름한다. 이 기간 동안에는 물론 선악업과위[異熟識]와 상속집지위[阿陀那識]도 병행하지만, 아애집장현행의 뜻이 가장 강하고 그 과실이 크므로 아뢰야식이라고 부른다. 제8지[不動地] 이상의 보살과 2승의 무학위(아라한)에서는 순(純)무루종자가 상속해서 아집을 영원히 일으키지 않으므로, 제8식에 대해서 아뢰야식이라는 명칭을 사용하지 않는다."
↑ 星雲, "因地". 2013년 4월 6일에 확인
"因地:
為「果地」之對稱。地者,位地、階位之意。指修行佛道之階位。亦即指由因行至證果間之階位。與「因位」同義。可分為二種:(一)對佛果之果位而言,等覺以下者悉為因地。如教行信證卷二之「法藏菩薩因位時」一語,係對阿彌陀佛之果地而言。蓋法藏菩薩係阿彌陀佛於往昔因位時之名號。(二)對初地以上之菩薩而言,地前菩薩之階位皆為因地。亦即對已證位者,稱未證位者為因地。首楞嚴經卷五(大一九‧一二八中):「我本因地,以念佛心入無生忍。」即是一例。(參閱「果地」3322) p2275"
↑ 佛門網, "地前菩薩". 2013년 4월 6일에 확인
"地前菩薩:
出處: 陳義孝編, 竺摩法師鑑定, 《佛學常見辭彙》
解釋: 見地前三賢條。"
↑ 佛門網, "地前三賢". 2013년 4월 6일에 확인
"地前三賢:
出處: 陳義孝編, 竺摩法師鑑定, 《佛學常見辭彙》
解釋: 十住十行十迴向諸位菩薩,因只斷見思惑尚有塵沙無明惑在,未入十地聖位,故稱三賢,或地前菩薩。"
↑ 운허, "地前三賢(지전삼현)". 2013년 4월 6일에 확인
"地前三賢(지전삼현):
10지(地) 이전의 10회향ㆍ10행ㆍ10주의 삼현위(三賢位)."
↑ 운허, "三賢(삼현)". 2013년 4월 6일에 확인
"三賢(삼현):
소승ㆍ대승에 따라 구별이 있다. (1) 대승은 보살 수행의 지위인 10주ㆍ10행ㆍ10회향 위(位)에 있는 보살을 말함. (2) 소승은 5정심위(停心位)ㆍ별상념주위(別相念住位)ㆍ총상념주위(總相念住位)를 말함. 이들은 성위(聖位)에 들어가기 위한 방편위(方便位)."
분류:
- 불교 용어
- 불교 수행
(RLQ=window.RLQ||[]).push(function()mw.config.set("wgPageParseReport":"limitreport":"cputime":"0.528","walltime":"0.620","ppvisitednodes":"value":2057,"limit":1000000,"ppgeneratednodes":"value":0,"limit":1500000,"postexpandincludesize":"value":209704,"limit":2097152,"templateargumentsize":"value":1099,"limit":2097152,"expansiondepth":"value":11,"limit":40,"expensivefunctioncount":"value":2,"limit":500,"unstrip-depth":"value":0,"limit":20,"unstrip-size":"value":27894,"limit":5000000,"entityaccesscount":"value":0,"limit":400,"timingprofile":["100.00% 398.497 1 -total"," 46.87% 186.760 14 틀:둘러보기_상자"," 24.14% 96.201 7 틀:서적_인용"," 24.05% 95.843 1 틀:불교_둘러보기"," 16.82% 67.015 20 틀:Sfn"," 8.94% 35.616 1 틀:불교"," 8.32% 33.144 3 틀:Llang"," 7.90% 31.500 1 틀:Sidebar_with_collapsible_lists"," 6.90% 27.514 1 틀:다른_뜻_넘어옴"," 6.17% 24.594 1 틀:다른_뜻_설명"],"scribunto":"limitreport-timeusage":"value":"0.223","limit":"10.000","limitreport-memusage":"value":4420730,"limit":52428800,"limitreport-logs":"14n","cachereport":"origin":"mw1331","timestamp":"20190903154019","ttl":2592000,"transientcontent":false););"@context":"https://schema.org","@type":"Article","name":"uc778uc704uc640 uacfcuc704","url":"https://ko.wikipedia.org/wiki/%EC%9D%B8%EC%9C%84%EC%99%80_%EA%B3%BC%EC%9C%84","sameAs":"http://www.wikidata.org/entity/Q12613417","mainEntity":"http://www.wikidata.org/entity/Q12613417","author":"@type":"Organization","name":"uc704ud0a4ubbf8ub514uc5b4 ud504ub85cuc81dud2b8 uae30uc5ecuc790","publisher":"@type":"Organization","name":"Wikimedia Foundation, Inc.","logo":"@type":"ImageObject","url":"https://www.wikimedia.org/static/images/wmf-hor-googpub.png","datePublished":"2013-04-06T06:54:04Z","dateModified":"2019-04-18T21:19:18Z","image":"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e/e8/DharmaWheelGIF.gif"(RLQ=window.RLQ||[]).push(function()mw.config.set("wgBackendResponseTime":112,"wgHostname":"mw1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