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항성 질량 목차 속성 범위 질량 변화 참고 문헌 둘러보기 메뉴2005ApJ...630L..69Lastro-ph/050752310.1086/462419“The Behemoth Eta Carinae: A Repeat Offender”《NASA's Hubble Weighs in on the Heaviest Stars in the Galaxy》《Stars Just Got Bigger》"Mystery of the 'Monster Stars' Solved: It Was a Monster Mash"《Ferreting Out The First Stars》《Weighing the Smallest Stars》《Are They Planets or What?》원본 문서《Mass cut-off between stars and brown dwarfs revealed》원본 문서《Hubble glimpses faintest stars》2008MNRAS.386..155S0801.403110.1111/j.1365-2966.2008.13022.xeh

항성 형성전주계열성주계열성수평거성점근거성끌어올림불안정띠레드클럼프행성상성운원시 행성계 원반밝은 청색변광성볼프-레이에별신성의사 초신성초신성극초신성색등급도준왜성B형왜성청색주황색적색황색준거성거성청색적색밝은 거성초거성청색적색황색극대거성황색청색 낙오성껍질별특이별Ap/Bp 별바륨별탄소별CH 별수은-망가니즈 별Am 별S형 별테크네튬 별변광성불규칙반규칙오리온쿼크별프레온 별Q별퍼즈볼보손 별그라바스타암흑 에너지 별검은 별약전자기별자기권 연속적 붕괴 천체암흑물질성갈색왜성준갈색왜성떠돌이 행성알파 반응삼중 알파 과정양성자-양성자 연쇄 반응헬륨섬광CNO 순환탄소 연소 과정네온 연소 과정산소 연소 과정규소 연소 과정S-과정R-과정별자리별질량이 큰 별질량이 작은 별반지름이 큰 별밝게 보이는 별광도가 큰 별가까운 별갈색왜성항성 천문학 연대표항성목록헨리 드레이퍼 목록히파르코스 목록


항성천문학항성


항성질량태양질량시리우스항성풍점근거성가지백색 왜성초신성블랙홀주계열밀집성용골자리 에타아치스 성단에딩턴 광도R136a1빅 뱅리튬황새치자리 AB갈색 왜성가스 행성M적색거성적색거성가지의 첨단부점근거성가지행성상성운












항성 질량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항성 질량은 천문학자들이 어떤 항성의 질량을 표시할 때 쓰는 용어이다. 보통 ‘태양질량(M)의 몇 배’ 형식으로 표시하는데, 예를 들면 시리우스의 질량은 2.02 M으로 표시한다.[1] 어떤 항성의 질량은 생애주기동안 고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외부적, 내부적 원인에 따라 변한다. 예를 들면 짝별로부터 물질을 흡수하면 질량은 늘어나며, 항성풍이나 맥동으로 물질을 뿜어내면 질량은 줄어든다.




목차





  • 1 속성


  • 2 범위


  • 3 질량 변화


  • 4 참고 문헌




속성


항성은 보통 태어났을 때의 질량에 따라 그 운명이 결정되므로 질량 정도에 기준하여 항성의 종류를 나눈다. 태양질량 0.5배 이하의 별은 ‘질량이 매우 작은 별’로 점근거성가지(AGB) 단계를 거치지 않고 곧장 백색 왜성이 된다. ‘질량이 작은 별’은 태양 질량 1.8~2.2배(구성물질이 다르기 때문에 명확한 경계가 없다.)보다 작은 항성들로 점근거성가지 단계에 들어가며 여기서 축퇴하는 헬륨핵을 만든다. ‘중간질량 항성’은 태양질량의 7~10배 이하 항성들로, 헬륨융합 작용으로 축퇴하는 탄소-산소 핵을 만든다. ‘무거운 항성’은 최소 태양질량의 5~6배, 크게는 7~10배 이상의 항성으로 이런 별은 탄소 융합작용을 거쳐 중심핵이 붕괴된 뒤 초신성 폭발로 생을 끝마친다.[2] 이런 거대한 천체는 죽은 뒤에 중심부에 항성질량 블랙홀을 남긴다.


항성의 반지름과 질량으로부터 표면중력이 결정된다. 거대한 별 표면의 중력은 주계열 단계 항성에 비해 매우 작으며 반대로 백색왜성 등 밀집성은 주계열성보다 막대하게 표면중력이 크다. 표면중력은 항성의 스펙트럼에 영향을 끼치며, 중력이 높을수록 흡수선의 폭은 넓어진다.[3]



범위


용골자리 에타는 지금까지 발견된 천체 중 아주 무거운 집단에 속하는 별로, 질량은 대충 태양의 100~150배로 추측된다.[4] 에타별의 생애는 매우 짧아 수백만 년에 불과하다. 아치스 성단에 대한 연구결과에 따르면 현시대 우주에서 항성이 지니는 질량상한은 태양의 150배라고 한다.[5] 한계수치가 왜 이 값인지의 원인은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다만 어떤 별이 가스를 우주로 날려버리지 않으면서 가장 밝게 빛날 수 있는 한계를 에딩턴 광도로 표시하는데 이 법칙이 한계질량에 대해 일부 해답을 주고 있다. 다만 성단 RMC 136a에 있는 R136a1의 질량이 태양의 265배임이 최근 밝혀져 에딩턴 한계의 신빙성에 의문을 던졌다.[6] 여기에 대해 한 연구에 따르면 RMC 136a 내 질량 150배보다 큰 천체는 한계질량 가까운 쌍성 두 개가 합쳐져 생긴 것이라 하여, 기존의 질량이론이 여전히 유효하다고 주장했다.[7]


빅 뱅 이후 처음 탄생한 태초의 항성 질량은 지금보다 훨씬 커 최대 태양의 300배 이상이었으리라 추측되는데,[8] 그 이유는 리튬보다 무거운 원소가 당시 항성에는 없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질량이 무거운만큼 이 별들(항성종족 III)은 빠르게 죽었고 지금은 단지 이론상의 천체일 뿐이다.


반대로 황새치자리 AB A의 짝별 황새치자리 AB C의 질량은 목성의 93배에 불과한데 이는 중심핵에서 수소를 태우는 주계열 별 중 가장 가벼운 값이다.[9] 항성의 중원소함량이 태양과 비슷할 경우 가질 수 있는 최솟값은 대략 목성의 75배 정도이다.[10][11] 그러나 항성에 있는 중원소의 양이 극도로 적을 경우 최솟값은 좀 더 올라가서 태양의 8.3% 또는 목성의 87배 정도가 된다.[11][12] 이보다 작은 천체를 갈색 왜성이라고 하며, 가스 행성과 항성 사이의 회색지대를 차지한다.



질량 변화


지금도 태양은 전자기 에너지를 태양풍 형태 물질로 우주공간에 뿜으면서 질량을 조금씩 잃고 있다. 그 비율은 매년 약 2~3×10^-14M이다.[13] 태양이 적색거성 단계에 들어서면 물질은 더욱 빠른 속도로 태양을 탈출할 것이며 그 속도는 진화단계가 적색거성가지의 첨단부에 이를 때 1년에 7~9×10^−14M이 될 것이며, 점근거성가지 단계에서는 10−6M까지 올라가고, 태양이 죽음을 맞아 행성상성운이 되었을 때에는 10−5 ~ 10−4M으로 가장 빠른 속도로 질량을 우주에 뿌릴 것이다. 이렇게 태양이 백색 왜성이 되기 전까지 우주에 내보내는 질량은 초기질량의 46%에 이른다.[14]



참고 문헌




  1. Liebert, J.; 외. (2005), “The Age and Progenitor Mass of Sirius B”, 《The Astrophysical Journal》 630 (1): L69–L72, Bibcode:2005ApJ...630L..69L, arXiv:astro-ph/0507523, doi:10.1086/462419. 


  2. Kwok, Sun (2000), 《The origin and evolution of planetary nebulae》, Cambridge astrophysics series 33, Cambridge University Press, 103–104쪽, ISBN 0-521-62313-8. 


  3. Unsöld, Albrecht (2001), 《The New Cosmos》 5판, New York: Springer, 180–185, 215–216쪽, ISBN 3540678778. 


  4. Smith, Nathan (1998), “The Behemoth Eta Carinae: A Repeat Offender”, 《Mercury Magazine》 (Astronomical Society of the Pacific) 27: 20, 2006년 8월 13일에 확인함. 


  5. 《NASA's Hubble Weighs in on the Heaviest Stars in the Galaxy》, NASA News, 2005년 3월 3일, 2006년 8월 4일에 확인함. 


  6. 《Stars Just Got Bigger》, European Southern Observatory, 2010년 7월 21일, 2010년 7월 24일에 확인함. 


  7. LiveScience.com, "Mystery of the 'Monster Stars' Solved: It Was a Monster Mash", Natalie Wolchover, 2012-08-07


  8. 《Ferreting Out The First Stars》, Harvard-Smithsonian Center for Astrophysics, 2005년 9월 22일, 2006년 9월 5일에 확인함. 


  9. 《Weighing the Smallest Stars》, ESO, 2005년 1월 1일, 2006년 8월 13일에 확인함. 


  10. Boss, Alan (2001년 4월 3일), 《Are They Planets or What?》, Carnegie Institution of Washington, 2006년 9월 2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6년 6월 8일에 확인함. 


  11. Shiga, David (2006년 8월 17일), 《Mass cut-off between stars and brown dwarfs revealed》, New Scientist, 2006년 11월 1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6년 8월 23일에 확인함. 


  12. 《Hubble glimpses faintest stars》, BBC, 2006년 8월 18일, 2006년 8월 22일에 확인함. 


  13. Carroll, Bradley W.; Ostlie, Dale A. (1995), 《An Introduction to Modern Astrophysics》 revis 2판, Benjamin Cummings, 409쪽, ISBN 0201547309. 


  14. Schröder, K.-P.; Connon Smith, Robert (2008), “Distant future of the Sun and Earth revisited”,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386 (1): 155–163, Bibcode:2008MNRAS.386..155S, arXiv:0801.4031, doi:10.1111/j.1365-2966.2008.13022.x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항성_질량&oldid=16066010"










둘러보기 메뉴

























(RLQ=window.RLQ||[]).push(function()mw.config.set("wgPageParseReport":"limitreport":"cputime":"0.236","walltime":"0.295","ppvisitednodes":"value":908,"limit":1000000,"ppgeneratednodes":"value":0,"limit":1500000,"postexpandincludesize":"value":47419,"limit":2097152,"templateargumentsize":"value":526,"limit":2097152,"expansiondepth":"value":7,"limit":40,"expensivefunctioncount":"value":0,"limit":500,"unstrip-depth":"value":0,"limit":20,"unstrip-size":"value":16113,"limit":5000000,"entityaccesscount":"value":0,"limit":400,"timingprofile":["100.00% 234.901 1 -total"," 75.59% 177.566 1 틀:각주"," 57.20% 134.371 13 틀:인용"," 8.78% 20.625 1 틀:항성"," 7.04% 16.534 1 틀:둘러보기_상자"," 1.41% 3.313 6 틀:태양질량"," 1.27% 2.990 1 틀:일반_기타"," 1.18% 2.768 2 틀:E"],"scribunto":"limitreport-timeusage":"value":"0.093","limit":"10.000","limitreport-memusage":"value":3069078,"limit":52428800,"cachereport":"origin":"mw1271","timestamp":"20190717211308","ttl":2592000,"transientcontent":false););"@context":"https://schema.org","@type":"Article","name":"ud56duc131 uc9c8ub7c9","url":"https://ko.wikipedia.org/wiki/%ED%95%AD%EC%84%B1_%EC%A7%88%EB%9F%89","sameAs":"http://www.wikidata.org/entity/Q3079618","mainEntity":"http://www.wikidata.org/entity/Q3079618","author":"@type":"Organization","name":"uc704ud0a4ubbf8ub514uc5b4 ud504ub85cuc81dud2b8 uae30uc5ecuc790","publisher":"@type":"Organization","name":"Wikimedia Foundation, Inc.","logo":"@type":"ImageObject","url":"https://www.wikimedia.org/static/images/wmf-hor-googpub.png","datePublished":"2014-12-16T05:15:43Z","dateModified":"2016-03-24T13:38:19Z"(RLQ=window.RLQ||[]).push(function()mw.config.set("wgBackendResponseTime":110,"wgHostname":"mw1243"););

Popular posts from this blog

Kamusi Yaliyomo Aina za kamusi | Muundo wa kamusi | Faida za kamusi | Dhima ya picha katika kamusi | Marejeo | Tazama pia | Viungo vya nje | UrambazajiKuhusu kamusiGo-SwahiliWiki-KamusiKamusi ya Kiswahili na Kiingerezakuihariri na kuongeza habari

SQL error code 1064 with creating Laravel foreign keysForeign key constraints: When to use ON UPDATE and ON DELETEDropping column with foreign key Laravel error: General error: 1025 Error on renameLaravel SQL Can't create tableLaravel Migration foreign key errorLaravel php artisan migrate:refresh giving a syntax errorSQLSTATE[42S01]: Base table or view already exists or Base table or view already exists: 1050 Tableerror in migrating laravel file to xampp serverSyntax error or access violation: 1064:syntax to use near 'unsigned not null, modelName varchar(191) not null, title varchar(191) not nLaravel cannot create new table field in mysqlLaravel 5.7:Last migration creates table but is not registered in the migration table

은진 송씨 목차 역사 본관 분파 인물 조선 왕실과의 인척 관계 집성촌 항렬자 인구 같이 보기 각주 둘러보기 메뉴은진 송씨세종실록 149권, 지리지 충청도 공주목 은진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