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겉보기등급 목차 식 겉보기등급 표 각주 같이 보기 둘러보기 메뉴“The Stellar Magnitude System”“Vmag<6.5”“Magnitude”원본 문서“Sun Fact Sheet”보존된 문서《Introduction to Astrophysics: The Stars》“Moon Fact Sheet”보존된 문서“Brightest comets seen since 1935”2003ApJ...585..324Wastro-ph/020841510.1086/345985“Supernova 1054 – Creation of the Crab Nebula”“ISS Information - Heavens-above.com”2018A&C....25...10M10.1016/j.ascom.2018.08.002“Sirius”“Canopus”“Arcturus”“Vega”“SIMBAD-M31”“Horizon Online Ephemeris System for Ganymede (Major Body 503)”“M41 possibly recorded by Aristotle”“SIMBAD-M33”“M33 (Triangulum Galaxy)”“Messier 81”“The Bortle Dark-Sky Scale”“Horizon Online Ephemeris System for Titan (Major Body 606)”(8.10 on 2003-Dec-30)Archived“Classic Satellites of the Solar System”원본 문서“Planetary Satellite Physical Parameters”보존된 문서“AstDys (10) Hygiea Ephemerides”“Limiting Magnitude in Binoculars”“Pluto Fact Sheet”보존된 문서“AstDys (2060) Chiron Ephemerides”“AstDys (136472) Makemake Ephemerides”“AstDys (136108) Haumea Ephemerides”“17 New Asteroids Found by LightBuckets”원본 문서“Saturn's Known Satellites”What is the faintest object imaged by ground-based telescopes?“New Image of Comet Halley in the Cold”보존된 문서The HST eXtreme Deep Field XDF: Combining all ACS and WFC3/IR Data on the HUDF Region into the Deepest Field Ever“NASA – Hubble Finds Smallest Kuiper Belt Object Ever Seen”eh

항성 형성전주계열성주계열성수평거성점근거성끌어올림불안정띠레드클럼프행성상성운원시 행성계 원반밝은 청색변광성볼프-레이에별신성의사 초신성초신성극초신성색등급도준왜성B형왜성청색주황색적색황색준거성거성청색적색밝은 거성초거성청색적색황색극대거성황색청색 낙오성껍질별특이별Ap/Bp 별바륨별탄소별CH 별수은-망가니즈 별Am 별S형 별테크네튬 별변광성불규칙반규칙오리온쿼크별프레온 별Q별퍼즈볼보손 별그라바스타암흑 에너지 별검은 별약전자기별자기권 연속적 붕괴 천체암흑물질성갈색왜성준갈색왜성떠돌이 행성알파 반응삼중 알파 과정양성자-양성자 연쇄 반응헬륨섬광CNO 순환탄소 연소 과정네온 연소 과정산소 연소 과정규소 연소 과정S-과정R-과정별자리별질량이 큰 별질량이 작은 별반지름이 큰 별밝게 보이는 별광도가 큰 별가까운 별갈색왜성항성 천문학 연대표항성목록헨리 드레이퍼 목록히파르코스 목록


관측천문학


별단위히파르코스눈노먼 포그슨천문학절대등급파섹광년태양망원경사진건판CMOS 이미지 센서전하결합소자상용로그












겉보기등급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소행성 Cybele와 (절대등급 11.6)과 HD 217121 (절대등급 8.7)과 HD 216932 (절대등급 9.1)의 절대등급을 비교했다.두 항성은 50mm이상의 쌍안경으로 보인다. 이 사진 오른쪽 위 HD216932 주위에 은하 PGC 194570과 PGC 101645가 보인다.


겉보기등급 또는 실시등급(實視等級)은 별의 밝기를 측정하는 단위이다. 천문학자 히파르코스가 눈으로 보았을 때 가장 밝은 별을 1등급, 가장 어두운 별을 6등급으로 해서 구분한 것이 시초이다. 그리고 19세기에 이르러 영국의 노먼 포그슨이 빛 측정장치를 이용하여 1등급 별의 밝기는 6등급 별의 밝기의 약 100배임을 밝혀냈다. 이를 근거로 현대 천문학에서는 6등급을 1등급보다 100배 어두운 별로 정의한다. 즉, 1등급 별보다 2등급 별은 1001/5 = 약 2.512배 어둡다.


절대등급은 항성의 본래의 밝기이며, 지구로부터 10파섹(약 32.6광년)의 거리에 두었다고 가정했을 때의 밝기이다. 예를 들면 태양의 절대등급은 4.8등급이고, 겉보기등급은 ―26.8등급이다.


안시등급(眼視等級)은 맨 눈으로 보았을 때의 등급이며, 겉보기등급은 맨 눈, 망원경, 사진건판, CMOS 이미지 센서, 전하결합소자등을 포함하여 보았을 때 등급이다.[1]




목차





  • 1

    • 1.1 겉보기등급과 절대등급


    • 1.2 두 별의 밝기 차이


    • 1.3 예시: 태양과 달



  • 2 겉보기등급 표


  • 3 각주


  • 4 같이 보기



















































안시 유무[2]겉보기 등급

베가와
밝기 비교
밤에 겉보기등급보다
밝은 별 개수[3]

−1.0251%1 (시리우스)

00.0
100%4

01.0
40%15

02.0
16%48

03.0
6.3%171

04.0
2.5%513

05.0
1.0%
7003160200000000000♠1602

06.0
0.4%
7003480000000000000♠4800

06.5
0.25%
7003910000000000000♠9100[4]
아니오

07.0
0.16%
7004140000000000000♠14000

08.0
0.063%
7004420000000000000♠42000

09.0
0.025%
7005121000000000000♠121000
10.00.010%
7005340000000000000♠340000


겉보기등급과 절대등급


지구로부터 ddisplaystyle d 파섹의 거리에 있는 천체의 겉보기 등급 mdisplaystyle m 와 절대등급 Mdisplaystyle M 의 사이에는


M=m−5(log10⁡d−1)displaystyle M=m-5(log _10d-1)!,
d=10m−M+55displaystyle d=10^frac m-M+55

의 관계가 있다.[5]



두 별의 밝기 차이


두 별의 밝기 차이에는


mx=−5log100⁡(FxFx,0),displaystyle m_x=-5log _100left(frac F_xF_x,0right),

의 관계가 있다. 이 식을 상용로그로 바꾼 다면,


mx=−2.5log10⁡(FxFx,0),displaystyle m_x=-2.5log _10left(frac F_xF_x,0right),

로 나타낼 수 있다. 식을 정리하면


F2F1=100Δm5=100.4Δm≈2.512Δm.displaystyle frac F_2F_1=100^frac Delta m5=10^0.4Delta mapprox 2.512^Delta m.

로 나타낼 수 있다.



예시: 태양과 달


태양은 보름달의 밝기의 몇 배 밝은 것인가?


태양(밝은 천체)의 겉보기 등급은 −26.74 이다. 보름달(어두운 천체)의 평균 등급은 −12.74이다.


밝기 차이


x=m1−m2=(−12.74)−(−26.74)=14.00.displaystyle x=m_1-m_2=(-12.74)-(-26.74)=14.00.

밝기 양


vb=100.4x=100.4×14.00≈398107.17.displaystyle v_b=10^0.4x=10^0.4times 14.00approx 398,107.17.

태양은 보름달 보다 7005400000000000000♠400000배 밝다.



겉보기등급 표

























































































































































































































































































































































































































밝기
천체
기준점
비고
−67.57
감마선 폭발 GRB 080319B
1 AU
−44.00R136a11 AU
−40.07전갈자리 제타11 AU
−40.98카시오페이아자리 로1 AU
−38.00리겔1 AU35 ° 시지름의 커다랗고 밝은 청색의 원반으로 보일 것이다.
−30.30
시리우스 A
1 AU
−29.30태양근일점의 수성

−27.40태양근일점의 금성

−26.74태양
지구[6]

보름달 보다 400,000배 밝다.
−25.60태양원일점의 화성

−25.00
일반적인 눈에 약간의 통증을 일으키는 최소 밝기.
−23.00태양원일점의 목성

−21.70태양원일점의 토성

−20.20태양원일점의 천왕성

−19.30태양해왕성
−18.20태양원일점의 명왕성

−16.70태양원일점의 에리스

−14.2
1 럭스의 밝기[7][8]
−12.90보름달근일점의 지구근지점+근일점 보름달의 최대 밝기 (평균 거리 등급은 −12.74다.[9]시라이거 효과를 포함한다면, 두 값 모두 0.18 더 밝아질것이다.)
−11.20태양원일점의 세드나

−10이케야-세키 혜성지구지난 1천 년간 가장 밝은 크로이츠 혜성군에 속한다. (1965년)[10]
−9.50이리듐 인공위성 플레어지구최대 밝기
−7.50초신성 1006지구역사에 기록된 가장 밝은 초신성 폭발 사건. (7200 광년의 거리)[11]
−6.50밤하늘의 전체 통합 등급지구
−6.00초신성 1054지구6500 광년의 거리[12]
−5.9국제우주정거장근지점의 지구완전히 태양에 의해 반사 될 경우[13]
−4.92금성지구초승달 모양의 금성일 경우 (최대 밝기)[14]
−4.14금성지구평균 밝기[14]
−4.00

낮 시간 중 맨눈으로 간신히 보이는 별
−3.99
아다라지구역사상 가장 밝은 별인 약 470만 년 전 최대 밝기. 앞으로 500만 년안에 더 밝은 별은 지구 근처에 나타나지 않을 것이다. (지구와 34광년 거리)
−2.98
금성지구합 일 경우, 최소 밝기[14]
−2.94
목성지구최대 밝기[14]
−2.94
화성지구최대 밝기[14]
−2.50

태양이 지평선보다 10 ° 아래에 있을 때 육안으로 보이는 희미한 천체
−2.50
신월지구최소 밝기
−2.48
수성지구외합 일 경우, 최대 밝기[14]
−2.20
목성지구평균 밝기[14]
−1.66
목성지구최소 밝기[14]
−1.47
시리우스지구
가시광선으로 본 태양을 제외하고 가장 밝은 별.[15]
−0.83
용골자리 에타지구1843년 3월 11일, 14일 당시
−0.72
카노푸스지구두번째로 밝은 별.[16]
−0.55
토성지구
고리가 전부 펼쳐지고, 충과 근일점의 최대 밝기 (2003년)
−0.3
핼리 혜성지구2061년 근접할 시, 예측
−0.27
센타우루스자리 알파지구항성계이며, 전체 밝기 (세번째로 밝은 별)
−0.04
아크투루스지구네번째로 밝은 별[17]
−0.01

센타우루스자리 알파 A
지구
망원경으로 봤을 경우, 네번째로 밝은 개개의 별
+0.03
베가지구밝기의 기준[18]
+0.23
수성지구평균 밝기[14]
+0.46
토성지구평균 밝기[14]
+0.50
태양센타우루스자리 알파
1.17
토성지구최소 밝기[14]
1.86
화성지구최소 밝기[14]
3.03
초신성 1987A지구
3 ~ 4

육안으로 도시 인근에서 간신히 보이는 별
3.44
안드로메다 은하지구M31[19]
4
오리온 성운지구M42
4.38
가니메데지구최대 밝기[20]
4.50
메시에 41지구[21]
4.5
궁수자리 왜소타원은하지구최대 밝기
5.20
4 베스타지구최대 밝기
5.38
천왕성지구최대 밝기[14]
5.68
천왕성지구평균 밝기[14]
5.72
삼각형자리 은하지구광공해가 없는 매우 어두운 하늘 일 경우 볼 수 있다.[22][23]
5.8

감마선 폭발 GRB 080319B
지구2008년 3월 19일의 최대 밝기, 75억 광년 거리 (the "Clarke Event")
6.03
천왕성지구최소 밝기[14]
6.49
2 팔라스지구최대 밝기
6.50

좋은 환경에서 육안으로 간신히 보이는 별. 6.5등급 까지 약 9,500개의 별이 있다.[2]
6.64
세레스지구최대 밝기
6.75
7 이리스지구최대 밝기
6.90
보데 은하지구육안으로 볼 수 있는 극한의 한계와 보틀 등급의 한계다.[24]
7 ~ 8

육안으로 볼 수 있는 극한의 한계 등급, 보틀 등급의 1급, 완전 검은 하늘의 지구[25]
7.25
수성지구최소 밝기[14]
7.67
해왕성지구최대 밝기[14]
7.78
해왕성지구평균 밝기[14]
8.00
해왕성지구최소 밝기[14]
8.10
타이탄지구최대 밝기[26][27], 평균 충 등급은 8.4다[28]
8.29
방패자리 UY지구최대 밝기, 반지름의 가장 큰 별로 알려짐
8.94
10 히기에이아지구최대 밝기[29]
9.50
일반적인 조건에서 일반 7 × 50 쌍안경을 사용하여 보이는 가장 희미한 천체[30]
10.20이아페투스지구최대 밝기[27], (토성의 서쪽의 있을 때 가장 밝다.)
10.7루만 16지구가장 가까운 갈색왜성
11.05센타우루스자리 프록시마지구두번쨰로 가까운 별
11.8포보스지구최대 밝기, 화성의 위성
12.23R136a1지구가장 밝은 별과 무거운 별로 알려짐
12.89데이모스지구최대 밝기, 화성의 위성
12.91
퀘이사 3C 273
지구밝은 퀘이사
13.42트리톤지구최대 밝기[28]
13.65명왕성지구최대 밝기[31], 6.5등급보다 725배 희미하다
14.1WR 102지구가장 뜨거운 별
15.402060 키론지구최대 밝기[32]
15.55카론지구최대 밝기
16.80마케마케지구현재 충 밝기[33]
17.27하우메아지구현재 충 밝기[34]
18.70에리스지구현재 충 밝기
20.70칼리로에지구목성의 ~ 8km 작은 위성[28]
22.00
CCD 검출기를 사용하여 24 인치 (600mm) 리치-크레티앙 망원경으로 가시광선을 볼 수 있는 가장 희미한 천체. 그 천체는 30분을 각각 300 초에 6 개의 서브 프레임으로 누적한 사진이다.[35]
22.91히드라지구최대 밝기
23.38닉스지구최대 밝기
25.00펜리르지구토성의 ~ 4km 작은 위성[36]
27.60목성지구만약 목성이 태양으로부터 5,000 AU에 있다면[37]
27.70
스바루 망원경같이 8 미터 지름의 지상 망원경과 10시간 노출 할 경우 가장 어두운 별[38]
28.20핼리 혜성지구태양으로부터 28AU 거리, 2003년[39]
28.4소행성 2003 BH91지구2003년에 허블 우주망원경이 발견한 카이퍼 대 ≈15 킬로미터의 가장 희미한 소행성
31.50
허블 우주 망원경으로 보이는 가장 어두운 별 (가시광선)[40]
34
제임스 웨브 우주망원경으로 보이는 가장 어두운 별 (가시광선)[41]
35.00이름 미정의 소행성지구가장 희미한 소행성으로 예상, 2009년에 허블 우주망원경이 발견한 카이퍼 벨트의 950 미터의 엄폐한 소행성[42]
35.00LBV 1806-20지구이 별과 지구 사이 우주 공간에 있는 성간매질이 가시광선을 차단하기 때문에 등급이 낮다.



각주




  1. MacRobert, A. (2006년 8월 1일). “The Stellar Magnitude System”. 《Sky and Telescope》. 2019년 5월 21일에 확인함. 


  2. “Vmag<6.5”. SIMBAD Astronomical Database. 2010년 6월 25일에 확인함. 


  3. “Magnitude”. National Solar Observatory—Sacramento Peak. 2008년 2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6년 8월 23일에 확인함. 


  4. 밝은 별 목록


  5. 김대규; 김성진; 문연호; 박정일; 배미정; 이진우; 최승규; 한인옥 (2011). 《HIGH TOP 고등학교 과학》 1판. 두산동아. 8쪽. 


  6. Williams, David R. (2004년 9월 1일). “Sun Fact Sheet”. NASA (National Space Science Data Center). 2010년 7월 15일에 보존된 문서. 2010년 7월 3일에 확인함. 


  7. Dufay, Jean. 《Introduction to Astrophysics: The Stars》. 3쪽. 


  8. McLean, Ian S. (2008). 《Electronic Imaging in Astronomy: Detectors and Instrumentation》. Springer. 529쪽. ISBN 3-540-76582-4. 


  9. Williams, David R. (2010년 2월 2일). “Moon Fact Sheet”. NASA (National Space Science Data Center). 2010년 3월 23일에 보존된 문서. 2010년 4월 9일에 확인함. 


  10. “Brightest comets seen since 1935”. International Comet Quarterly. 2011년 12월 18일에 확인함. 


  11. Winkler, P. Frank; Gupta, Gaurav; Long, Knox S. (2003). “The SN 1006 Remnant: Optical Proper Motions, Deep Imaging, Distance, and Brightness at Maximum”. 《천체물리학 저널》 585: 324–335. Bibcode:2003ApJ...585..324W. arXiv:astro-ph/0208415. doi:10.1086/345985. 


  12. “Supernova 1054 – Creation of the Crab Nebula”. 《SEDS》. 


  13. “ISS Information - Heavens-above.com”. Heavens-above. 2007년 12월 22일에 확인함. 


  14. Mallama, A.; Hilton, J.L. (2018). “Computing Apparent Planetary Magnitudes for The Astronomical Almanac”. 《Astronomy and Computing》 25: 10–24. Bibcode:2018A&C....25...10M. doi:10.1016/j.ascom.2018.08.002. 


  15. “Sirius”. SIMBAD Astronomical Database. 2010년 6월 26일에 확인함. 


  16. “Canopus”. SIMBAD Astronomical Database. 2010년 6월 26일에 확인함. 


  17. “Arcturus”. SIMBAD Astronomical Database. 2010년 6월 26일에 확인함. 


  18. “Vega”. SIMBAD Astronomical Database. 2010년 4월 14일에 확인함. 


  19. “SIMBAD-M31”. SIMBAD Astronomical Database. 2009년 11월 29일에 확인함. 


  20. Yeomans; Chamberlin. “Horizon Online Ephemeris System for Ganymede (Major Body 503)”.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Jet Propulsion Laboratory. 2010년 4월 14일에 확인함.  (4.38 on 1951-Oct-03)


  21. “M41 possibly recorded by Aristotle”. SEDS (Students for the Exploration and Development of Space). 2006년 7월 28일. 2009년 11월 29일에 확인함. 


  22. “SIMBAD-M33”. SIMBAD Astronomical Database. 2009년 11월 28일에 확인함. 


  23. Lodriguss, Jerry (1993). “M33 (Triangulum Galaxy)”. 2009년 11월 27일에 확인함.  (Shows bolometric magnitude not visual magnitude.)


  24. “Messier 81”. SEDS (Students for the Exploration and Development of Space). 2007년 9월 2일. 2009년 11월 28일에 확인함. 


  25. John E. Bortle (February 2001). “The Bortle Dark-Sky Scale”. Sky & Telescope. 2009년 11월 18일에 확인함. 


  26. Yeomans; Chamberlin. “Horizon Online Ephemeris System for Titan (Major Body 606)”.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Jet Propulsion Laboratory. 2010년 6월 28일에 확인함.  (8.10 on 2003-Dec-30) Archived November 13, 2012, - 웨이백 머신.


  27. “Classic Satellites of the Solar System”. Observatorio ARVAL. 2010년 7월 3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6월 25일에 확인함. 


  28. “Planetary Satellite Physical Parameters”. JPL (Solar System Dynamics). 2009년 4월 3일. 2009년 7월 23일에 보존된 문서. 2009년 7월 25일에 확인함. 


  29. “AstDys (10) Hygiea Ephemerides”. Department of Mathematics, University of Pisa, Italy. 2010년 6월 26일에 확인함. 


  30. Zarenski, Ed (2004). “Limiting Magnitude in Binoculars” (PDF). Cloudy Nights. 2011년 5월 6일에 확인함. 


  31. Williams, David R. (2006년 9월 7일). “Pluto Fact Sheet”. 《National Space Science Data Center》. NASA. 2010년 7월 1일에 보존된 문서. 2010년 6월 26일에 확인함. 


  32. “AstDys (2060) Chiron Ephemerides”. Department of Mathematics, University of Pisa, Italy. 2010년 6월 26일에 확인함. 


  33. “AstDys (136472) Makemake Ephemerides”. Department of Mathematics, University of Pisa, Italy. 2010년 6월 26일에 확인함. 


  34. “AstDys (136108) Haumea Ephemerides”. Department of Mathematics, University of Pisa, Italy. 2010년 6월 26일에 확인함. 


  35. Steve Cullen (sgcullen) (2009년 10월 5일). “17 New Asteroids Found by LightBuckets”. LightBuckets. 2010년 1월 3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11월 15일에 확인함. 


  36. Sheppard, Scott S. “Saturn's Known Satellites”. Carnegie Institution (Department of Terrestrial Magnetism). 2010년 6월 28일에 확인함. 


  37. Magnitude difference is 2.512 log10[(5000/5)2 × (4999/4)2] ≈ 30.6, so Jupiter is 30.6 magnitudes fainter at 5000 AU


  38. What is the faintest object imaged by ground-based telescopes?, by: The Editors of Sky Telescope, July 24, 2006


  39. “New Image of Comet Halley in the Cold”. ESO. 2003년 9월 1일. 2009년 3월 1일에 보존된 문서. 2009년 2월 22일에 확인함. 


  40. The HST eXtreme Deep Field XDF: Combining all ACS and WFC3/IR Data on the HUDF Region into the Deepest Field Ever


  41. http://www.jaymaron.com/telescopes/telescopes.html (retrieved Sep 14 2017)


  42. “NASA – Hubble Finds Smallest Kuiper Belt Object Ever Seen”. 《www.nasa.gov》 (영어). NASA. 2018년 3월 16일에 확인함. 





같이 보기


  • 절대등급

  • 겉보기등급 순 항성 목록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겉보기등급&oldid=24362842"










둘러보기 메뉴

























(RLQ=window.RLQ||[]).push(function()mw.config.set("wgPageParseReport":"limitreport":"cputime":"0.496","walltime":"0.591","ppvisitednodes":"value":2295,"limit":1000000,"ppgeneratednodes":"value":0,"limit":1500000,"postexpandincludesize":"value":87263,"limit":2097152,"templateargumentsize":"value":940,"limit":2097152,"expansiondepth":"value":8,"limit":40,"expensivefunctioncount":"value":0,"limit":500,"unstrip-depth":"value":0,"limit":20,"unstrip-size":"value":48888,"limit":5000000,"entityaccesscount":"value":0,"limit":400,"timingprofile":["100.00% 427.233 1 -total"," 71.29% 304.561 1 틀:각주"," 40.58% 173.389 31 틀:웹_인용"," 13.90% 59.402 8 틀:Val"," 5.09% 21.731 3 틀:서적_인용"," 4.36% 18.640 2 틀:저널_인용"," 4.17% 17.811 1 틀:항성"," 3.37% 14.417 1 틀:둘러보기_상자"," 2.42% 10.339 1 틀:뉴스_인용"," 2.07% 8.857 1 틀:Webarchive"],"scribunto":"limitreport-timeusage":"value":"0.215","limit":"10.000","limitreport-memusage":"value":6563036,"limit":52428800,"cachereport":"origin":"mw1333","timestamp":"20190717135541","ttl":2592000,"transientcontent":false););"@context":"https://schema.org","@type":"Article","name":"uac89ubcf4uae30ub4f1uae09","url":"https://ko.wikipedia.org/wiki/%EA%B2%89%EB%B3%B4%EA%B8%B0%EB%93%B1%EA%B8%89","sameAs":"http://www.wikidata.org/entity/Q124313","mainEntity":"http://www.wikidata.org/entity/Q124313","author":"@type":"Organization","name":"uc704ud0a4ubbf8ub514uc5b4 ud504ub85cuc81dud2b8 uae30uc5ecuc790","publisher":"@type":"Organization","name":"Wikimedia Foundation, Inc.","logo":"@type":"ImageObject","url":"https://www.wikimedia.org/static/images/wmf-hor-googpub.png","datePublished":"2005-06-15T20:04:19Z","dateModified":"2019-06-02T11:10:32Z","image":"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8/87/65Cyb-LB3-apmag.jpg"(RLQ=window.RLQ||[]).push(function()mw.config.set("wgBackendResponseTime":148,"wgHostname":"mw1323"););

Popular posts from this blog

Kamusi Yaliyomo Aina za kamusi | Muundo wa kamusi | Faida za kamusi | Dhima ya picha katika kamusi | Marejeo | Tazama pia | Viungo vya nje | UrambazajiKuhusu kamusiGo-SwahiliWiki-KamusiKamusi ya Kiswahili na Kiingerezakuihariri na kuongeza habari

SQL error code 1064 with creating Laravel foreign keysForeign key constraints: When to use ON UPDATE and ON DELETEDropping column with foreign key Laravel error: General error: 1025 Error on renameLaravel SQL Can't create tableLaravel Migration foreign key errorLaravel php artisan migrate:refresh giving a syntax errorSQLSTATE[42S01]: Base table or view already exists or Base table or view already exists: 1050 Tableerror in migrating laravel file to xampp serverSyntax error or access violation: 1064:syntax to use near 'unsigned not null, modelName varchar(191) not null, title varchar(191) not nLaravel cannot create new table field in mysqlLaravel 5.7:Last migration creates table but is not registered in the migration table

은진 송씨 목차 역사 본관 분파 인물 조선 왕실과의 인척 관계 집성촌 항렬자 인구 같이 보기 각주 둘러보기 메뉴은진 송씨세종실록 149권, 지리지 충청도 공주목 은진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