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해국제공항 목차 군-민 공용 역사 시설 규모 운항제한시간 운항 노선 관련 통계 교통 시설 사건 및 사고 논란 확장 각주 같이 보기 외부 링크 둘러보기 메뉴북위 35° 10′ 46″ 동경 128° 56′ 17″ / 북위 35.17944° 동경 128.93806° / 35.17944; 128.93806www.airport.co.kr한국공항공사 - 공항별 통계Pusan(Busan) Air Base“민간항공 초기시대”원본 문서부산 김해공항, 2016년 1490만 이용… 年20%↑김해공항 슬롯 주중 20회·주말 26회로 확대김해공항 국제선 청사 수용능력 2년 뒤엔 포화김해공항 국제선 증축 완료…승객 포화상태는 여전10년 넘게 끈 신공항 결국 접고 '김해국제공항 확장' 택했다공항별 통계김해공항에서 출입국 수속 마치고 인천에서는 환승만 하세요중국항공기 김해추락사고의 원인은 조종미숙제주항공 502편 활주로 이탈, 10여명 부상과거 내용 찾기부산 對 김해, 국제공항 명칭 놓고 갈등김해국제공항 명칭변경 본회의 상정보류로 일단락김해국제공항김해국제공항김해 신공항eheheheheheh
서울(인천)서울(김포)부산제주광주군산사천여수울산원주포항강릉경부 활주로독도동명목포서산서울(성남)성무속초수색수원예천오산울진전주정석제천중원진해포천평택경전선부산신항선부산-김해 경전철부전-마산선진영역한림정역진례역장유역남해 (10)중앙 (55)남해제2지선 (104)남해제3지선 (105)중앙지선 (551)부산외곽순환 (600)광재김해가야남진례대동대청동김해상동서김해장유진례진영초정한림김해 분기점냉정 분기점대감 분기점대동 분기점진례 분기점진영 분기점14호25호58호60호69호1020호1030호1042호금관대로김해대로동서대로공항로해원로호계로삼랑진교대동화명대교불모산터널창원터널김해 시내버스김해장유진영김해국제공항마이비카드캐시비
대한민국의 공항김해국제공항1940년 설립대한민국 공군의 기지주한 미국 공군의 기지부산광역시의 교통부산 강서구의 건축물김해시의 교통
IATAICAO대한민국부산광역시강서구대저2동국제공항대한민국 공군 제5공중기동비행단아시아나항공에어부산허브 공항인천제주김포대한민국인천국제공항2018년인천일본중화인민공화국중화민국필리핀베트남태국동아시아동남아시아1940년일본부산비행장한국 전쟁1976년대한민국 공군제5공중기동비행단성남서울공항제15특수임무비행단대한민국 공군C-130E-737실미도 부대일제1940년부산광역시해운대구벡스코육군광복1946년미군정김포비행장서울대구1948년10월 30일대한국민항공사(KNA)서울부산한국전쟁1950년8월여의도비행장1953년12월수영비행장광주군산대구제주1957년12월 17일1958년1월 30일수영비행장1963년9월 30일교통부1976년8월부산비행장김해군경상남도김해군1978년2월 15일부산직할시부산광역시1987년센텀시티벡스코1983년5월한국공항공사1993년5월2007년11월2014년대한민국인천국제공항2001년3월김포국제공항미주유럽1994년대한항공호놀룰루델타 항공도쿄2014년3월루프트한자뮌헨미주유럽인천국제공항일본루프트한자뮌헨A340인천국제공항2013년인천공항공사2013년2017년2015년2016년2017년2018년2016년부산광역시2008년10월 27일2016년6월 21일국토교통부영남권 신공항서울특별시부산광역시대구광역시인천광역시광주광역시대전광역시울산광역시세종특별자치시경기도강원도충청북도충청남도전라북도전라남도경상북도경상남도제주특별자치도
김해국제공항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김해국제공항 | ||||||
---|---|---|---|---|---|---|
| ||||||
IATA: PUS – ICAO: RKPK | ||||||
개요 | ||||||
공항종별 | 군-민 공용 | |||||
시간기준 | 한국 표준시 | |||||
운영시간 | 06:00~23:00 | |||||
소유기관 | 대한민국 공군 | |||||
운영기관 | 대한민국 공군 미국 공군 한국공항공사 | |||||
지역 | 부산광역시 경상남도 울산광역시 | |||||
위치 | 부산광역시 강서구 공항진입로 108(대저2동) | |||||
건립시기 | 1976년 | |||||
점유기관 | 5 전술공수비행단 | |||||
해발고도 | 2 m / 6 ft | |||||
좌표 | .mw-parser-output .geo-default,.mw-parser-output .geo-dms,.mw-parser-output .geo-decdisplay:inline.mw-parser-output .geo-nondefault,.mw-parser-output .geo-multi-punctdisplay:none.mw-parser-output .longitude,.mw-parser-output .latitudewhite-space:nowrap 북위 35° 10′ 46″ 동경 128° 56′ 17″ / 북위 35.17944° 동경 128.93806° / 35.17944; 128.93806 | |||||
웹사이트 | ||||||
지도 | ||||||
PUS PUS (대한민국) | ||||||
활주로 | ||||||
방향 | 면적(m*m) | ILS | 표면 | |||
길이 | 폭 | |||||
18R/36L | 3200 | 60 | YES¹ | 콘크리트 | ||
18L/36R | 2743 | 46 | YES¹ | 콘크리트 | ||
통계 (2018) | ||||||
이용 여객 | 17,064,613 명 | |||||
운항 횟수 | 110,924 회 | |||||
처리 화물² | 43,600 톤 | |||||
출처: 한국공항공사 - 공항별 통계 ¹: 남쪽(36L, 36R)만 설치 |
김해국제공항(金海國際空港, Gimhae International Airport, IATA: PUS, ICAO: RKPK)은 대한민국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저2동에 있는 군-민 공용의 국제공항이다. 대한민국 공군 제5공중기동비행단이 주둔하고 있다. 아시아나항공의 자회사인 에어부산이 김해국제공항을 허브 공항으로 이용하고 있다.
이용객 수 기준으로 인천, 제주, 김포에 이은 대한민국 4위의 공항이고 인천국제공항 다음으로 국제선 이용객이 많은 국제공항으로, 2018년에 국제선 이용객 수(국제선 환승전용인 김해-인천 노선 이용객 포함)가 1천만 명을 돌파하였다. 김해국제공항 국제선은 일본, 중화인민공화국, 중화민국, 필리핀, 베트남, 태국 등 주로 동아시아와 동남아시아 지역 노선을 운항하고 있다.
김해국제공항 의 별명 은 카이탁공항 이다
목차
1 군-민 공용
2 역사
3 시설 규모
3.1 시설 확충 계획
4 운항제한시간
5 운항 노선
5.1 국제선
5.2 국내선
6 관련 통계
6.1 이용객 추이
6.1.1 전체
6.1.2 국내선
6.1.3 국제선
6.2 노선별 순위
6.2.1 국내선
6.2.2 국제선
7 교통 시설
8 사건 및 사고
9 논란
9.1 동남권 신공항 논란
9.2 명칭 변경 문제
10 확장
11 각주
12 같이 보기
13 외부 링크
군-민 공용
김해국제공항은 1940년에 일본 육군 비행장으로 건설된 부산비행장(수영비행장)을 이전하기 위해 기존의 공군 기지를 활용하여 건설되었다. 한국 전쟁 당시 미군은 이 기지를 서부산공군기지 Pusan West (K-1) Air Base로 이름붙였다.[1]1976년부터 현재까지 대한민국 공군의 제5공중기동비행단이 사용하고 있다. 제5공중기동비행단는 성남 서울공항의 공군 제15특수임무비행단과 함께 대한민국 공군 최대 크기 수송기인 C-130, 조기경보기 E-737 등을 운영하는 부대이다. 제5공중기동비행단에는 실미도 부대의 부대마크를 그대로 사용하는 특수부대가 있다.
역사
일제가 1940년에 지금의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벡스코 부지에 개설한 육군 비행장이었던 수영비행장은 광복 직후인 1946년 미군정이 C-47 항공기 여덟 대를 투입해 김포비행장을 기점으로 서울 - 대구 - 부산 간 노선을 주 2회 운항하면서 비로소 민간인들이 이용하기 시작했다.
1948년 10월 30일부터 대한국민항공사(KNA)에서 서울 - 부산 간 국내선 노선을 운항하였다. 수영비행장은 한국전쟁 중이던 1950년 8월부터 정전 후 여의도비행장이 임시국제공항으로 지정되기 전까지 임시국제공항으로 지정되어 운영되었다. 1953년 12월부터 수영비행장을 기점으로 해 광주, 군산, 대구, 제주를 잇는 노선을 부정기로 운항하였다. 1957년 12월 17일에는 항공통신소가 설치되었다.
1958년 1월 30일에 수영비행장의 명칭이 부산비행장으로 변경되었고, 1963년 9월 30일 교통부에 의해 정식 국제공항으로 승격하였다.[2] 한편, 현재의 김해국제공항 부지에는 이미 공군 기지와 활주로가 있었다.
1976년 8월에 부산비행장이 김해군 대저읍으로 이전하고, 김해국제공항으로 명명되었다. 이전 당시 김해공항 부지는 경상남도 김해군에 속했으나, 1978년 2월 15일에 행정구역이 개편되어 부산직할시(현 부산광역시)에 편입되었다. 부산비행장 부지는 공군비행장으로 사용되다가 1987년에 폐쇄되었고, 현재는 센텀시티와 벡스코가 들어서 있다.
1983년 5월부터 한국공항공단(현 한국공항공사)이 김해국제공항을 인수해 운영하고 있고, 1993년 5월에 현재의 국내선 청사를, 2007년 11월에 현재의 국제선 청사를 각각 신축했다.
2014년 초까지 대한민국에서 인천국제공항(2001년 3월 이전에는 김포국제공항)을 제외하고 유일하게 미주 노선과 유럽 노선을 운항하는 지역 국제공항이었으나, 1994년에 대한항공이 호놀룰루로 가는 직항편을 없애고 델타 항공이 수익성 악화를 이유로 도쿄 경유 미주 노선을 폐지함에 따라 미주 정기 노선이 사라졌다.[3]2014년 3월에는 루프트한자가 김해발 인천 경유 뮌헨행 노선을 인천발로 단축했다. 따라서, 김해국제공항에서 미주나 유럽으로 여행하기 위해서는 인천국제공항을 통해 환승하거나, 환승이 가능한 일본 등 외국의 국제공항으로 이동해야 한다.
이용률에 비해 시설이 열악한 편인데, 특히 급유 시설이 턱없이 부족해 대형항공기가 드나들기 곤란하다. 이는 커퓨 타임(야간운행통제 시간)과 더불어 김해국제공항의 장거리 노선 취항의 제약 요인이 되고 있다. 열악한 급유 시설 때문에 루프트한자가 김해발로 운항하였던 뮌헨행에 투입한 A340은 중간 기착지인 인천국제공항에서 급유를 받았다.
시설 규모
- 여객 터미널은 연간 1,900만 명(국내선 1,269만 명, 국제선 631만 명)의 여객을 처리할 수 있다.[4]
- 길이 3200 m×폭 60 m의 활주로 1본과 길이 2743 m×폭 46 m 활주로 1본이 서로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활주로의 연간 항공기 처리능력은 11만8천 회(민항 기준)이다.[5]
- 38만2594 m² 면적의 계류장에는 에어버스 A300-600R급 항공기 26대가 동시에 주기할 수 있다.
- 항행안전시설 : 계기착륙시설(ILS), 무선표지(TVOR/DME), 항공등화, RVR(시정자동측정장치)
- 공항등급 : CAT-II (착륙가능 활주로 가시범위 300~550 m)
시설 확충 계획
김해국제공항 국제선은 2013년에 이용객 수(국제선 환승전용인 김해-인천 노선 이용객 포함)가 481만3천 명으로 국제선 여객터미널의 연간 여객처리능력(464만명)을 넘어섰다. 이에 따라 공항공사는 2013년부터 1천334억 원을 투입해 국제선 여객터미널을 왼쪽(남쪽)으로 34% 확장하고 항공기 탑승교 3곳, 수하물 벨트 2곳, 출입국 심사실, 항공사 카운터 등을 추가 설치함으로써 2017년 7월에 여객처리 능력을 연 631만 명으로 늘렸지만,[6][7] 김해공항의 국제선 이용객 수는 예상보다 훨씬 빠르게 증가해 2015년에 이미 631만 명에 이르렀고, 2016년에 800만 명[4], 2017년에 900만 명, 2018년에 1천만 명을 넘었다.
열악한 시설과 운항 여건으로 인하여 동남권 신공항이 2차례 추진되었지만, 모두 경제성이 없다고 평가되어 김해공항을 확장하기로 2016년에 결정하였다.[8]
운항제한시간
군공항의 특성과 항공기 운항으로 인한 인근 주민의 소음피해 때문에 오후 11시부터 다음날 오전 6시까지 7시간 동안은 모든 종류의 비행기 운항이 금지되어 있다. 종전에는 오후 10시부터 오전 7시까지 9시간 동안 운항이 제한되었으나, 운항 가능 편수 부족으로 인해 부산광역시가 주민 대표들과 협의하여 2008년 10월 27일부터 운항제한 시간을 2시간 단축하였다.
운항 노선
국제선
항공사 | 목적지 |
---|---|
대한항공 | 나고야(주부), 난징, 다낭, 도쿄(나리타), 방콕(수완나품), 베이징(수도), 상하이(푸둥), 칭다오, 타이페이(타오위안), 후쿠오카 내항기편: 서울(인천) |
아시아나항공 | 광저우, 다낭, 마닐라, 베이징(수도), 상하이(푸둥), 선양, 항저우 내항기편: 서울(인천) |
에어부산 | 가오슝, 괌, 나고야(주부), 다낭, 도쿄(나리타), 마카오, 블라디보스토크, 비엔티안, 싼야, 삿포로(신치토세), 세부, 시안, 씨엠립, 옌지, 오사카(간사이), 울란바토르, 장자제, 칭다오, 코타키나발루, 타이페이(타오위안), 하노이, 하이커우 - (2019년 11월 27일 신규취항), 홍콩(첵랍콕), 후쿠오카 |
이스타항공 | 방콕(수완나품), 블라디보스토크, 코타키나발루 |
제주항공 | 괌, 다낭, 도쿄(나리타), 방콕(수완나품), 사이판, 삿포로(신치토세), 스자좡, 세부, 싱가포르, 오사카(간사이), 타이페이(타오위안), 후쿠오카 |
진에어 | 괌, 기타큐슈, 다낭, 방콕(수완나품), 세부, 오사카(간사이), 오키나와(나하), 클라크 |
티웨이항공 | 가오슝, 다낭, 오사카(간사이), 타이페이(도원), 하노이 |
중국국제항공 | 베이징(수도) |
중국남방항공 | 광저우, 선양, 옌지 |
중국동방항공 | 상하이(푸둥) |
상하이 항공 | 상하이(푸둥), 장자제 |
캐세이 드래곤 항공 | 홍콩(첵랍콕) |
홍콩 익스프레스 항공 | 홍콩(첵랍콕) |
일본항공 | 도쿄(나리타) |
피치 항공 | 오사카(간사이) |
중화항공 | 타이페이(도원) |
타이거 항공 타이완 | 타이페이(도원) |
MIAT 몽골 항공 | 울란바토르 |
에어아시아 X | 쿠알라룸푸르 |
베트남 항공 | 다낭, 하노이, 호찌민 |
비엣제트 항공 | 하노이, 나트랑 |
싱가포르 항공 | 싱가포르 |
타이 항공 | 방콕(수완나품) |
필리핀 항공 | 마닐라, 칼리보 |
팬퍼시픽 항공 | 칼리보 |
필리핀 에어아시아 | 칼리보 |
오로라 항공 | 블라디보스토크 |
핀에어 | 헬싱키 - (2020년 3월 30일 신규취항) |
국내선
항공사 | 목적지 |
---|---|
대한항공 | 서울(김포), 제주 |
아시아나항공 | 제주 |
에어부산 | 서울(김포), 제주 |
이스타항공 | 제주 |
제주항공 | 서울(김포), 제주 |
진에어 | 제주 |
코리아 익스프레스 에어 | 양양 |
관련 통계
이용객 추이
전체
연도[9] | 1997년 | 1998년 | 1999년 | 2000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2007년 |
---|---|---|---|---|---|---|---|---|---|---|---|
운항(편수) | 57,414 | 52,869 | 52,923 | 63,052 | 61,242 | 60,090 | 58,600 | 52,212 | 50,735 | 52,935 | 58,119 |
여객 (명) | 9,958,559 | 7,600,329 | 8,388,401 | 9,358,152 | 9,168,089 | 9,173,288 | 8,782,835 | 7,674,153 | 7,045,806 | 7,071,037 | 7,403,262 |
추이 (여객/전년대비) | 2,358,230 | 788,072 | 969,751 | 190,063 | 5,199 | 390,453 | 1,108,682 | 628,347 | 25,231 | 332,225 | |
2008년 | 2009년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
운항(편수) | 59,575 | 61,171 | 62,225 | 66,525 | 71,713 | 77,665 | 78,646 | 87,709 | 99,358 | 107,363 | 110,924 |
여객 (명) | 7,202,117 | 6,870,157 | 8,160,546 | 8,749,153 | 9,196,090 | 9,671,381 | 10,378,866 | 12,382,150 | 14,900,815 | 16,403,541 | 17,064,613 |
추이 (여객/전년대비) | 201,145 | 331,960 | 1,290,389 | 588,607 | 446,937 | 475,291 | 707,485 | 2,003,284 | 2,518,665 | 1,502,726 | 661,072 |
2000년에 이용객이 935만8천명에 이르렀으나, 2004년 4월의 경부고속철도 개통과 그 밖의 고속도로 신설 등의 효과로 인해 국내선 노선이 줄어들어 2005년에는 이용객이 704만명 대로 감소했고, 2008년 세계 금융 위기와 2009년 신종플루 사태로 인해 2009년에는 687만명까지 줄었다.
저비용 항공사의 등장으로 인해 2010년대에 들어 제주 노선과 국제선 이용객이 빠른 속도로 증가해 2014년에 전체 이용객이 1천만명을 돌파했다.
국내선
연도 | 1997년 | 1998년 | 1999년 | 2000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2007년 |
---|---|---|---|---|---|---|---|---|---|---|---|
운항(편수) | 46,918 | 44,740 | 45,039 | 54,242 | 51,425 | 47,515 | 46,635 | 39,472 | 35,897 | 37,107 | 36,860 |
여객 (명) | 8,734,364 | 6,642,927 | 7,266,104 | 8,015,414 | 7,662,429 | 7,362,502 | 7,156,217 | 5,720,919 | 4,899,295 | 4,760,969 | 4,665,442 |
2008년 | 2009년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
운항(편수) | 36,732 | 40,819 | 39,164 | 38,555 | 39,304 | 40,459 | 41,423 | 44,121 | 46,276 | 48,843 | 47,442 |
여객 (명) | 4,436,856 | 4,551,403 | 5,068,426 | 5,210,378 | 5,162,519 | 5,199,568 | 5,513,232 | 6,423,994 | 7,123,853 | 7,590,455 | 7,197,734 |
2012년 4월 2일에 김해 - 인천 노선이 국내선에서 국제선 환승전용으로 전환되었다.[10] 이에 따라 해당 노선 승객들은 김해공항 국제선 여객터미널을 이용하지만, 한국공항공사에서는 국내선 통계에 포함하고 있다.
국제선
연도 | 1997년 | 1998년 | 1999년 | 2000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2007년 |
---|---|---|---|---|---|---|---|---|---|---|---|
운항(편수) | 10,496 | 8,129 | 7,884 | 8,810 | 9,817 | 12,575 | 11,965 | 12,740 | 14,838 | 15,828 | 21,259 |
여객 (명) | 1,224,195 | 957,402 | 1,122,297 | 1,342,738 | 1,505,660 | 1,810,786 | 1,626,618 | 1,953,234 | 2,146,511 | 2,310,068 | 2,737,820 |
2008년 | 2009년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
운항(편수) | 22,843 | 20,352 | 23,061 | 27,970 | 32,409 | 37,206 | 37,223 | 43,588 | 53,082 | 58,520 | 63,482 |
여객 (명) | 2,765,261 | 2,318,754 | 3,092,120 | 3,538,775 | 4,033,571 | 4,471,813 | 4,865,634 | 5,958,156 | 7,776,962 | 8,813,086 | 9,866,879 |
노선별 순위
국내선
순위 | 공항 | 여객(명) | 운항(편수) | 항공사 |
---|---|---|---|---|
1 | 제주국제공항 | 4,420,262 | 23,923 |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에어부산, 제주항공, 진에어, 이스타항공 |
2 | 김포국제공항 | 2,741,550 | 21,353 | 대한항공, 에어부산, 제주항공, 이스타항공 |
3 | 인천국제공항 | 428,643 | 3,567 |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
국제선
순위 | 공항 | 여객(명) | 운항(편수) | 전년 비 승객변화 |
---|---|---|---|---|
1 | 오사카(간사이) | 1,179,812 | 7,968 | 409,887 |
2 | 후쿠오카 | 754,107 | 5,045 | 127,674 |
3 | 타이베이(도원) | 656,012 | 4,541 | 251,181 |
4 | 도쿄(나리타) | 582,141 | 4,046 | 65,214 |
5 | 방콕(수완나품) | 524,905 | 2,712 | 111,058 |
6 | 홍콩(첵랍콕) | 377,635 | 2,517 | 25,268 |
7 | 상하이(푸동) | 369,112 | 2,833 | 33,910 |
8 | 베이징(수도) | 301,342 | 2,462 | 33,266 |
9 | 세부 | 251,859 | 1,540 | 66,740 |
10 | 마닐라 | 247,405 | 1,768 | 12,474 |
11 | 다낭 | 241,226 | 1,505 | 173,837 |
12 | 괌 | 228,219 | 1,613 | 107,647 |
13 | 칭다오 | 195,989 | 1,458 | 2,349 |
14 | 하노이 | 169,859 | 794 | 3,800 |
15 | 호치민 시 | 168,810 | 830 | 46,116 |
16 | 오키나와 | 127,227 | 934 | 63,697 |
17 | 쿠알라룸푸르 | 123,425 | 420 | 27,795 |
18 | 삿포로 | 115,074 | 849 | 86,076 |
19 | 칼리보 | 112,015 | 742 | 3,687 |
20 | 나고야(센토레아) | 93,733 | 728 | 8,854 |
21 | 광저우 | 85,078 | 825 | 32,736 |
22 | 옌지 | 82,031 | 620 | 12,731 |
23 | 센양 | 76,145 | 690 | 4,300 |
24 | 장자제 | 66,240 | 418 | 10,953 |
25 | 시엠립 | 61,951 | 402 | 17,074 |
26 | 시안 | 55,474 | 397 | 4,321 |
27 | 마카오 | 55,287 | 316 | 12,936 |
28 | 클라크 | 51,592 | 411 | 38,488 |
29 | 가오슝 | 49,937 | 367 | 6,379 |
30 | 옌타이 | 42,987 | 454 | 13,063 |
31 | 블라디보스토크 | 41,757 | 454 | 13,637 |
교통 시설
- 김해공항시외버스터미널
- 공항역
사건 및 사고
- 해운대구에 있던 부산비행장이 1976년에 김해군 대저읍으로 이전하면서 김해국제공항으로 명명된 것인데, 이 김해군 부지에 원래는 공군비행학교가 주둔하고 있었다. 1966년 8월 8일, 해병대원들이 김해의 공군비행학교를 새벽에 기습했으나 역습당하고 쫓기다가 해병대 장교가 사망까지 한 사건이 일어났다.
2002년 4월 15일, 김해국제공항에 착륙하려던 중국국제항공 129편은 18R 활주로에 착륙하기 위해 선회 착륙을 시도한다. 하지만 시정이 좋지 않았던 당시 기상 상황에 의해 선회 지점을 지나쳐 인근에 있는 돗대산에 추락하여 탑승객 167명 중 128명이 사망한 사고로 기록 되었다.[11]
2007년 8월 12일, 김해국제공항에 착륙하려던 제주항공 502편 (기종:봄바디어 Q400)이 착륙 후 강풍으로 인해 택싱 중 구활주로 G6∼G7 지점에서 갑자기 기체가 왼쪽으로 쏠리면서 활주로를 이탈했다. 이 사고로 10여명의 부상자가 발생했다.[12]
논란
동남권 신공항 논란
영남권 국제선의 대부분을 담당하고 있는 김해국제공항은 군용 공항을 겸하는데다 소음피해 문제가 있어 24시간 운영이 불가능하고 신어산, 돗대산 등의 지형상의 장애로 활주로 이용에 제약이 있어서 이 공항 대신 영남권의 국제선 항공수요를 담당할 신공항 건설이 검토되었다. 이에 부산광역시는 24시간 운영이 용이한 해상공항으로서 가덕도 남쪽 해상을 신공항 부지로 주장하였으나, 대구광역시, 경상북도, 경상남도, 울산광역시가 영남권 각 지역과의 접근성이 좋은 경상남도 밀양시 하남읍을 신공항 부지로 주장하며 대립하였다. 2011년 3월 30일 국토해양부는 과도한 건설 비용에 비해 경제성이 낮다는 이유로 사업 검토를 백지화하였다. 그럼에도 또 한 차례 건설 요구가 있었으나, 박근혜 정부에서 프랑스의 파리공항공단엔지니어링(ADPi)에 용역을 넣은 결과 여전히 경제성 없음으로 나와서 2016년 6월 21일 국토교통부는 신 공항 대신 김해국제공항을 확장하기로 결정했다.
명칭 변경 문제
2011년 10월 부산광역시가 행정구역상 부산광역시 내에 위치한 김해국제공항의 명칭이 부산시와 일치하지 않는다는 이유로 부산국제공항으로 변경을 추진하기로 해 경상남도 김해시가 이에 반발하였다. 부산광역시에서는 공항이름을 바꿔야 할 근거로 김해국제공항이 특별한 이유 없이 도시명과 공항명이 서로 달라 국내외 이용객들의 혼란을 초래하고 있다는 점과 공항이 김해군에 속했던 기간은 1년반에 불과한 반면 부산광역시에 속한 기간은 30년이 넘었고 이용객의 59%가 부산시민이라는 점을 내세웠는데,[13]김해시의 반발 등 여러 문제로 인해 명칭 변경은 이루어지지 않았다.[14]
확장
2016년 6월 21일 국토교통부는 영남권 신공항 대신 새로운 활주로를 신설해 김해공항을 확장하기로 결정했다. 그리고 이 사업을 김해 신공항으로 명명했다.
각주
↑ Pusan(Busan) Air Base, globalsecurity.
↑ “민간항공 초기시대”. 2017년 3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10월 31일에 확인함.
↑ 현재 김해공항의 유일한 미국령 직항은 괌과 사이판 뿐이다.
↑ 가나 부산 김해공항, 2016년 1490만 이용… 年20%↑ 문화일보, 2017.1.10.
↑ 김해공항 슬롯 주중 20회·주말 26회로 확대 연합뉴스, 2018.1.11.
↑ 김해공항 국제선 청사 수용능력 2년 뒤엔 포화 부산일보, 2013.3.14.
↑ 김해공항 국제선 증축 완료…승객 포화상태는 여전 연합뉴스, 2017.7.25.
↑ 10년 넘게 끈 신공항 결국 접고 '김해국제공항 확장' 택했다 파이낸셜뉴스, 2016.6.21.
↑ 공항별 통계 한국공항공사, 2017년 1월 29일 확인.
↑ 김해공항에서 출입국 수속 마치고 인천에서는 환승만 하세요 한국경제, 2012.4.2.
↑ 중국항공기 김해추락사고의 원인은 조종미숙, 《연합뉴스》, 2005년 5월 6일
↑ 제주항공 502편 활주로 이탈, 10여명 부상[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파이낸셜뉴스》, 2007년 8월 12일
↑ 부산 對 김해, 국제공항 명칭 놓고 갈등 매일경제, 2011.10.19.
↑ 김해국제공항 명칭변경 본회의 상정보류로 일단락 뉴시스, 2011.10.19.
같이 보기
- 수영비행장
외부 링크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김해국제공항 |
- 김해국제공항
- 김해 신공항
분류:
- 대한민국의 공항
- 김해국제공항
- 1940년 설립
- 대한민국 공군의 기지
- 주한 미국 공군의 기지
- 부산광역시의 교통
- 부산 강서구의 건축물
- 김해시의 교통
(RLQ=window.RLQ||[]).push(function()mw.config.set("wgPageParseReport":"limitreport":"cputime":"1.096","walltime":"1.372","ppvisitednodes":"value":9862,"limit":1000000,"ppgeneratednodes":"value":0,"limit":1500000,"postexpandincludesize":"value":360268,"limit":2097152,"templateargumentsize":"value":17206,"limit":2097152,"expansiondepth":"value":15,"limit":40,"expensivefunctioncount":"value":1,"limit":500,"unstrip-depth":"value":0,"limit":20,"unstrip-size":"value":7707,"limit":5000000,"entityaccesscount":"value":1,"limit":400,"timingprofile":["100.00% 792.204 1 -total"," 55.20% 437.329 27 틀:둘러보기_상자"," 17.96% 142.256 73 틀:국기그림"," 13.17% 104.305 1 틀:공항_정보"," 11.95% 94.642 1 틀:각주"," 11.59% 91.790 1 틀:위키공용분류"," 10.79% 85.443 1 틀:Sister"," 10.38% 82.218 1 틀:사이드_박스"," 9.17% 72.626 1 틀:경상남도의_교통"," 7.85% 62.153 1 틀:김해시의_교통"],"scribunto":"limitreport-timeusage":"value":"0.238","limit":"10.000","limitreport-memusage":"value":5311067,"limit":52428800,"cachereport":"origin":"mw1247","timestamp":"20191105045739","ttl":2592000,"transientcontent":false););"@context":"https://schema.org","@type":"Article","name":"uae40ud574uad6duc81cuacf5ud56d","url":"https://ko.wikipedia.org/wiki/%EA%B9%80%ED%95%B4%EA%B5%AD%EC%A0%9C%EA%B3%B5%ED%95%AD","sameAs":"http://www.wikidata.org/entity/Q483223","mainEntity":"http://www.wikidata.org/entity/Q483223","author":"@type":"Organization","name":"uc704ud0a4ubbf8ub514uc5b4 ud504ub85cuc81dud2b8 uae30uc5ecuc790","publisher":"@type":"Organization","name":"Wikimedia Foundation, Inc.","logo":"@type":"ImageObject","url":"https://www.wikimedia.org/static/images/wmf-hor-googpub.png","datePublished":"2006-06-18T22:09:40Z","dateModified":"2019-11-04T09:15:32Z","image":"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f/ff/Airport_Gimhae_1.jpg","headline":"ub300ud55cubbfcuad6d ubd80uc0b0uad11uc5educ2dcuc5d0 uc788ub294 uacf5ud56d"(RLQ=window.RLQ||[]).push(function()mw.config.set("wgBackendResponseTime":148,"wgHostname":"mw12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