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일러 피 함수 목차 정의 성질 응용 같이 보기 외부 링크 둘러보기 메뉴“Totient function”“Totient function”
수론사람 이름을 딴 낱말
수론정수환몫환가역원함수양의 정수서로소몫환가역원군최대 공약수OEISA000010곱셈적 함수소인수항등 함수레온하르트 오일러뫼비우스 함수오일러의 정리군론순환군정n각형작도 가능한 다각형눈금없는 자와 컴퍼스거듭제곱동치소수페르마 소수암호학RSA 암호
오일러 피 함수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수론에서, 오일러 피 함수(Eulerϕ函數, 영어: Euler’s phi (totient) function)는 정수환의 몫환의 가역원을 세는 함수이다. 즉, n이 양의 정수일 때, ϕ(n)은 n과 서로소인 1부터 n까지의 정수의 개수와 같다. 예를 들어, 1부터 6까지의 정수 가운데 1, 5 둘만 6과 서로소이므로, ϕ(6) = 2이다. 1부터 10까지의 정수는 모두 11과 서로소이며, 11은 자기 자신과 서로소가 아니므로, ϕ(11) = 10이다. 1은 자기 자신과 서로소이므로, ϕ(1) = 1이다.
목차
1 정의
2 성질
2.1 값
2.2 항등식
3 응용
4 같이 보기
5 외부 링크
정의
양의 정수 ndisplaystyle n의 오일러 피 함수 값 ϕ(n)displaystyle phi (n)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 ϕ(n)=|(Z/(n))×|=|k∈1,…,n:gcdk,n=1|
여기서 (Z/(n))×displaystyle (mathbb Z /(n))^times 은 몫환 Z/(n)displaystyle mathbb Z /(n)의 가역원군이며, gcddisplaystyle gcd 는 최대 공약수이다.
성질
값
1부터 80까지의 오일러 피 함수 값은 다음과 같다. (OEIS의 수열 A000010)
n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
ϕ(n) | 1 | 1 | 2 | 2 | 4 | 2 | 6 | 4 | 6 | 4 | 10 | 4 | 12 | 6 | 8 | 8 | 16 | 6 | 18 | 8 |
n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ϕ(n) | 12 | 10 | 22 | 8 | 20 | 12 | 18 | 12 | 28 | 8 | 30 | 16 | 20 | 16 | 24 | 12 | 36 | 18 | 24 | 16 |
n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ϕ(n) | 40 | 12 | 42 | 20 | 24 | 22 | 46 | 16 | 42 | 20 | 32 | 24 | 52 | 18 | 40 | 24 | 36 | 28 | 58 | 16 |
n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ϕ(n) | 60 | 30 | 36 | 32 | 48 | 20 | 66 | 32 | 44 | 24 | 70 | 24 | 72 | 36 | 40 | 36 | 60 | 24 | 78 | 32 |
항등식
오일러 피 함수는 곱셈적 함수다. 즉, 만약 두 정수 m,ndisplaystyle m,n이 서로소라면, 다음이 성립한다.
- ϕ(mn)=ϕ(m)ϕ(n)displaystyle phi (mn)=phi (m)phi (n)
오일러 피 함수 값은 소인수를 통해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이를 오일러 곱 공식(영어: Euler product formula)이라고 한다.
- ϕ(n)=n∏p∣n(1−1/p)displaystyle phi (n)=nprod _pmid n(1-1/p)
특히, 소수 pdisplaystyle p의 거듭제곱 pkdisplaystyle p^k의 오일러 피 함수 값은
- ϕ(pk)=pk−1(p−1)displaystyle phi (p^k)=p^k-1(p-1)
이다. 특히 소수 pdisplaystyle p의 경우
- ϕ(p)=p−1displaystyle phi (p)=p-1
이다.
오일러 피 함수를 통해 항등 함수를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이는 레온하르트 오일러가 증명하였다.
- ∑d|nϕ(d)=ndisplaystyle sum _nphi (d)=n
또한, 다음이 성립한다.
- ∑d|ndμ(n/d)=ϕ(n)displaystyle sum _ndmu (n/d)=phi (n)
여기서 μdisplaystyle mu 는 뫼비우스 함수이다.
만약 양의 정수 a,ndisplaystyle a,n이 서로소라면, 다음과 같은 합동식이 성립한다. 이를 오일러의 정리라고 한다.
- aϕ(n)≡1(modn)displaystyle a^phi (n)equiv 1pmod n
응용
오일러 피 함수는 수학의 다양한 분야에서 등장한다. 예를 들어, 군론에서는 순환군 Z/nZdisplaystyle mathbb Z /nmathbb Z 의 가능한 생성원(generator)의 수는 ϕ(n)displaystyle phi (n)이다. 이는 ndisplaystyle n과 서로소인 임의의 수를 사용하여 Z/nZdisplaystyle mathbb Z /nmathbb Z 를 생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정n각형이 작도 가능한 다각형인지, 즉 눈금없는 자와 컴퍼스만으로 작도할 수 있는지는 ϕ(n)displaystyle phi (n)이 2의 거듭제곱수인지와 동치이다. 즉,
n = 2, 3, 4, 5, 6, 8, 10, …
이라면
ϕ(n)displaystyle phi (n) = 1, 2, 2, 4, 2, 4, 4, …
이므로 정n각형을 작도할 수 있지만, 다른 값의 경우에는 작도할 수 없다. 특히, n이 소수인 경우를 페르마 소수라고 한다.
오일러 피 함수는 암호학의 RSA 암호에서도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같이 보기
- 페르마의 소정리
- 조르당 피 함수
- 카마이클 피 함수
- 토션트 합 함수
외부 링크
“Totient function”. 《Encyclopedia of Mathematics》 (영어). Springer-Verlag. 2001. ISBN 978-1-55608-010-4.
Weisstein, Eric Wolfgang. “Totient function”. 《Wolfram MathWorld》 (영어). Wolfram Research.
분류:
- 수론
- 사람 이름을 딴 낱말
(window.RLQ=window.RLQ||[]).push(function()mw.config.set("wgPageParseReport":"limitreport":"cputime":"0.140","walltime":"0.221","ppvisitednodes":"value":400,"limit":1000000,"ppgeneratednodes":"value":0,"limit":1500000,"postexpandincludesize":"value":5535,"limit":2097152,"templateargumentsize":"value":335,"limit":2097152,"expansiondepth":"value":8,"limit":40,"expensivefunctioncount":"value":0,"limit":500,"unstrip-depth":"value":0,"limit":20,"unstrip-size":"value":900,"limit":5000000,"entityaccesscount":"value":0,"limit":400,"timingprofile":["100.00% 114.186 1 -total"," 50.67% 57.862 1 틀:Eom"," 49.14% 56.116 2 틀:웹_인용"," 36.14% 41.262 2 틀:Llang"," 8.88% 10.145 2 틀:Lang"," 6.40% 7.309 1 틀:매스월드"," 4.09% 4.675 2 틀:일반_기타"," 2.96% 3.378 1 틀:OEIS"],"scribunto":"limitreport-timeusage":"value":"0.036","limit":"10.000","limitreport-memusage":"value":1707437,"limit":52428800,"cachereport":"origin":"mw1242","timestamp":"20190413014750","ttl":2592000,"transientcontent":false););"@context":"https://schema.org","@type":"Article","name":"uc624uc77cub7ec ud53c ud568uc218","url":"https://ko.wikipedia.org/wiki/%EC%98%A4%EC%9D%BC%EB%9F%AC_%ED%94%BC_%ED%95%A8%EC%88%98","sameAs":"http://www.wikidata.org/entity/Q190026","mainEntity":"http://www.wikidata.org/entity/Q190026","author":"@type":"Organization","name":"uc704ud0a4ubbf8ub514uc5b4 ud504ub85cuc81dud2b8 uae30uc5ecuc790","publisher":"@type":"Organization","name":"Wikimedia Foundation, Inc.","logo":"@type":"ImageObject","url":"https://www.wikimedia.org/static/images/wmf-hor-googpub.png","datePublished":"2003-08-25T02:03:01Z","dateModified":"2018-10-27T11:51:08Z","image":"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9/9b/EulerPhi.svg"(window.RLQ=window.RLQ||[]).push(function()mw.config.set("wgBackendResponseTime":184,"wgHostname":"mw13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