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오일러 피 함수 목차 정의 성질 응용 같이 보기 외부 링크 둘러보기 메뉴“Totient function”“Totient function”

수론사람 이름을 딴 낱말


수론정수환몫환가역원함수양의 정수서로소몫환가역원군최대 공약수OEISA000010곱셈적 함수소인수항등 함수레온하르트 오일러뫼비우스 함수오일러의 정리군론순환군정n각형작도 가능한 다각형눈금없는 자와 컴퍼스거듭제곱동치소수페르마 소수암호학RSA 암호












오일러 피 함수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오일러 ϕ 함수의 그래프. ϕ(1)부터 ϕ(1000)까지의 값들을 나타낸다.


수론에서, 오일러 피 함수(Eulerϕ函數, 영어: Euler’s phi (totient) function)는 정수환의 몫환의 가역원을 세는 함수이다. 즉, n이 양의 정수일 때, ϕ(n)은 n과 서로소인 1부터 n까지의 정수의 개수와 같다. 예를 들어, 1부터 6까지의 정수 가운데 1, 5 둘만 6과 서로소이므로, ϕ(6) = 2이다. 1부터 10까지의 정수는 모두 11과 서로소이며, 11은 자기 자신과 서로소가 아니므로, ϕ(11) = 10이다. 1은 자기 자신과 서로소이므로, ϕ(1) = 1이다.




목차





  • 1 정의


  • 2 성질

    • 2.1


    • 2.2 항등식



  • 3 응용


  • 4 같이 보기


  • 5 외부 링크




정의


양의 정수 ndisplaystyle n의 오일러 피 함수 값 ϕ(n)displaystyle phi (n)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ϕ(n)=|(Z/(n))×|=|k∈1,…,n:gcdk,n=1|

여기서 (Z/(n))×displaystyle (mathbb Z /(n))^times 은 몫환 Z/(n)displaystyle mathbb Z /(n)의 가역원군이며, gcddisplaystyle gcd 는 최대 공약수이다.



성질





1부터 80까지의 오일러 피 함수 값은 다음과 같다. (OEIS의 수열 A000010)










































































































































































n1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
ϕ(n)
112242646410412688166188
n2122232425262728293031323334353637383940
ϕ(n)
12102282012181228830162016241236182416
n4142434445464748495051525354555657585960
ϕ(n)
4012422024224616422032245218402436285816
n6162636465666768697071727374757677787980
ϕ(n)
6030363248206632442470247236403660247832


항등식


오일러 피 함수는 곱셈적 함수다. 즉, 만약 두 정수 m,ndisplaystyle m,n이 서로소라면, 다음이 성립한다.


ϕ(mn)=ϕ(m)ϕ(n)displaystyle phi (mn)=phi (m)phi (n)

오일러 피 함수 값은 소인수를 통해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이를 오일러 곱 공식(영어: Euler product formula)이라고 한다.


ϕ(n)=n∏p∣n(1−1/p)displaystyle phi (n)=nprod _pmid n(1-1/p)

특히, 소수 pdisplaystyle p의 거듭제곱 pkdisplaystyle p^k의 오일러 피 함수 값은


ϕ(pk)=pk−1(p−1)displaystyle phi (p^k)=p^k-1(p-1)

이다. 특히 소수 pdisplaystyle p의 경우


ϕ(p)=p−1displaystyle phi (p)=p-1

이다.


오일러 피 함수를 통해 항등 함수를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이는 레온하르트 오일러가 증명하였다.


∑d|nϕ(d)=ndisplaystyle sum _nphi (d)=n

또한, 다음이 성립한다.


∑d|ndμ(n/d)=ϕ(n)displaystyle sum _ndmu (n/d)=phi (n)

여기서 μdisplaystyle mu 는 뫼비우스 함수이다.


만약 양의 정수 a,ndisplaystyle a,n이 서로소라면, 다음과 같은 합동식이 성립한다. 이를 오일러의 정리라고 한다.


aϕ(n)≡1(modn)displaystyle a^phi (n)equiv 1pmod n


응용


오일러 피 함수는 수학의 다양한 분야에서 등장한다. 예를 들어, 군론에서는 순환군 Z/nZdisplaystyle mathbb Z /nmathbb Z 의 가능한 생성원(generator)의 수는 ϕ(n)displaystyle phi (n)이다. 이는 ndisplaystyle n과 서로소인 임의의 수를 사용하여 Z/nZdisplaystyle mathbb Z /nmathbb Z 를 생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정n각형이 작도 가능한 다각형인지, 즉 눈금없는 자와 컴퍼스만으로 작도할 수 있는지는 ϕ(n)displaystyle phi (n)이 2의 거듭제곱수인지와 동치이다. 즉,



n = 2, 3, 4, 5, 6, 8, 10, …

이라면



ϕ(n)displaystyle phi (n) = 1, 2, 2, 4, 2, 4, 4, …

이므로 정n각형을 작도할 수 있지만, 다른 값의 경우에는 작도할 수 없다. 특히, n이 소수인 경우를 페르마 소수라고 한다.


오일러 피 함수는 암호학의 RSA 암호에서도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같이 보기


  • 페르마의 소정리

  • 조르당 피 함수

  • 카마이클 피 함수

  • 토션트 합 함수


외부 링크



  • “Totient function”. 《Encyclopedia of Mathematics》 (영어). Springer-Verlag. 2001. ISBN 978-1-55608-010-4. 


  • Weisstein, Eric Wolfgang. “Totient function”. 《Wolfram MathWorld》 (영어). Wolfram Research.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오일러_피_함수&oldid=22862557"










둘러보기 메뉴

























(window.RLQ=window.RLQ||[]).push(function()mw.config.set("wgPageParseReport":"limitreport":"cputime":"0.140","walltime":"0.221","ppvisitednodes":"value":400,"limit":1000000,"ppgeneratednodes":"value":0,"limit":1500000,"postexpandincludesize":"value":5535,"limit":2097152,"templateargumentsize":"value":335,"limit":2097152,"expansiondepth":"value":8,"limit":40,"expensivefunctioncount":"value":0,"limit":500,"unstrip-depth":"value":0,"limit":20,"unstrip-size":"value":900,"limit":5000000,"entityaccesscount":"value":0,"limit":400,"timingprofile":["100.00% 114.186 1 -total"," 50.67% 57.862 1 틀:Eom"," 49.14% 56.116 2 틀:웹_인용"," 36.14% 41.262 2 틀:Llang"," 8.88% 10.145 2 틀:Lang"," 6.40% 7.309 1 틀:매스월드"," 4.09% 4.675 2 틀:일반_기타"," 2.96% 3.378 1 틀:OEIS"],"scribunto":"limitreport-timeusage":"value":"0.036","limit":"10.000","limitreport-memusage":"value":1707437,"limit":52428800,"cachereport":"origin":"mw1242","timestamp":"20190413014750","ttl":2592000,"transientcontent":false););"@context":"https://schema.org","@type":"Article","name":"uc624uc77cub7ec ud53c ud568uc218","url":"https://ko.wikipedia.org/wiki/%EC%98%A4%EC%9D%BC%EB%9F%AC_%ED%94%BC_%ED%95%A8%EC%88%98","sameAs":"http://www.wikidata.org/entity/Q190026","mainEntity":"http://www.wikidata.org/entity/Q190026","author":"@type":"Organization","name":"uc704ud0a4ubbf8ub514uc5b4 ud504ub85cuc81dud2b8 uae30uc5ecuc790","publisher":"@type":"Organization","name":"Wikimedia Foundation, Inc.","logo":"@type":"ImageObject","url":"https://www.wikimedia.org/static/images/wmf-hor-googpub.png","datePublished":"2003-08-25T02:03:01Z","dateModified":"2018-10-27T11:51:08Z","image":"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9/9b/EulerPhi.svg"(window.RLQ=window.RLQ||[]).push(function()mw.config.set("wgBackendResponseTime":184,"wgHostname":"mw1333"););

Popular posts from this blog

Kamusi Yaliyomo Aina za kamusi | Muundo wa kamusi | Faida za kamusi | Dhima ya picha katika kamusi | Marejeo | Tazama pia | Viungo vya nje | UrambazajiKuhusu kamusiGo-SwahiliWiki-KamusiKamusi ya Kiswahili na Kiingerezakuihariri na kuongeza habari

SQL error code 1064 with creating Laravel foreign keysForeign key constraints: When to use ON UPDATE and ON DELETEDropping column with foreign key Laravel error: General error: 1025 Error on renameLaravel SQL Can't create tableLaravel Migration foreign key errorLaravel php artisan migrate:refresh giving a syntax errorSQLSTATE[42S01]: Base table or view already exists or Base table or view already exists: 1050 Tableerror in migrating laravel file to xampp serverSyntax error or access violation: 1064:syntax to use near 'unsigned not null, modelName varchar(191) not null, title varchar(191) not nLaravel cannot create new table field in mysqlLaravel 5.7:Last migration creates table but is not registered in the migration table

은진 송씨 목차 역사 본관 분파 인물 조선 왕실과의 인척 관계 집성촌 항렬자 인구 같이 보기 각주 둘러보기 메뉴은진 송씨세종실록 149권, 지리지 충청도 공주목 은진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