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수 목차 정의 성질 같이 보기 참고 문헌 외부 링크 둘러보기 메뉴“남북 기술용어”“자연수 VS 유리수”“자연수 VS 실수”“Natural number”“Natural number”“Natural number”“Natural numbers type”“Natural numbers in SEAR”“Extended natural number”“Natural number”“Natural number”eh
기수순서수정수수론
수학1230정수집합칠판 볼드체약수소수수론분할계수조합론정수뺄셈유리수나눗셈실수코시 수열극한복소수다항식의 근무한 집합가산 무한 집합공리페아노 공리계수리논리학이론집합모형기수순서수대수적반환페아노 공리계2차 논리1차 논리페아노 산술체르멜로-프렝켈 집합론고유 모임유한 집합대등동치류분류 공리꼴가환순서 반환수학적 귀납법부분 집합초한 귀납법초한 재귀 정리수열점화식정렬 집합공집합부분 집합최소 원소귀류법무한 강하법감소 무한 수열무한 집합집합의 크기알레프 0무한 기수전단사 함수가산 무한 집합유리수실수약수배수소수합성수산술의 기본 정리
자연수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자연수(自然水)는 자연에서 나는 물을 가리키기도 합니다.
수학에서, 자연수(自然數, 영어: natural number)는 수를 셀 때나 순서를 매길 때 사용되는 수이다. 양의 정수(陽-整數, 영어: positive integer) 1, 2, 3, ...로 정의되거나, 음이 아닌 정수(陰-整數, 영어: non-negative integer) 0, 1, 2, 3, ...로 정의된다. 범자연수(汎自然數, 문화어: 옹근수(-數), 완수(完數), 영어: whole number)라는 용어는 첫째 정의를 택할 경우에 음이 아닌 정수를 가리키는 데 사용되며, 이에 대응하는 문화어와 영어는 둘째 정의를 택할 경우에 정수를 가리키는 데 사용된다.[1] 자연수의 집합은 대문자 N을 써서 표기하며, 보통 칠판 볼드체 ℕ를 사용한다.
약수 관계나 소수 분포를 비롯한 자연수의 성질들은 수론의 연구 대상이며, 분할이나 계수를 비롯한 자연수의 문제들은 조합론의 연구 대상이다. 자연수는 많은 연산에 대하여 닫혀있지 않다. 정수는 자연수를 뺄셈에 대하여 닫혀있도록 확장하여 얻는 수 체계이며, 유리수는 자연수를 추가로 나눗셈에 대하여 닫혀있도록 확장한 수 체계이다. 실수는 추가로 코시 수열의 극한에 대하여 닫혀있도록 확장한 것이며, 복소수는 추가로 다항식의 근에 대하여 닫혀있도록 확장한 것이다. 하나하나가 유한하지만, 무한 집합을 이룬다. 자연수의 집합은 "가장 작은 크기"의 무한 집합이며, 자연수와 크기가 같은 집합을 가산 무한 집합이라고 한다.
자연수가 만족시켜야 하는 일련의 공리들을 제시하여 자연수를 일종의 무정의 개념으로 간주할 수 있으며, 이러한 자연수의 공리들이 이루는 체계 가운데 가장 자주 사용되는 하나는 페아노 공리계이다. 수리논리학에서 이는 자연수의 이론에 해당된다. 자연수를 특별한 집합으로서 간주하여 다룰 수도 있는데, 이 경우 보통 자연수의 집합은 최소 재귀 집합으로 정의된다. 수리논리학에서 이는 자연수의 모형에 해당된다.
자연수의 수를 세는 역할을 일반화하면 기수의 개념을 얻으며, 자연수의 순서를 매기는 기능을 일반화하면 순서수의 개념을 얻는다. 자연수의 집합의 대수적 성질을 일반화하면 반환의 개념을 얻는다.
목차
1 정의
1.1 공리적 정의 (페아노 공리계)
1.2 집합론적 정의 (폰 노이만)
1.3 집합론적 정의 (프레게와 러셀)
2 성질
2.1 수학적 귀납법
2.2 무한 강하법
2.3 집합론적 성질
2.4 수론적 성질
3 같이 보기
4 참고 문헌
5 외부 링크
정의
공리적 정의 (페아노 공리계)
가장 통용되는 자연수 이론인 페아노 공리계는 상수 0∈Ndisplaystyle 0in mathbb N 및 함수 s:N→Ndisplaystyle scolon mathbb N to mathbb N 에 대한 다음과 같은 공리들로 이루어진 2차 논리 이론 Ndisplaystyle mathbb N 이다.
- 임의의 x∈Ndisplaystyle xin mathbb N 에 대하여, s(x)≠0displaystyle s(x)neq 0
- (sdisplaystyle s는 단사 함수) 임의의 x,y∈Ndisplaystyle x,yin mathbb N 에 대하여, s(x)=s(y)displaystyle s(x)=s(y)이면 x=ydisplaystyle x=y
- (수학적 귀납법) 임의의 I⊆Ndisplaystyle Isubseteq mathbb N 에 대하여, 0∈Idisplaystyle 0in I이며 s(I)⊆Idisplaystyle s(I)subseteq I이면, I=Ndisplaystyle I=mathbb N
이 공리들 가운데 2차 논리 공식은 셋째 공리뿐이다. 이 셋째 공리를 1차 논리 공리꼴로 대신하면, 페아노 산술을 얻으며, 이는 보다 더 약한 공리계이다.
집합론적 정의 (폰 노이만)
자연수 이론의 한 가지 모형 (N,0,s)displaystyle (mathbb N ,0,s)을 체르멜로-프렝켈 집합론에서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이 구성할 수 있다.
- 0=∅displaystyle 0=varnothing
- s(x)=x∪xdisplaystyle s(x)=xcup x
- N=⋂I:0∈I⊇s(I)Idisplaystyle mathbb N =bigcap _Icolon 0in Isupseteq s(I)I
이 경우, 각 자연수는 그보다 작은 자연수들의 집합이다. 예를 들어, 처음 몇 자연수는 다음과 같다.
- 0=∅displaystyle 0=varnothing
- 1=0=∅displaystyle 1=0=varnothing
- 2=0,1=∅,∅displaystyle 2=0,1=varnothing ,varnothing
- 3=0,1,2=∅,∅,∅,∅displaystyle 3=0,1,2=varnothing ,varnothing ,varnothing ,varnothing
집합론적 정의 (프레게와 러셀)
고유 모임이 허용되는 집합론의 경우, 자연수를 유한 집합의 대등 관계에 대한 동치류로서 정의할 수 있다. 즉, 각 자연수는 그 자연수를 원소 개수로 하는 집합들의 모임이다. 즉, 이는 다음과 같다.
- 0=∅displaystyle 0=varnothing
- s(x)=y∪z:y∈x,z∉ydisplaystyle s(x)=ycup zcolon yin x,;znot in y
- N=⋂I:0∈I⊇s(I)Idisplaystyle mathbb N =bigcap _Icolon 0in Isupseteq s(I)I
그러나, 이러한 구성은 고유 모임을 사용하므로, 분류 공리꼴을 만족시키는 집합론에서 사용할 수 없다.
성질
자연수의 집합은 가환 순서 반환을 이룬다.
수학적 귀납법
자연수의 집합 Ndisplaystyle mathbb N 의 정의에 따라, 수학적 귀납법이 성립한다. 즉, 다음과 같은 꼴의 명제를 수학적 귀납법을 통해 증명할 수 있다.
- 임의의 자연수 n∈Ndisplaystyle nin mathbb N 에 대하여, ndisplaystyle n은 성질 Sdisplaystyle S를 만족시킨다.
여기서 Sdisplaystyle S는 주어진 성질이며, 자연수 부분 집합 S⊆Ndisplaystyle Ssubseteq mathbb N 으로 간주할 수 있다. 이 명제를 증명하려면 다음 두 가지를 증명하기만 하면 된다.
0∈Sdisplaystyle 0in S. 즉, 0은 이 성질을 만족시킨다.- 만약 n∈Sdisplaystyle nin S라면, n+1∈Sdisplaystyle n+1in S. 즉, 어떤 자연수가 이 성질을 만족시키면, 뒤따르는 자연수도 이를 만족시킨다.
자연수의 집합 위의 초한 귀납법에 따르면, 다음 한 가지를 증명하는 것으로 대신할 수도 있다.
- 만약 0,1,2,…,n−1∈Sdisplaystyle 0,1,2,dots ,n-1in S라면, n∈Sdisplaystyle nin S. 즉, 어떤 자연수보다 작은 자연수가 모두 이 성질을 만족시키면, 그 자연수 역시 이를 만족시킨다.
특히, n=0displaystyle n=0인 경우 이 조건이 뜻하는 바는 단순히 0∈Sdisplaystyle 0in S인데, 이는 이 조건의 전제가 항상 참이기 때문이다.
자연수의 집합 위의 초한 재귀 정리에 따르면, 수열을 점화식을 통해 정의할 수 있다. 즉, 집합 Xdisplaystyle X에서 값을 취하는 수열 (xn)n=0∞⊆Xdisplaystyle (x_n)_n=0^infty subseteq X은, 그 일반항을 통하지 않고서도, 다음과 같은 점화식을 줌으로써 정의할 수 있다.
- xn=f(x0,x1,x2…,xn−1)displaystyle x_n=f(x_0,x_1,x_2dots ,x_n-1)
여기서 f:⋃n=0∞Xn→Xdisplaystyle textstyle fcolon bigcup _n=0^infty X^nto X는 Xdisplaystyle X에서 값을 취하는 각 유한 수열에 Xdisplaystyle X의 원소를 대응시키는 함수이다. 특히, 이 점화식에서 n=0displaystyle n=0인 경우, 이 점화식이 뜻하는 바는 공(空)수열 ()displaystyle ()의 함숫값 f()displaystyle f()을 첫항 x0displaystyle x_0으로 정의하는 식 x0=f()displaystyle x_0=f()이다.
무한 강하법
자연수의 집합은 정렬 집합이다. 즉, 공집합이 아닌 자연수 부분 집합 ∅≠S⊆Ndisplaystyle varnothing neq Ssubseteq mathbb N 은 항상 최소 원소 minS∈Sdisplaystyle min Sin S를 갖는다.
증명:
귀류법을 사용하여, Sdisplaystyle S가 최소 원소를 갖지 않는다고 가정하자. 이제 N∖S=Ndisplaystyle mathbb N setminus S=mathbb N 임을 강한 수학적 귀납법을 통해 증명하자. 만약 0,1,2,…,n−1∈N∖Sdisplaystyle 0,1,2,dots ,n-1in mathbb N setminus S라면, n∈N∖Sdisplaystyle nin mathbb N setminus S이다. 그렇지 않다면 n=minSdisplaystyle n=min S이므로 모순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S=∅displaystyle S=varnothing 이며, 이는 모순이다.
자연수의 집합 위에서 무한 강하법이 성립한다. 즉, 자연수의 감소 무한 수열 n0>n1>n2>⋯displaystyle n_0>n_1>n_2>cdots 는 존재하지 않는다. 이는 위에서 증명한 자연수의 정렬성을 통해 엄밀하게 증명할 수 있다. 즉, 만약 자연수의 감소 무한 수열이 존재한다면, 그 수열의 항들의 집합은 자연수의 부분 집합인데, 이는 공집합이 아니면서 최소 원소를 갖지도 않으므로 모순이다. 무한 강하법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꼴의 명제를 증명할 수 있다.
- 성질 S⊆Ndisplaystyle Ssubseteq mathbb N 을 만족시키는 자연수 n∈Ndisplaystyle nin mathbb N 은 존재하지 않는다.
이를 증명하려면 다음 한 가지를 증명하기만 하면 된다.
- 만약 n∈Sdisplaystyle nin S라면, n′∈Sdisplaystyle n'in S인 자연수 n′∈0,1,2,…,n−1displaystyle n'in 0,1,2,dots ,n-1가 존재한다.
집합론적 성질
자연수의 집합 Ndisplaystyle mathbb N 은 무한 집합이다. 자연수의 집합의 크기를 알레프 0 ℵ0=|N|mathbb N 으로 정의하며, 이는 최소 무한 기수이다. 즉, 임의의 무한 집합 Sdisplaystyle S에 대하여, |S′|=ℵ0=aleph _0인 부분 집합 S′⊆Sdisplaystyle S'subseteq S가 존재한다. 자연수의 집합과 크기가 같은 집합(=전단사 함수 N→Sdisplaystyle mathbb N to S가 존재하는 집합 Sdisplaystyle S)을 가산 무한 집합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유리수의 집합 Qdisplaystyle mathbb Q 는 가산 무한 집합이며, 실수의 집합 Rdisplaystyle mathbb R 는 비(非)가산 무한 집합이다.
수론적 성질
자연수에 대한 곱셈식 ab=cdisplaystyle ab=c이 성립할 때, a,bdisplaystyle a,b가 cdisplaystyle c의 약수라고 하며, 반대로 cdisplaystyle c를 a,bdisplaystyle a,b의 배수라고 한다. 0은 모든 자연수를 약수로 가지며, 0의 배수는 0뿐이다. 그러나, 양의 정수의 경우만을 생각하기도 한다. 항등식 1a=adisplaystyle 1a=a에 따라, 자연수는 항상 1과 자기 자신을 약수로 가지는데, 약수가 이들뿐인 자연수를 소수라고 하며, 그렇지 않은 자연수를 합성수라고 한다. 다만, 0과 1은 소수도 합성수도 아니라고 정의한다. 산술의 기본 정리에 따르면, 모든 합성수는 유한 개의 소수들의 곱으로 표현 가능하며, 이러한 표현은 소수들을 곱하는 순서를 무시하면 유일하다.
같이 보기
- 정수
참고 문헌
↑ “남북 기술용어”. 《북한과학기술네트워크》.
외부 링크
“자연수 VS 유리수”. 《네이버캐스트》.
“자연수 VS 실수”. 《네이버캐스트》.
“Natural number”. 《Encyclopedia of Mathematics》 (영어). Springer-Verlag. 2001. ISBN 978-1-55608-010-4.
Weisstein, Eric Wolfgang. “Natural number”. 《Wolfram MathWorld》 (영어). Wolfram Research.
“Natural number”. 《nLab》 (영어).
“Natural numbers type”. 《nLab》 (영어).
“Natural numbers in SEAR”. 《nLab》 (영어).
“Extended natural number”. 《nLab》 (영어).
“Natural number”. 《Groupprops》 (영어).
“Natural number”. 《PlanetMath》 (영어).
분류:
- 기수
- 순서수
- 정수
- 수론
(window.RLQ=window.RLQ||[]).push(function()mw.config.set("wgPageParseReport":"limitreport":"cputime":"0.328","walltime":"0.563","ppvisitednodes":"value":1394,"limit":1000000,"ppgeneratednodes":"value":0,"limit":1500000,"postexpandincludesize":"value":38893,"limit":2097152,"templateargumentsize":"value":982,"limit":2097152,"expansiondepth":"value":8,"limit":40,"expensivefunctioncount":"value":0,"limit":500,"unstrip-depth":"value":0,"limit":20,"unstrip-size":"value":3755,"limit":5000000,"entityaccesscount":"value":0,"limit":400,"timingprofile":["100.00% 264.057 1 -total"," 35.58% 93.957 11 틀:웹_인용"," 23.97% 63.304 1 틀:각주"," 18.84% 49.746 4 틀:Llang"," 10.86% 28.684 1 틀:수_체계"," 9.65% 25.479 1 틀:둘러보기_상자"," 7.12% 18.794 3 틀:본문"," 6.98% 18.438 4 틀:Nlab"," 4.60% 12.134 2 틀:네이버캐스트"," 3.78% 9.973 1 틀:앵커"],"scribunto":"limitreport-timeusage":"value":"0.088","limit":"10.000","limitreport-memusage":"value":3596078,"limit":52428800,"cachereport":"origin":"mw1303","timestamp":"20190505115354","ttl":2592000,"transientcontent":false););"@context":"https://schema.org","@type":"Article","name":"uc790uc5f0uc218","url":"https://ko.wikipedia.org/wiki/%EC%9E%90%EC%97%B0%EC%88%98","sameAs":"http://www.wikidata.org/entity/Q21199","mainEntity":"http://www.wikidata.org/entity/Q21199","author":"@type":"Organization","name":"uc704ud0a4ubbf8ub514uc5b4 ud504ub85cuc81dud2b8 uae30uc5ecuc790","publisher":"@type":"Organization","name":"Wikimedia Foundation, Inc.","logo":"@type":"ImageObject","url":"https://www.wikimedia.org/static/images/wmf-hor-googpub.png","datePublished":"2003-08-12T04:50:34Z","dateModified":"2018-05-10T20:20:03Z","headline":"0uc774 uc544ub2cc, uc790uc5f0uc801uc73cub85c uc0acub78cuc774 uc140 uc218 uc788ub294 uc218"(window.RLQ=window.RLQ||[]).push(function()mw.config.set("wgBackendResponseTime":165,"wgHostname":"mw12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