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분당선 목차 개요 연혁 역 목록 운영 논란 지선 노선 승차량 변동 각주 둘러보기 메뉴eh안규백 의원, 분당선 청량리역 운행 이끌어내분당선 전철, 청량리역까지 연장 운행…31일부터 평일 18회건설교통부고시 제1998-223호철도청고시 제2004-41호분당선, 오늘부터 청량리역까지 다닌다국토교통부고시 제2019-173호`소음 전동차'…안내 방송도 안들려신도시 전철 `눈덩이' 적자민자 참여 신분당선에 기대 크다분당선 전철역 하루 이용객 10~18명분당선 이매역 오늘 개통지하철 분당선 용인까지 연장분당선 연장구간 보정~상갈 신역세권 뜬다강남은 중전철! 강북은 경전철? 서울 동북부 5개 구민, 동북선 중전철화 요구MBC 카메라 취재 - 분당선 지하철공사, 시공부실MBC 뉴스 1994.9.7. - 감사원, 분당선 부실공사 110군데 누수 적발“KBS 뉴스 2009.2.9. - <nowiki>[취재현장”원본 문서분당선eheheheheheheheheh

시흥연결선대전남연결선대구북연결선건천연결선가야선남부화물기지선대구선대전선미전선병점기지선부강화물선신동화물선양산화물선오송선평택선효창선용산선교외선수색직결선강경선대불선장성화물선광양제철선광양항선광주선덕산선부산신항선신광양항선전경삼각선진해선화순선장항화물선군산화물선옥구선북전주선여천선괴동선동해북부선우암선온산선부전선장생포선울산항선망우선영천삼각선금장삼각선삼척선북평선묵호항선문경선함백선정선선경인선경강선안산선과천선분당선일산선수인선신분당선고한선동해남부선동해중부선(경동선)마산선영암선영월선전남선진주선철암선황지지선김삼선남부순환선대삼선단양선비인선부하철도서해안선충남선[1] 경부[15] 서해안익산평택평택파주[29] 세종포천[35] 중부[37] 제2중부[40] 평택제천[45] 중부내륙[50] 영동[52] 광주원주[60] 서울양양[100] 서울외곽[110] 제2경인[120] 경인[130] 인천국제공항[153] 평택시흥오산화성용인서울[400] 수도권제2순환1호3호6호17호21호34호37호38호39호42호43호44호45호46호47호48호75호77호87호301호302호305호306호309호310호311호313호314호315호317호318호321호322호325호329호330호333호334호337호338호341호342호345호349호352호355호356호357호358호359호360호363호364호367호368호371호372호375호376호379호383호387호391호23호39호56호57호70호78호82호84호86호88호98호경부선경원선중앙선경춘선경부고속철도호남고속철도수서고속철도수도권 전철 1호선수도권 전철 3호선수도권 전철 4호선서울 지하철 5호선서울 지하철 7호선서울 지하철 8호선수인선분당선신분당선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수도권 전철 경춘선경강선서해선의정부 경전철용인 경전철덕소역양평역용문역지평역석불역일신역매곡역양동역삼산역안양역수원역오산역서정리역평택역광명역수원역행신역동탄역지제역경기시내버스경기순환버스따복버스굿모닝 급행버스고양과천광명광주구리김포남양주동두천부천성남수원시흥안산안성안양, 군포, 의왕양주여주오산용인의정부이천파주평택포천하남화성가평양평연천가평목동설악청평현리고양고양화정광명철산광주곤지암구리군포도농 · 금곡 · 평내 · 마석동두천부천송내역부천역·소사동·송내사거리수원서수원수원역아주대영통입구우만동성남시흥안산상록수역안성공도대림동산양성일죽죽산안양역 · 안양킹덤웨딩홀 · 범계 · 호계동 · 비산동양주역양평개군용두용문여주능서대신태평전곡오산용인백암송전신갈양지유방동의정부의왕고천이천장호원문산파주적성평택평택시외송탄안중포천송우신북운천일동하남서신조암향남남양서울공항수색비행장수원 비행장오산공군기지험프리스 기지


수도권 전철 분당선1994년 개통한 철도 노선대한민국의 철도 노선서울특별시의 철도 교통경기도의 철도 교통성남시의 교통용인시의 교통수원시의 교통


서울특별시동대문구청량리역경기도수원시팔달구수원역한국철도공사철도수도권 전철운행 계통서울특별시강남구경기도성남시분당구수원용인한강수인선노란색대피역오리죽전기흥망포기흥역대피역죽전역1990년대산본평촌분당일산중동분당신도시오리역왕십리역수서오리청량리역수원역선릉수서왕십리선릉1995년선릉역수서역왕십리선릉선릉수서왕십리선릉광역철도경의·중앙선2호선5호선7호선선정릉역2015년3월 28일9호선신논현중앙보훈병원역분당구용인시수인선오리역용인시수지구기흥구수원역보정역2004년11월 26일죽전역2007년12월 24일죽전기흥용인 경전철2011년12월 28일경원대역가천대역보정역차량기지기흥망포2012년12월 1일망포수원2013년11월 30일2018년12월 31일왕십리청량리왕십리청량리민주당민병두안규백2020년수인선직결 운행청량리역수원역오이도역인천역죽전행왕십리행청량리행죽전행수원행왕십리역왕십리역죽전차량기지수원역수원역수원시청망포기흥죽전죽전왕십리왕십리왕십리죽전죽전기흥망포수원시청수원역왕십리선릉오리수인선대모산입구역수서역야탑역수인선청량리인천수서오리콘크리트dB철도청한국철도공사스크린도어VVVF도시바GTOIGBT일산선과천선1997년한국철도공사과천선일산선경기도성남시서울특별시광역철도분당왕십리수서역3호선종착역수서역3호선수서역서울 강남경기도분당죽전신도시3호선주황색3호선2003년2호선선릉역2004년2호선선릉역1996년8호선복정역서울광역버스신분당선2011년수서역선릉역서울강남구일원동개포동강남구한국철도공사수서역도곡역대모산입구역개포동역구룡역수서역선릉역대모산입구역개포동역구룡역구룡역2006년개포동역대모산입구역구룡역에너지핌피성남시분당구이매동한국철도공사이매역2000년3월2004년1월 16일이매역선릉수서성남시성남시청모란야탑절연 구간오리역분당차량사업소오리역분당차량사업소전동차오리역용인시구성읍기흥구보정동죽전역용인시보정역보정역죽전역분당차량사업소2011년10월 28일신분당선 전동차기흥역기흥역보정역오리수서1990년1994년철도청일산선과천선철도청다이너마이트경찰2009년2월 20일선릉한티m죽전역분당차량사업소












분당선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분당선

Korail Class 351000 EMU 3rd batch.jpg
분당선을 달리는 351000호대 전동차

기본 정보
운행 국가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종류
광역철도, 운행 계통
체계
수도권 전철
상태
영업 중
기점
청량리역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왕산로214)
종점
수원역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매산로1가)
역 수
37
노선 번호
318
노선 색
노란색
개통일
1994년 9월 1일
소유자
대한민국의 정부
(한국철도시설공단 수탁관리)
운영자
한국철도공사
차량 기지
분당차량사업소
사용 차량
한국철도공사 351000호대 전동차
노선 제원
영업 거리
52.9km
궤간
1,435mm
궤도
표준궤
선로 수
복선
전철화
교류 25,000 V, 60 Hz
복선 구간
전 구간
신호 방식
ATC
설계 최고 속도
90km/h
v  d  e  h

분당선(盆唐線)은 서울특별시 동대문구의 청량리역과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의 수원역을 잇는 한국철도공사의 철도 노선 및 수도권 전철의 운행 계통을 가리키는 말이다. 초창기엔, 서울특별시 강남구와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를 이을 목적으로 건설되었으나, 단계적인 구간 연장으로 수원, 용인 및 한강 이북 지역을 잇는 간선 교통 역할을 담당하게 되었다. 안내되는 노선의 고유색은 수인선과 동일한 노란색이다. 급행 대피역은 총 4개(오리, 죽전, 기흥, 망포)이며 사실상 기흥역만 대피역이고 죽전역은 대피선을 차량기지 입ᆞ출고선으로 쓴다.




목차





  • 1 개요


  • 2 연혁


  • 3 역 목록


  • 4 운영

    • 4.1 운행


    • 4.2 차량



  • 5 논란

    • 5.1 초창기의 소음 문제


    • 5.2 수요예측 문제


    • 5.3 서울 도심 접근 문제


    • 5.4 분당선 역사 추가 건설 문제

      • 5.4.1 도곡 ~ 수서 구간


      • 5.4.2 야탑 ~ 서현 구간


      • 5.4.3 분당차량사업소 내 보정역 건설



    • 5.5 추가 연장 문제


    • 5.6 부실 공사 문제

      • 5.6.1 콘크리트 침목 문제




  • 6 지선 노선

    • 6.1 분당기지선



  • 7 승차량 변동


  • 8 각주




개요


분당선은 1990년대 초 수도권 5대 신도시 (산본, 평촌, 분당, 일산, 중동) 건설에 따른 교통난 해소의 일환으로 추진된 노선이며, 이 중 분당신도시 개발 계획에서 가장 핵심적인 교통 수단으로, 본래 분당 지역의 오리역부터 왕십리역까지 전 구간 동시 개통하는 것으로 예정되어 있었지만 수서 ~ 오리 구간만 1차적으로 착공하여 1994년에 개통되었으며, 이후 지속적으로 연장되면서, 현대와 같은 청량리역에서 수원역까지 구간으로 연장되었다.


분당선 1단계 구간 (수서 ~ 오리) 완공 당시 선릉 ~ 수서 연장 구간은 1998년에, 왕십리 ~ 선릉 연장 구간은 2002년에 완공될 예정이었으나, 1995년 선릉역 ~ 수서역 구간 연장 공사가 시작될 당시 왕십리 ~ 선릉 구간 공사는 무기한 연기되었다. 이후 선릉 ~ 수서 구간은 2003년에 개통되었고, 무기한 연기되었던 왕십리 ~ 선릉 구간은 광역철도로 지정되어 2004년이 되어서야 뒤늦게 착공해 2012년 10월 6일에 개통되었다. 이렇게 연장 개통된 구간은 서울 강북지역과 강남지역의 연계를 도모하고 경의·중앙선, 2호선, 5호선, 7호선과의 연계도 확충되었으며, 이후에는 선정릉역에서도 2015년 3월 28일에 연장 개통된 9호선 2단계 신논현 ~ 중앙보훈병원역 구간과 환승이 가능해졌다.


위의 구간과 별개로 분당구 남쪽의 용인시 지역의 택지개발에 따른 교통망을 확충하고 향후 수인선과의 직결운행을 고려해 오리역에서 용인시 수지구, 기흥구를 거쳐 수원역까지 이어지는 노선 연장이 계획되었으며, 이 구간에는 급행열차 운행에 대비하여 일부 역에 대피선이 설치되었다. 오리 ~ 수원 연장 구간 중 보정역은 2004년 11월 26일에, 죽전역은 2007년 12월 24일에 개통되었으며, 죽전 ~ 기흥 구간은 용인 경전철 환승 편의를 위하여 2011년 12월 28일에 개통되었다. 이 때 경원대역이 가천대역으로 역명이 변경되었고, 보정역은 차량기지 내 지상 임시역에서 지하 정식역으로 이전·승격되었다. 기흥 ~ 망포 구간은 2012년 12월 1일에 개통, 망포 ~ 수원 구간은 2013년 11월 30일에 개통되었으며, 2018년 12월 31일 왕십리 ~ 청량리 구간이 연장되었다.


왕십리 - 청량리 구간은 지역구 민주당 민병두 국회의원의 공약으로 추진된 사항으로서, 2017년 10월 설계 용역 착수 이후에 2018년 8월 개통을 목표로 사업을 추진하기로 하였다고 안규백 국회의원이 2017년 9월 27일 밝혔다.[3] 청량리역에서는 2018년 12월 31일부터 평일에 한해 분당선 열차가 18회 운행되었다.[4]


2020년 상반기 ~ 하반기 사이에, 수인선과 직결 운행하여 청량리역에서 수원역ᆞ오이도역을 거쳐 인천역까지 이르는 구간이 하나의 노선으로 직결되어 운행될 예정이며, 직결된 구간에서도 급행열차가 운영될 예정이다.



연혁



  • 1989년 11월 2일 : 선릉 - 왕십리 구간 실시 설계.


  • 1990년 2월 26일 : 수서 - 오리 구간 착공.


  • 1992년 6월 ~ 11월 : 오리 - 수원 구간 타당성조사 (서울대학교 공학연구소)


  • 1992년 12월 23일 : 선릉 - 왕십리 구간 무기 연기.


  • 1994년 9월 1일 : 수서 - 오리 구간 개통 및 수서역 환승 개통, 수도권 전철 3호선.


  • 1995년 3월 29일 : 수서 - 선릉 구간 착공.


  • 1996년 11월 23일 : 복정역 개통 및 서울 지하철 8호선 환승 개통 (모란역 포함).


  • 1998년 7월 11일 : 수서 - 선릉 구간 건설 실시계획 승인.[5]


  • 2000년 9월 ~ 2001년 10월 23일 : 오리 - 수원 구간 기본 설계.


  • 2001년 12월 ~ : 오리 - 수원 구간 노반 실시 설계.


  • 2002년 : 국회에 대모산입구 ~ 수서 사이에 탄천역 추가를 요청했지만 거절.


  • 2002년 9월 16일 : 오리 - 죽전 구간 착공.


  • 2002년 9월 25일 : 성남시의 행정구역 변경에 따라 초림역백궁역을 각각 수내역, 정자역으로 역명 변경.


  • 2002년 11월 22일 : 죽전역 지상화 결정.


  • 2003년 6월 20일 : 선릉 - 강남구청 구간 착공.


  • 2003년 7월 : 죽전임시역(보정역) 타당성 조사 통과, 설치 결정.


  • 2003년 8월 : 용인시 구간의 추가역 2개 신설 결정 (현 보정역과 신갈역으로, 기존 계획에 없었음).


  • 2003년 8월 : 죽전역 노반 공사 착공.


  • 2003년 9월 3일 : 수서 - 선릉 구간 개통.


  • 2004년 1월 16일 : 야탑 - 서현 구간에 이매역 개통.


  • 2004년 9월 24일 : 구룡역 개통.


  • 2004년 10월 1일 : 강남구청 - 왕십리 구간 착공.


  • 2004년 10월 14일 : 죽전 - 기흥 구간 착공.


  • 2004년 11월 26일 : 경기도 용인시 구성읍 (현 기흥구)에 보정역을 임시역 형태로 개통.[6]


  • 2006년 12월 22일 : 기흥 - 수원 구간 착공.


  • 2007년 12월 24일 : 오리 - 죽전 구간 개통.


  • 2011년 10월 28일 : 신분당선 개통과 함께 정자역 환승 개통.


  • 2011년 12월 28일 : 죽전 - 기흥 구간 개통, 경원대역이 가천대역으로 역명 변경, 보정임시역 폐쇄.


  • 2012년 10월 6일 : 선릉 - 왕십리 구간 개통.


  • 2012년 12월 1일 : 기흥 - 망포 구간 개통.


  • 2013년 4월 26일 : 용인 경전철 개통과 함께 기흥역 환승 개통.


  • 2013년 11월 30일 : 망포 - 수원 구간 개통과 동시에 급행 열차 운행개시.


  • 2014년 1월 9일 : 기흥역 환승 통로 개통(용인 경전철과 연결).


  • 2014년 9월 20일 : 용인 경전철 연락운송 체계로의 편입(별도 추가 운임 200원) 및 통합환승할인 적용.


  • 2015년 3월 28일 : 서울 지하철 9호선 개통과 함께 선정릉역 환승 개통.


  • 2016년 9월 24일 : 경강선 개통과 함께 이매역 환승 개통.


  • 2016년 12월 9일 : 수서고속철도 개통으로 수서역 환승 개통.


  • 2018년 4월 28일 : 신분당선 미금역 환승 개통.


  • 2018년 10월 2일 ~ 11월 30일 : 왕십리 - 청량리 구간 연장을 위한 선로 개량 공사로 열차 운행 시간 일부 조정(~ 2018년 10월 21일.) 및 선로 및 시설 개량 공사.


  • 2018년 12월 31일 : 왕십리 - 청량리 구간 개통.[7]

  • 2019년 4월 17일 : 철도 노선번호 변경에 따라 318로 변경[8]


역 목록


● : 급행 정차 | : 급행 미정차





































































































































































































































































































역 번호
역명
로마자 역명
한자 역명
급행
접속 노선
역간
거리
누적
거리
소재지
K209

청량리
Cheongnyangni
淸凉里


수도권 전철 1호선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수도권 전철 경춘선
경원선
중앙선
-
0.0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K210

왕십리
Wangsimni
往十里
전역정차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서울 지하철 2호선
서울 지하철 5호선
경원선
2.4
2.4

성동구
K211

서울숲
Seoul Forest


2.2
2.2
K212

압구정로데오
Apgujeongrodeo


1.9
4.1

강남구
K213

강남구청
Gangnam-gu Office
江南區廳

서울 지하철 7호선
1.2
5.3
K214

선정릉
(한국과학창의재단)
Seonjeongneung
宣靖陵

서울 지하철 9호선
0.7
6.0
K215

선릉
Seolleung
宣陵

서울 지하철 2호선
0.7
6.7
K216

한티
Hanti


1.0
7.7
K217

도곡
Dogok
道谷

수도권 전철 3호선
0.7
8.4
K218

구룡
Guryong
九龍

0.6
9.0
K219

개포동
Gaepo-dong
開浦洞

0.7
9.7
K220

대모산입구
Daemosan
大母山入口

0.6
10.3
K221

수서
Suseo
水西

수도권 전철 3호선
수서고속철도
3.0
13.3
K222

복정
(동서울대학)
Bokjeong
福井

서울 지하철 8호선
3.2
16.5

송파구
K223

가천대
Gachon Univ.
嘉泉大

2.4
18.9

경기도

성남시
K224

태평
Taepyeong
太平

1.0
19.9
K225

모란
Moran
牡丹

서울 지하철 8호선
0.9
20.8
K226

야탑
Yatap
野塔

2.3
23.1
K227

이매
(성남아트센터)
Imae
二梅

경강선
1.7
24.8
K228

서현
Seohyeon
書峴

1.4
26.2
K229

수내
(한국잡월드)
Sunae
藪內

1.1
27.3
K230

정자
Jeongja
亭子

신분당선
1.6
28.9
K231

미금
(분당서울대병원)
Migeum
美金

신분당선
1.8
30.7
K232

오리
Ori
梧里

1.1
31.8
K233

죽전
(단국대)
Jukjeon
竹田

1.8
33.6

용인시
K234

보정
Bojeong
寶亭


1.3
34.9
K235

구성
Guseong
駒城


1.6
36.5
K236

신갈
Singal
新葛


1.6
38.1
K237

기흥
(백남준아트센터)
Giheung
器興


용인 경전철
1.4
39.5
K238

상갈
(루터대학교)
Sanggal
上葛


1.9
41.4
K239

청명
Cheongmyeong
淸明


2.8
44.2

수원시
K240

영통
(경희대)
Yeongtong
靈通


1.1
45.3
K241

망포
Mangpo
網浦


1.5
46.8
K242

매탄권선
Maetan Gwonseon
梅灘勸善


1.8
48.6
K243

수원시청
(경기도문화의전당)
Suwon City Hall
水原市廳


1.4
50.0
K244

매교
Maegyo
梅橋


1.4
51.4
K245

수원
Suwon
水原


수도권 전철 1호선
경부선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C선(예정)
1.5
52.9

수인선 직결예정


운영



운행


상행은 죽전행ᆞ왕십리행ᆞ청량리행이 있으며, 하행은 죽전행ᆞ수원행이 있다. 현재 운행 계통은 다음과 같다.


  • 총 운행횟수: 평일 : 352회 (급행 12회 포함), 주말, 공휴일 : 280회
    • 왕십리역 - 수원: 평일 : 194회, 주말, 공휴일 : 142회

    • 왕십리역 - 수원 (급행): 평일 : 12회

    • 왕십리역 - 죽전: 평일 : 136회, 주말, 공휴일 : 132회

    • 죽전역 - 수원: 평일 : 18회, 주말, 공휴일 : 6회

    • 청량리 - 수원: 평일 : 18회 주말, 휴일,공휴일 : 운행 안함

    • 청량리 - 죽전: 평일 : 4회, 주말.공휴일 운행 안함

심야 막차 시간대에 중간역에 주박하는 열차는 없으며, 대부분의 상행 열차는 왕십리역에서 종착하며, 왕십리행 상행 막차 1편성은 왕십리역에서 주박한다, 죽전 종착 후 차량기지에 입고하는 편성만 있다. 수원역에서 출발하는 급행열차는 평일 출근 시간에만 4회, 평일 퇴근시간에만 2회 운행되며 수원역ᆞ수원시청ᆞ망포ᆞ기흥ᆞ죽전에만 정차하고 죽전부터 왕십리 까지는 모든 역에 정차한다. 왕십리에서 출발하는 급행 열차는 평일 출근 시간에만 2회, 평일 퇴근시간에만 4회 운행되며 왕십리부터 죽전까지는 모든 역에 정차하고 죽전부터는 기흥ᆞ망포ᆞ수원시청ᆞ 수원역에 정차 한다. 승강장은 왕십리ᆞ선릉 ~ 오리 구간은 10량[9], 이 외의 나머지 모든 구간은 8량을 기준으로 건설되었으나, 현재 분당선의 모든 전동차들은 6량 1편성으로 운행하고 있다. 미래에 수인선 직결 운행과 동시에 급행열차 운행을 30분 간격으로 대폭 확대하여 운행할 방침으로, 또한 급행 열차 운행 확대와 함께 대모산입구역ᆞ수서역ᆞ야탑역 등에 대피선 설치 및 시설개량 계획도 있으며, 수인선과 상호 직결 운행될 예정으로서, 직결 운행이 시행되면 청량리 ~ 인천 구간이라는 간선 광역 철도가 완성되어 수인ᆞ분당선이라는 광역철도로 통합 운행된다.



차량


  • 한국철도공사 351000호대 전동차


논란



초창기의 소음 문제


분당선이 처음 초창기에 개통 되었을 때에는 수서에서 오리까지의 전 구간이 지하에 건설되어 있었다. 개통 당시엔 유지 보수 비용을 줄이기 위하여 선로에 자갈을 깔지 않고, 그 대신 침목도 모두 콘크리트로 대체하였다. 그러나 이 때문에 침목이 소음을 흡수하지 못하고 열차가 운행할 때 나는 소음이 오히려 터널 내에서 들리게 되었다. 게다가 선로가 심하게 마모되고 용접도 불량하였기 때문에, 소음은 더욱 심해졌다. 그로 인하여 분당선은 결국 "소음선"이라는 별명이 붙여져 비판을 받게 되었다.


이 소음은 객차 안에서 대화 소리가 잘 들리지 않거나 앞 역에서 나는 발차음이 들릴 정도로 심하였다. 개통 초기에는 소음이 100dB을 기록할 정도로 심하였기 때문에, 당시 철도청(현 한국철도공사)에 많은 민원이 제기되었다. 최근에는 승강장 스크린도어 설치와 일부 전동차의 주변환장치 VVVF 인버터를 도시바제 GTO에서 우진산전제 IGBT로 교체하고, 신규 전동차를 점진적으로 도입함에 따라 소음이 어느 정도 감소되었다.[10]



수요예측 문제


분당선 뿐만 아니라 일산선, 과천선 등 신도시 전철의 적자가 누적되어 수요 예측에 문제가 있었다는 지적이 제기되었다. 1997년 당시 철도청(현 한국철도공사)이 운행하는 과천선, 분당선, 일산선의 적자 규모는 각각 223억 3700만원, 188억 5000만원, 124억 4400만원이었다.[11]



서울 도심 접근 문제




3호선 노선 안내판에 오리역이 기재되어 있다. 사진은 2007년에 고속터미널역에서 촬영한 것이다.


분당선은 초창기 개통 당시 경기도 성남시에서 서울특별시로 빠르고 쉽게 접근하기 위하여 계획된 광역철도이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분당선은 분당에서 왕십리 사이의 전 구간을 동시에 개통하기로 계획되어 있었다. 그러나 여러 가지 사정으로 인하여 처음에 수서역까지 부분적으로 개통하면서 문제가 시작되었다.


개통 초기에는 분당선의 출발역이자 3호선의 종착역이었던 수서역에서만, 3호선으로의 환승을 통하여 서울에 접근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일부 시민들은 수서역에서 환승 없이 곧바로 서울로 갈 수 있는 것으로 오해하였다. 당시 서울 강남, 경기도 분당, 죽전신도시 아파트 분양 광고에서도 이와 같이 입주 예정자들을 속이기도 하였다. 그 이유는 당시 노선도 중 일부에서 3호선과 분당선을 안내할 때 동일한 고유색인 주황색을 사용하였기 때문이다.[12] 그러나 실제로는 분당선과 3호선은 환승만 가능하였기 때문에, 시민들은 여전히 불편과 혼란을 겪어야 하였다. 이러한 오해는 분당선이 2003년에 2호선 선릉역까지 연장 개통 전 및 2004년에 2호선 선릉역까지 연장 개통 후까지도 계속되었다.


이후 1996년에 8호선이 개통되어, 복정역에서 8호선으로 갈아탈 수 있게 되어 승객이 다소 늘어났다. 그러나 분당 지역에서 서울로 빠르고 쉽게 접근한다는 본래의 목적을 이루기에는 부족하였다. 그 이후로도 여러 가지 사정 때문에 연장 구간마저 개통이 지연되었다. 또한 당초 노선 자체가 우회하도록 설계되어 있어 분당 지역과 서울 강북의 도심 지역을 단시간으로 연결될 수 없도록 되어 있었다. 이렇게 되자 광역버스를 이용하는 것이 분당 지역에서 서울 도심으로 접근할 때 분당선을 이용하는 것보다 시간면에서 훨씬 유리하게 되었다.[13]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신분당선이 2011년에 개통되었다.



분당선 역사 추가 건설 문제



도곡 ~ 수서 구간


당초 수서역에서 선릉역까지의 구간에는, 서울 강남구 일원동과 개포동 일원에 1개 역만 건설하기로 계획되어 있었다. 이 지역은 상업 지역도 아닌데다 집객 효과를 유발할만한 요소도 없다고 판단되었기 때문이다.[14]


그러나 교통영향평가에서 이 구간에 역을 1개 정도 추가로 건설해도 큰 문제가 없다고 발표하자, 강남구 측에서 역을 추가할 것을 요구하였다. 그리고 당시 철도청(현 한국철도공사)이 주민들의 요구를 받아들임으로써 문제가 제기되었다.[14]


결국 수서역과 도곡역 사이의 구간에는 대모산입구역, 개포동역, 구룡역을 신설하기로 최종적으로 정해졌고, 수서역 ~ 선릉역 구간의 공사는 예산 재원 확보 문제로 장기간 동안 지연되어 대모산입구역과 개포동역에서만 영업을 시작한 상태에서 개통할 수 밖에 없었다. 구룡역은 1년이 지나서야 완공되어 영업을 시작하였다. 역명은 구룡산이 인근에 있어 붙여졌다. 역 주변에 구룡중학교, 한국외국인학교, 개포고등학교 등이 있다.


신설된 3개 역은 서로간의 거리가 매우 가까워서, 앞뒤 역에 정차한 열차의 모습이 보이기도 하고, 역 안에 게시된 주변 지역 안내도에도 3개 역이 동시에 표시될 정도이다. 이에 따라서 열차의 표정 속도도 수서역과 보정역 사이의 구간 (39.5km/h)에 비하여 약 6km/h가 낮은 33.0km/h이다. 이는 구룡역 부근에서 선형이 직각에 가깝게 틀어지므로, 열차가 속도를 낮추어 운전하여야 하기 때문이기도 하다. 또한 2006년 기준으로 3개 역 중 가장 많은 1일 이용객을 가진 개포동역보다 이용객수가 적은 역은 대모산입구역과 구룡역을 제외하고는 35곳밖에 불과하다.[14]


이 때문에 시간과 에너지, 세금 등의 여러 가지 측면에서 낭비가 심하다는 비판이 있는데, 이는 역간 소요 시간이 매우 짧고, 3개 역 사이의 구간에 대체 교통 수단이 충분히 있으며, 지역 주민들의 이기심 (핌피, PIMFY) 때문에 세워졌음에도 불구하고 이용하는 사람이 매우 적다는 현실이 반영된 것이다.[14]



야탑 ~ 서현 구간


분당선의 2단계 연장 구간 공사가 진행될 당시, 성남시 분당구 이매동 주민들이 서현역과 야탑역의 역간 거리가 멀어 분당선 이용에 불편사항이 많다는 이유를 들어 역 신설을 지속적으로 요구한 결과, 철도청(현 한국철도공사) 측에서는 이 점을 고려하여 요구를 흔쾌히 받아들여, 이매역을 2000년 3월 착공하여 2004년 1월 16일 개통시켰다.[15] 분당선 2단계 구간 건설시와 같은 공법으로 건설되었기 때문에, 이매역 역시 선릉 ~ 수서 구간 역사와 비슷한 형태를 갖는다[출처 필요].


성남시에서도 성남시청 신청사 이전 건립 전부터 모란 - 야탑 2.3km 구간에 여러 차례 역사 유치를 위해 관련 기관과 업무 협의를 하였으나, 종단기울기 및 터널공법구간 등의 기술적인 문제로 역사 추가 설치가 어렵다는 의견으로 무산되었고[출처 필요], 실제로도 해당 구간은 절연 구간이다.



분당차량사업소 내 보정역 건설




분당차량사업소 내 건설된 보정임시역사.


당시 종착역이었던 오리역과 분당차량사업소 간의 거리가 약 2.3km 정도로 꽤 멀리 떨어져 있어서, 오리역에 종착한 후 분당차량사업소까지 2.3km를승객 없이 주행하는 전동차를 바로 눈앞에 두고도 오리역까지의 거리가 아주 멀어 분당선 이용에 불편을 호소하던 인근 용인시 구성읍 보정리 (현 기흥구 보정동) 주민들의 민원으로 인해 차량기지 내에 역사를 건설할 계획이 당초에는 없었으나, 풍덕천사거리 인근에 건설될 죽전역을 대신하여 용인시에서 총 54억원의 건설 비용 중 49억 5천여 만원을 부담하여 보정역 임시 승강장을 설치하여 영업하게 되었다.[16] 당초 보정역은 죽전역이 개통되면 폐지될 예정이었고, 인근 주민들의 요구로 존치되어 계획보다 오래 영업하였으나, 분당차량사업소는 2011년 10월 28일에 개통된 신분당선 전동차까지 임시로 수용하여야 하는 등의 문제로 인하여 기지 내 용량 확대를 위해 기흥역 구간 연장 개통과 함께 임시 역사를 폐쇄[17]하고 기흥역 연장 개통과 동시에 지하로 보정역을 이전하였다.



추가 연장 문제



  • 왕십리 - 상계 구간으로 개통될 예정인 경전철 동북선을 중전철로 건설하여 분당선과 직결시키자는 주장이 지역사회에서 나오고 있다.[18]


부실 공사 문제


분당선의 오리 - 수서 구간은 1990년에 착공되어 4년 뒤인 1994년에 완공되었다. 전 구간이 지하로 건설되었고 그만큼 엄격한 관리가 필요하였다. 하지만 철도청에서 엄격한 관리를 하지 않았고, 이 때문에 특정 구간에서 부실 공사가 진행되어 문제가 되었다. 당시 일산선, 과천선 등에서도 이와 같은 문제가 발견된 적이 있다.


첫 번째 문제는 시공사의 터널 숏크리트 부실 시공이다. 마대를 붙이고 시멘트를 덧칠하는 바람에 터널 사이의 공간이 많이 벌어져 벽면이 상당히 약해졌고[19], 곳곳에서 누수 등의 문제가 발생하게 되었다.[20]


두 번째 문제는 철도청의 부실 관리이다. 분당선 건설 당시 다이너마이트를 이용한 발파를 하였다. 발파시에는 경찰이나 기타 화약 전문가들의 엄격한 관리가 필요하였는데, 공사 당시에는 화약이 아무곳에나 방치되었고 전문가가 아닌 일반 건설업자들이 직접 발파 작업까지 하는 등 주먹구구식 관리로 인하여 자칫 대형 사고를 불러올 수도 있었다. 이 뿐만 아니라, 건설에 사용될 철근의 길이도 뒤죽박죽이어서 3m 짜리 철근을 사용해야 하는 곳에 2m 철근과 1m 철근을 붙여 사용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또 측량도 엉터리로 진행하여 일부 구간에서는 터널의 모양이 흐트러져 재시공하기까지 하였다.



콘크리트 침목 문제



이 문단의 일부는 오래된 정보를 가지고 있어 최신 정보로 교체되어야 합니다. 검토 후 최신 사건이 반영되도록 문서를 수정해 주세요.
내용에 대한 의견이 있으시다면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2016년 12월 11일)

2009년 2월 20일 분당선의 2단계 구간에서 궤도 옆부분의 콘크리트에서 심각한 균열이 발생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선릉 - 한티에서만 40개가 넘는 균열이 발생했고, 그중 큰 것은 7m가 넘는 것도 있었다. 문제가 발생한 원인은 분당선에 콘크리트 시공법이 처음 시도되어 시행 착오가 있었고, 한국철도기술공사에서 잘못된 침목 설계를 했기 때문인 것으로 드러났다. 분당선 구간의 배수구에서 흐르는 물이 침목에 유입되지 않도록 팽창제를 설치했는데, 이 팽창제가 물을 흡수하면서 점점 팽창하여 콘크리트에 균열이 발생한 것이다. 철도시설공단에서는 운행에는 문제가 없다며 문제가 생긴 구간에만 긴급 조치를 취해놓은 상태였지만, 아직 안전을 보장할 수 없는 상태이다. 분당선은 1단계 구간 공사 당시에도 부실 공사가 행해졌으며,[21] 2단계 구간에서도 역시 문제가 발견되면서, 이후에 연장된 구간에도 이와 같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가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다.[22]



지선 노선


분당선에는 총 1개의 지선 철도가 있다.














번호노선 명칭기점종점연장(km)비고
31801
분당기지선죽전역분당기지0.8


분당기지선


분당기지선은 죽전역과 분당차량사업소를 연결하는 철도 노선이다. 국토교통부의 한국철도영업거리표 상 노선 번호는 31801 이다.

















역명
역간거리
(km)
영업거리
(km)
접속 노선
소재지

죽전
0.0
0.0
분당선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분당기지
0.8
0.8


승차량 변동





















































승차 인원[23]
구간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범주구별
구간총량
역당평균[24]구간총량
역당평균[24]구간총량
역당평균[24]구간총량
역당평균[24]
노선 전체
85516

7774
111073

10098
134545

12231
214466

13404
분당 지역(오리~야탑)
56423

9404
74811

12469
93044

15507
106337

17723
성남 구시가(모란~가천대)
25931

8644
31889

10630
36606

12202
40810

13604
서울 시계내(복정~수서)
3161

1581
4371

2186
4894

2447
67318

9617








































승차 인원[23]
구간
2004년
2005년
2006년
범주구별
구간총량
역당평균[24]구간총량
역당평균[24]구간총량
역당평균[24]
노선 전체
166230

8749
170824

8991
177452

9340
분당 이남 지역(보정~야탑)
101302

12663
103718

12965
107390

13424
성남 구시가(모란~가천대)
33242

11081
33248

11083
34340

11447
서울 시계내(복정~선릉)
31686

3961
33857

4232
35721

4465


각주



  1. 수서기지 연결선은 수서고속선 공사를 위해 철거됨


  2. 철거됨


  3. 안규백 의원, 분당선 청량리역 운행 이끌어내


  4. 분당선 전철, 청량리역까지 연장 운행…31일부터 평일 18회


  5. 건설교통부고시 제1998-223호, 1998년 7월 11일.


  6. 철도청고시 제2004-41호, 2004년 11월 26일.


  7. 분당선, 오늘부터 청량리역까지 다닌다 연합뉴스


  8. 국토교통부고시 제2019-173호, 2019년 4월 17일.


  9. 다만, 스크린도어는 8량 기준으로 설치되었다.


  10. `소음 전동차'…안내 방송도 안들려《조선일보》1997년 2월 11일


  11. 신도시 전철 `눈덩이' 적자《조선일보》1998년 10월 25일


  12. 참고로 지하철 역사 내에서도 실제로 3호선과 같은 주황색을 사용하였다. 이 문제는 2000년 수도권 전철 노선명 통합으로 K2호선으로 개정됨과 동시에 노란색으로 바뀌면서 해결되었다.


  13. 민자 참여 신분당선에 기대 크다《대한민국정책포럼》2005년 6월 29일


  14. 분당선 전철역 하루 이용객 10~18명《국정브리핑》2007년 1월 26일


  15. 분당선 이매역 오늘 개통《한겨레》2004년 1월 16일


  16. 지하철 분당선 용인까지 연장《경향신문》2004년 11월 23일


  17. 분당선 연장구간 보정~상갈 신역세권 뜬다《매일경제》2006년 6월 19일


  18. 강남은 중전철! 강북은 경전철? 서울 동북부 5개 구민, 동북선 중전철화 요구


  19. MBC 카메라 취재 - 분당선 지하철공사, 시공부실


  20. MBC 뉴스 1994.9.7. - 감사원, 분당선 부실공사 110군데 누수 적발


  21. 1994년 1단계 구간 개통당시 부실공사로 인해 누수되어 "소음선"에 이어 "누수선"이라는 별명까지 붙여지고 비판을 받게 되었다.


  22. “KBS 뉴스 2009.2.9. - <nowiki>[취재현장”. 2013년 10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10월 16일에 확인함. 


  23. 원자료는 수도권 전철#이용 규모 주석 1번 참조


  24. 가시성을 높이기 위해, 역당 평균량은 이탤릭으로 처리하였다.






Popular posts from this blog

Kamusi Yaliyomo Aina za kamusi | Muundo wa kamusi | Faida za kamusi | Dhima ya picha katika kamusi | Marejeo | Tazama pia | Viungo vya nje | UrambazajiKuhusu kamusiGo-SwahiliWiki-KamusiKamusi ya Kiswahili na Kiingerezakuihariri na kuongeza habari

Swift 4 - func physicsWorld not invoked on collision? The Next CEO of Stack OverflowHow to call Objective-C code from Swift#ifdef replacement in the Swift language@selector() in Swift?#pragma mark in Swift?Swift for loop: for index, element in array?dispatch_after - GCD in Swift?Swift Beta performance: sorting arraysSplit a String into an array in Swift?The use of Swift 3 @objc inference in Swift 4 mode is deprecated?How to optimize UITableViewCell, because my UITableView lags

Access current req object everywhere in Node.js ExpressWhy are global variables considered bad practice? (node.js)Using req & res across functionsHow do I get the path to the current script with Node.js?What is Node.js' Connect, Express and “middleware”?Node.js w/ express error handling in callbackHow to access the GET parameters after “?” in Express?Modify Node.js req object parametersAccess “app” variable inside of ExpressJS/ConnectJS middleware?Node.js Express app - request objectAngular Http Module considered middleware?Session variables in ExpressJSAdd properties to the req object in expressjs with Typescrip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