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경인선 목차 역사 운영 역 목록 사고 이용객 변동 각주 둘러보기 메뉴eheh“경인 쳘도 리슈”원본 문서“기차전통 경인철도합자회사”원본 문서경인철도개업식Archived경인간복선개통경인선 1997년까지 복복선 확장경인선 전철 지하화 추진Archived화륜거 왕래 시간Archived경인간철도규칙 제1조~제12조Archived경인간철도규칙 제12조~제15조과거 내용 찾기8.15특집 지하철 · 전철시대 개막사망 12, 중경상 127명 경인선열차사고후보코레일 > 정부3.0 정보공개 > 자료실 > 통계자료실eheheheheh

시흥연결선대전남연결선대구북연결선건천연결선가야선남부화물기지선대구선대전선미전선병점기지선부강화물선신동화물선양산화물선오송선평택선효창선용산선교외선수색직결선강경선대불선장성화물선광양제철선광양항선광주선덕산선부산신항선신광양항선전경삼각선진해선화순선장항화물선군산화물선옥구선북전주선여천선괴동선동해북부선우암선온산선부전선장생포선울산항선망우선영천삼각선금장삼각선삼척선북평선묵호항선문경선함백선정선선경인선경강선안산선과천선분당선일산선수인선신분당선고한선동해남부선동해중부선(경동선)마산선영암선영월선전남선진주선철암선황지지선김삼선남부순환선대삼선단양선비인선부하철도서해안선충남선


1899년 개통한 철도 노선경인선부천시의 교통인천광역시의 철도 교통경기도의 철도 교통서울특별시의 철도 교통


수인선서울특별시구로구구로역인천광역시중구인천역대한민국의 철도대한민국1897년3월 22일미국1899년9월 18일1974년8월 15일수도권 전철인천광역시부천시서울특별시경원선용산역광운대역도시철도조선철도한강미국1883년6월 23일민영목한강뉴욕김윤식이완용이하영알렌경부선청일 전쟁삼국간섭1896년아관파천미국조선1897년3월 22일우각현도원역미국일본시부사와 에이이치1899년9월 18일인천역노량진역인천축현우각동부평소사오류동노량진1900년7월 8일노량진역경성역11월 12일1906년2월 10일축현역노량진역한강철교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노량진역도원역태평양 전쟁1965년9월 18일대한민국경부선복선화1974년8월 15일경원선광운대역인천역통근형 전동차서울 지하철 1호선구로역경부선서울수원용산2복선구로역부평부평인천구로부평부평주안주안동인천1899년9월 18일모가형 증기 기관차인천역노량진역노량진역인천역비둘기호1974년8월 15일지하철 서울역지하 청량리역서울 지하철 1호선통근형 전동차수도권 전철KTX새마을호무궁화호수도권 전철부천시인천광역시서울 중심부2005년인천광역시부천시서울특별시동인천역용산역제물포주안동암부평송내부천역곡개봉경부선구로역용산역용산역동인천역2006년경원선 직통 급행전철경원선동두천역광운대역인천역한국철도공사












경인선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경인선

Gyeongin-Line KORAIL.PNG
경인선의 위치


141 Guro Gyeongin Line 0 km.jpg

구로역 경인선 0 km 거리 표지

기본 정보
운행 국가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종류
광역 철도
상태
영업 중
기점
구로역
(서울특별시 구로구)
종점
인천역
(인천광역시 중구)
역 수
21
개통일
최초 개통 : 1899년 9월 18일
수도권 전철 운행 개시 : 1974년 8월 15일
소유자
한국철도시설공단
운영자
한국철도공사
서울교통공사[내용주 1]
노선 제원
영업 거리
27.0 km
궤간
1,435 mm
선로 수
4(구로 - 동인천)
2(동인천 - 인천)
전철화
가공전차선
교류 25,000 V
신호 방식
ATS
v  d  e  h

경인선(구로역-인천역)

설명






















































































































BSicon .svg

STR

STR


경부선(서울역 방면)





BSicon .svg

SBHF

STR
0.0
구로





BSicon .svg

STR

STRl








BSicon .svg

KRWgl+l

STRq


경부선(수원역 방면)


SKRZ-Go


국도 제1호선(서부간선도로)





1.4
구일, 안양천


SHST
2.4
개봉


SKRZ-Gu

남부순환도로


SBHF
3.7
오류동


eABZgl


경기화학선


SBRÜCKE


국도 제46호선(경인로)


SHST
5.6
온수(7호선 환승)


STR+GRZq

↑서울시/경기도 부천시↓


SHST
6.9
역곡


SHST
8.4
소사


SBHF
9.5
부천


SBRÜCKE


국도 제39호선(신흥로)


eABZgr

구김포선(김포역 방면)


SHST
11.2
중동


SHST
12.2
송내


SKRZ-Au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STR+GRZq

↑경기도 부천시/인천광역시↓


SHST
13.4
부개


SBHF
14.9
부평(인천1호선 환승)


SHST
16.6
백운


SHST
18.1
동암


SHST
19.3
간석


SBHF
20.5
주안


SKRZ-Au


경인고속도로


SHST
21.5
도화


eABZgl

구주인선


SBHF
22.5
제물포


SHST
23.9
도원


SHST
25.1
동인천





STR+4

STR

BSicon .svg








KRWg+l

KRWgr

BSicon .svg

인천항방면





DST

KSBHFe

BSicon .svg
27.0
인천

(수인선 환승)



  • S표시는 수도권 광역전철을 뜻함

(독일, 스위스, 오스트리아의 S-Bahn과 기능이 유사함)


경인선(京仁線)은 서울특별시 구로구의 구로역과 인천광역시 중구의 인천역을 잇는 총 연장 27 km의 대한민국의 철도 노선이다. 대한민국에서 공식적인 기록상 최초의 철도로[내용주 2][1], 1897년 3월 22일에 미국의 지원을 받아 기공하여 1899년 9월 18일에 일부 구간이 개통되었다. 1974년 8월 15일부터 전 구간을 수도권 전철이 운행하고 있다.


약 300만 명이 사는 인천광역시와 약 87만 명이 사는 부천시, 그리고 1000만명이 사는 서울특별시를 연결하며, 연선의 교통량 절반 이상을 분담하고 있다. 경원선 용산역 ~ 광운대역 구간과 함께 철저하게 도시철도화되고 있는 노선이기도 하다.




목차





  • 1 역사

    • 1.1 착공 이전


    • 1.2 착공 이후


    • 1.3 광복 이후



  • 2 운영

    • 2.1 1899년부터


    • 2.2 1974년부터


    • 2.3 1999년부터


    • 2.4 운용 차량



  • 3 역 목록


  • 4 사고


  • 5 이용객 변동

    • 5.1 일반열차



  • 6 각주




역사



착공 이전


조선은 늦게나마 철도 건설의 필요성을 깨달았지만, 당시 재정이 빈궁하여 독자적으로 철도를 부설할만한 능력이 부족하였다. 수도 서울은 수백년간 한강을 통한 수운으로 물자를 수송하였으나, 개화와 산업발전을 위하여는 서울을 항구과 직접 연결해주는 새로운 대량수송 수단이 필요하였다. 서울에서 가장 가까운 항구인 제물포가 1883년에 개항되면서 서울과 제물포를 잇는 경인선 철도가 구상되었다. 한편 경인선 철도 부설에 관심이 있던 미국 정부는 1883년 6월 23일 독변교섭통상사무 민영목을 통해서 제물포와 한강의 수심 측량을 허가받고, 1887년 2월 9일에는 뉴욕 조선영사 프레이저(E. Frazar)를 통해 김윤식에게 '전등 및 철도 신설계획의 요청' 공문을 보냈다.


이후 1891년 3월 고종은 이완용과 이하영을 시켜 주한미국전권공사인 기업가 제임스 모스(James R. Morse)와 '철도창설조약'을 협상하였고, 모스는 미국공사 알렌(Horace N. Allen)을 통해 지속적으로 경인선 부설권을 획득하려 하였다. 하지만 일본 정부가 철도 부설권을 얻고자 1894년 8월 무단으로 '조일잠정합동조관'을 체결하였고, 이는 조선 정부가 재정적 여유가 없으므로 일본 정부에서 경인선과 경부선 철도를 부설한다는 내용이었다. 그러나 청일 전쟁 직후의 삼국간섭으로 한국에서 철도의 주요 이권을 독점하려는 일본의 영향력은 약화되었고, 1896년 아관파천 50일 만인 3월 29일 철도부설권은 모스에게 넘어갔다. 이는 철도에 대한 최초의 특허권 부여이자, 미국이 조선정부로부터 최초로 이권을 양도받은 사건이기도 하다.



착공 이후




경인선 개통식





인천역 앞에 있는 ‘경인철도 시발지’ 빗돌




경인선 개통 당시의 객차


한국정부가 모스와 체결한 '경인철도특허조관'에는 특허일로부터 12개월 내에 기공, 그 후 3년 안에 준공하며, 이를 위반할 시 특허의 효력이 상실된다고 규정되어 있었다. 이를 위해 모스는 1897년 3월 22일 오전 9시 경인가도상의 우각현(牛角峴, 지금의 도원역 부근)에서 기공식과 함께 공사를 시작하였다. 일본은 부설권을 재취득하기 위하여 조선이 정치적으로 어지럽다는 거짓 소문을 미국에 흘렸고, 이로 인해 미국 투자가들이 자금을 회수하며 모스는 자금난을 겪게 되었다. 여기에 기술적인 난제까지 겹쳐 공사는 중단되었고, 1898년 5월 10일 공사 중인 경인철도가 170만 2452원 75전 (당시 1백만 달러)에 일본의 '경인철도합자회사'에 양도되기에 이르렀다. 이에 시부사와 에이이치가 중심인물로 참여하였다.[2]


1899년 9월 18일 인천역 ~ 노량진역 간 33킬로미터 구간이 개통되었다.[3] 당시 개통된 역은 인천 - 축현 - 우각동 - 부평 - 소사[내용주 3] - 오류동 - 노량진의 7개 역이었다.[내용주 4]1900년 7월 8일에는 노선이 노량진역에서 경성역까지 연장되었으며[4], 같은 해 11월 12일 경성역에서 경인철도 완전개통식이 진행되었다.[5]1906년 2월 10일에는 우각동역이 폐지되었다.[6]


급하게 부설한 선로였기 때문에 곡선반경이 작고 교량 등 구조물이 부실하여, 1907년부터 1908년까지 52.5만 엔(당시)을 들여 개량 공사를 진행하였다.[7] 1909년 3월에 이 공사가 완료되면서 경인선의 연장이 1.6 km 감소하였고, 철도용지와 교각 등이 복선 규격으로 마련되었다.[8][7] 또한 이 공사에 따라 당시 축현역이 이설된 시기는 1908년 12월이라고 전해지고 있다. 1937년에는 경인선 복선화에 착수하였으나, 복선 운전이 시작된 시기는 알려져 있지 않다.[7]


노량진역에서 한강철교 쪽으로 가다 보면 '한국철도 시발지비'가 있는데, 이 비는 1999년에 제작된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중 노량진역 스탬프에 새겨져 있다. 도원역 부근에도 경인선 기공을 기념하는 기념비가 세워져 있다.



광복 이후


1928년부터 복선화의 계획은 있었으나,[9] 자금난과 태평양 전쟁으로 인해 무산되었다. 그 후 복선화는 대한민국 정부에 의해 다시 추진되었고, 1963년 11월에 착공해서 1965년 9월 18일에 완공되었다[10]. 이로써 경인선은 대한민국의 철도 중 경부선에 이어 두 번째로 복선화가 완료된 노선이자, 대한민국 정부가 최초로 복선화시킨 노선이 되었다.


1974년 8월 15일에 전 구간이 전철화되어 경원선 성북역(현 광운대역)과 인천역간을 통근형 전동차가 운행하기 시작하였으며, 이로 인해 일반 열차의 운행은 중지되었다. 서울 지하철 1호선을 통해 서울의 도심으로 바로 진입하기 때문에 서울 - 인천 간 교통에 큰 기여를 하였다. 1994년에는 구로역 이후에서 빚어지는 경부선 서울 ~ 수원 구간과의 병목현상 해소를 위한 용산 ~ 구로간 2복선화 공사가 완료되었다. 이후 복선만으로는 많은 교통량을 모두 처리할 수 없게 되자 선로용량을 확대할 필요성이 제기되었고, 1990년대에 들어 복복선화 사업이 착수되었다. 구로역 - 부평 구간은 1991년 11월에[11], 부평 - 인천 구간은 1996년 9월에 각각 착공되었다. 구로 - 부평 구간은 1999년 1월에, 부평 - 주안 구간은 2002년 3월에, 주안 - 동인천 구간은 2005년 12월에 각각 개통되었다.


경인선을 지하화하자는 주장도 있으나,[12] 엄청난 사업비가 소요되고 공사 기간 중 열차 운행을 중단해야 하는 문제 때문에 실현 가능성은 낮다.



운영




1900년대 사용되었던 경인선 승차권의 복제품



1899년부터


1899년 9월 18일 경인선이 개통되었다. 모가형 증기 기관차가 운행되어 1시간 40분이 소요되었다. 개통 직후, 인천역에서 노량진역까지 운행하는 열차 시각표는 다음과 같았다.[13]























인천축현우각동부평소사오류동노량진
7:007:067:117:367:508:158:40
13:0013:0613:1113:3613:5014:1514:40

개통 직후, 노량진역에서 인천역까지 운행하는 열차 시각표는 다음과 같았다.[13]























노량진오류동소사부평우각동축현인천
9:009:339:5110:0510:3010:3510:40
15:0015:3315:5116:0516:3016:3516:40

또한 개통과 함께 한국 최초의 철도운송약관인 '경인간철도규칙'이, 농상공부령으로 발령되었다[14][15]. 당시 경인선의 열차 운행 관련 규칙은 다음과 같았다.



서울과 인천 사이에 놓은 철도규칙을 다음과 같이 게재한다.

제1조 철도에 운전하는 화륜거를 타는 자는 어떤 사람이든지 먼저 표값을 내고 차표를 사서 차를 타고 차에서 내린 후에는 차표를 차주에게 내어라.

제2조 어떤 사람이든지 표값을 내지 않고 차를 타거나 자기가 가진 등급보다 고등급 차에 타고 가는 자는 그 차표에 정한 외에 찻값을 리수 원근과 등급의 어떠한 것을 물론하고 한사람에 5전씩 받는다.

제3조 돌림병을 앓은 사람은 승차를 거절한다.

제4조 미치거나 난잡한 자는 승차를 거절한다.

제5조 어떤 사람이든지 정거장과 철도소 안에 있는 각종 표지와 기계, 짐, 목침목, 담을 파손하는 자는 회사에게 적당한 배상을 해야한다.

제6조 차타는 사람의 손에 든 물건은 따로 운임을 받지 아니하며 차안에서 물건이 상하거나 차표를 잃어버리더라도 회사에서는 책임을 지지 않는다.

제7조 귀중품이나 금, 은, 그릇, 각종 표문건, 어음, 지전, 구슬, 금덩이, 모피, 상등의복, 단필, 서화 등 귀한 물건은 운송하는 비용이나 보험료를 내지 않으면 회사에서는 그 손해에 대하여 책임이 없다.

제8조 소와 말과 산짐승을 수송하는데 보험료를 내지 않으면 그 손해에 대해서 회사는 책임이 없고 만일 보험료를 낸 자라도 배상하는 돈은 말은 한 마리에 10원 안이요. 소는 한 마리에 20원 안이요. 다른 동물은 한 마리에 3원 안으로 정한다.

제9조 위험한 물건이라는 것은 화약, 폭발물, 동물과 생석회이며 석유, 초, 성냥 등 불이 나면 다른 물건을 해치는 물건은 위험물로 취급한다.

제10조 잃어버리거나 상한 물건에 대한 손해배상은 회사가 재물을 거둔 후에 혹 관리하는 동안에 회사에서 게을리 하였을 때는 배상하나 재물주인이 소홀히 하였을 때는 회사에서 책임이 없다.

제11조 물건을 철도에 부칠 때 운임을 내며 특별히 후에 내기로 약조한 정거장에 당도하여 운임을 받고 물건과 교환한다.

제12조 철도소 안에 두는 물건과 차에 실은 물건의 잃은 것과 상한 것은 물건주인의 책임이요, 철도는 화물을 차에 실은 후 내리기까지만 보호한다.

제13조 차안에 틈이 없고 차가 부족한 때에는 차객과 화물을 거절한다.

제14조 회사에서 정하는 근은 영국근이니 곧 방이라 하고 자는 영국 척이니 12촌이요, 리는 영리이니 백윤(百輪)을 일쇄(一鎖)라 하고 80쇄를 리라 하며 톤은 영국근수로 2천2백40근이요, 용적은 1백립 영척으로 한다.


제15조 차객과 화물의 임자는 이상의 조목을 굳게 지키되 만일 이 규칙을 준행치 않는 자는 차타며 화물운송허가를 얻지 못한다.



1974년부터


광복 이후 비둘기호가 운행하다가, 1974년 8월 15일 지하철 서울역에서 지하 청량리역까지 건설된 서울 지하철 1호선과 연계되어 통근형 전동차가 운행되기 시작하였다[16]. 수도권 전철 개통 이후로는 일부 특별 열차를 제외하고는 KTX, 새마을호, 무궁화호 등의 일반 열차는 운행하지 않는다. 현재 수도권 전철 체계 안에서 서울 서남부와 부천시, 인천광역시를 서울 중심부와 연결시켜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 2005년 조사 결과 하루에 약 38만 명이 탑승하며 37만 명이 하차한다. 승하차 인원중 약 30만 명이 부천시 소재 역에, 약 33만 명이 인천시 소재 역에 집중되어 있다[내용주 5].



1999년부터


서울-인천 간 교통량이 급증하자, 복선만으로는 수요를 모두 감당하지 못하게 되었다. 이에 1999년에 구로-부평 구간이, 2002년에 부평-주안 구간이, 2005년에 주안-동인천 구간이 복복선화 되었다. 2002년 OD 조사에서 인천광역시 · 부천시 · 서울특별시 사이의 철도통행량은 511451로 조사되었는데[17], 이는 복복선화 작업을 하지 않았을 경우 처리가 불가능한 수준이다.


복복선 개통으로 가운데 내선에는 급행열차를 운행시키고 있는데, 이 급행열차는 동인천역과 용산역에서 발착하며, 경인선에서는 제물포 · 주안 · 동암 · 부평 · 송내 · 부천 · 역곡 · 개봉역에 정차하고,[내용주 6]경부선과 합류하는 구로역부터 용산역까지는 모든 역에서 정차한다.


현재 용산역 3번 승강장과 동인천역 2번 승강장에서 출발한다. 열차 외부 행선안내기에는 동인천 급행, 용산 급행으로 표시된다.[내용주 7] 원래는 동인천역 대신에 주안역까지였으나, 동인천역까지 급행을 연장해 현재는 용산~동인천 구간을 왕복하고 있다. 정차역은 다음과 같다.



한편, 2006년부터는 경원선 직통 급행전철이 운행되고 있다. 이 급행은 경원선 동두천역을 출발하여 광운대역까지 급행 운행을 하고, 광운대역부터 인천역까지는 모든 역에 정차하는 완행으로 운행한다.



운용 차량



  • 모가형 증기 기관차 : 광복 이후 운행 중지


  • 비둘기호 객차 : 수도권 전철 운행 개시 후 운행 중지


  • 한국철도공사 1000호대 전동차[내용주 8] (구로 - 동인천 급행)구간에만 운행한다.

  • 한국철도공사 311000호대·312000호대 전동차


  • 서울교통공사 1000호대 VVVF 전동차[내용주 9]


  • 서울교통공사 1000호대 저항제어 전동차[내용주 9]


역 목록


  • 부기역명(사용료를 받고 한시적인 기간동안 걸어두는 역명)의 영문과 한자는 표기하지 않았다.


  • 굵은 글씨는 수도권 전철 운행 이전부터 존재했던 역이다.

















































































































































































































역 번호
역명
로마자 역명
한자 역명
특급
급행
접속 노선

역간
거리


영업
거리

소재지
↑ 경부선 신도림 방면
141

구로
Guro
九老



광명·서동탄·천안·신창 방면
0.0
0.0

서울특별시

구로구
142

구일
(동양미래대학)
Guil
九一



1.4
1.4
143

개봉
(한영신대)
Gaebong
開峯



1.0
2.4
144

오류동
Oryu-dong
梧柳洞



1.3
3.7
145

온수
(성공회대입구)
Onsu
溫水



서울 지하철 7호선
1.9
5.6
146

역곡
(가톨릭대)
Yeokgok
驛谷



1.3
6.9

경기도

부천시
147

소사
(서울신대)
Sosa
素砂



서해선
1.5
8.4
148

부천
(부천대학교)
Bucheon
富川



1.1
9.5
149

중동
Jung-dong
中洞



1.7
11.2
150

송내
Songnae
松內



1.0
12.2
151

부개
Bugae
富開



1.2
13.4

인천광역시

부평구
152

부평
(가톨릭대인천성모병원)
Bupyeong
富平



인천 도시철도 1호선
1.5
14.9
153

백운
Baegun
白雲



1.7
16.6
154

동암
Dongam
銅岩



1.5
18.1
155

간석
Ganseok
間石



1.2
19.3

남동구
156

주안
Juan
朱安



인천 도시철도 2호선
1.2
20.5

미추홀구
157

도화
Dohwa
道禾



1.0
21.5
158

제물포
(인천대학교 제물포캠퍼스)
Jemulpo
濟物浦



1.0
22.5
159

도원
Dowon
桃源



1.4
23.9

동구
160

동인천
Dongincheon
東仁川



1.2
25.1

중구
161

인천
(차이나타운)
Incheon
仁川






수인선
1.9
27.0


사고



  • 1952년 한국 전쟁 중에 오류동역과 영등포역 사이에서 기관차 폭발 및 탈선 사고가 일어나 14명이 사망하고 2백여 명이 중경상을 입었다. 당시 운행하던 기관차는 소리형 증기 기관차 39호였다.[18]


이용객 변동



일반열차


다음 자료는 2000년부터 2015년까지 한국철도공사 한국철도통계 내용을 모은 것이다.






















































































































구분
이용 인원수 (명)
각주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비둘기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19]
통일(통근)
778
915
0
0
0
0
0
0
0
0
0
0
0
0
0
0
무궁화
13,230
10,428
475
883
842
0
927
3,230
5,125
7,088
14,969
11,028
11,634
12,114
9,722
4,700
새마을
0
0
0
0
0
0
0
970
1,185
742
1,212
0
0
0
136
11,844
건설
4,968
2,880
1,224
2,288
각 종별 열차 이용객에 포함됨
정기권
0
0
0
0
합계
18,976
14,223
1,699
3,171
842
0
927
4,200
6,310
7,830
16,181
11,028
11,634
12,114
9,858
16,544


각주


내용주

  1. 차량 및 열차만 운행


  2. 한반도 최초의 철도는 평안남도 진남포에서 평양까지 55리에 이르는 협궤 철도이다. 이 철도는 비공식적으로 개통되었다.


  3. 현재는 부천역으로 이름이 바뀌었으며, 현재의 소사역과는 별개이다.


  4. 현재는 구로역에서 인천역까지를 경인선이라고 하며, 구로역 이북은 경부선에 편입되었다.


  5. 수도권 전철 1호선을 구성하는 운행 계통의 일부로서 운영된다.


  6. 평일 출근 시간대 2회 동암역과, 송내역, 역곡역을 통과하는 열차가 운행한 적이 있다.


  7. 운행 초기에는 직통열차라는 명칭이 사용되어 열차 외부의 행선 안내기에 부평역직통, 용산역직통 등으로 표시되었고 복복선이 주안까지 연장되면서 주안행에 한하여 직통열차 푯말을 끼우고 운행하기도 했다.


  8. 용산 - 동인천간 급행열차로 고정 운행한다.


  9. 서울교통공사 소속 열차로서 인입 선로를 통해 직결하여 운행한다.


참조주

  1. 김은신 (1995). 《이것이 한국 최초》. 삼문. 269쪽. ISBN 9788985407359. 


  2. 근세조선상공업의 발달사 (3), 《동아일보》, 1921.04.22.


  3. “경인 쳘도 리슈” (PDF). 《독립신문》. 1899년 9월 18일. 2016년 3월 7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7월 20일에 확인함. 


  4. “기차전통 경인철도합자회사” (PDF). 《황성신문》. 1900년 7월 6일. 2017년 8월 25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8월 4일에 확인함. 


  5. 경인철도개업식 Archived 2016년 3월 8일 - 웨이백 머신, 《황성신문》, 1900.11.13.


  6. 이용상 외 (2013). 《한국 철도의 역사와 발전 II》. 서울: BG북갤러리. 341쪽. ISBN 9788964950531. 


  7. 鮮交會 (1986). 《조선교통사 2》. 번역 최영수; 서홍. 서울: BG북갤러리 (2017에 출판됨). 60쪽. ISBN 9788964951033. 


  8. 鮮交會 (1986). 《조선교통사 2》. 번역 최영수; 서홍. 서울: BG북갤러리 (2017에 출판됨). 39쪽. ISBN 9788964951033. 


  9. 경인복선전제로 경용간을 삼선, 《동아일보》, 1928.11.23.


  10. 경인간복선개통, 《동아일보》, 1965.09.18.


  11. 경인선 1997년까지 복복선 확장, 《동아일보》, 1990.09.30.


  12. 경인선 전철 지하화 추진 Archived 2014년 8월 12일 - 웨이백 머신, 《매일경제》, 2009.10.18.


  13. 화륜거 왕래 시간 Archived 2016년 3월 7일 - 웨이백 머신, 《독립신문》, 1899.09.16.


  14. 경인간철도규칙 제1조~제12조 Archived 2016년 3월 6일 - 웨이백 머신, 《독립신문》, 1899.09.16.


  15. 경인간철도규칙 제12조~제15조[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독립신문》, 1899.09.16.


  16. 8.15특집 지하철 · 전철시대 개막, 《경향신문》, 1974.08.15.


  17. 서울시 교통국, 2002년 수도권 OD


  18. 사망 12, 중경상 127명 경인선열차사고후보, 《동아일보》, 1952.09.19.


  19. 코레일 > 정부3.0 정보공개 > 자료실 > 통계자료실





Popular posts from this blog

Kamusi Yaliyomo Aina za kamusi | Muundo wa kamusi | Faida za kamusi | Dhima ya picha katika kamusi | Marejeo | Tazama pia | Viungo vya nje | UrambazajiKuhusu kamusiGo-SwahiliWiki-KamusiKamusi ya Kiswahili na Kiingerezakuihariri na kuongeza habari

SQL error code 1064 with creating Laravel foreign keysForeign key constraints: When to use ON UPDATE and ON DELETEDropping column with foreign key Laravel error: General error: 1025 Error on renameLaravel SQL Can't create tableLaravel Migration foreign key errorLaravel php artisan migrate:refresh giving a syntax errorSQLSTATE[42S01]: Base table or view already exists or Base table or view already exists: 1050 Tableerror in migrating laravel file to xampp serverSyntax error or access violation: 1064:syntax to use near 'unsigned not null, modelName varchar(191) not null, title varchar(191) not nLaravel cannot create new table field in mysqlLaravel 5.7:Last migration creates table but is not registered in the migration table

은진 송씨 목차 역사 본관 분파 인물 조선 왕실과의 인척 관계 집성촌 항렬자 인구 같이 보기 각주 둘러보기 메뉴은진 송씨세종실록 149권, 지리지 충청도 공주목 은진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