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중앙선 목차 역사 역 목록 운행 차량 수도권 전철 노선 정보 주요 다리 및 터널 지선 노선 개량 계획 교통량 이용객 변동 사진 같이 보기 각주 둘러보기 메뉴eheh本文 - 朝鮮の私設鉄道|近代デジタルライブラリー철도선과역의 일부명칭개정철도청고시 제1997-27호철도청고시 제2004-42호“중앙선 새마을호 4년만에 다시 달린다”“제천~도담 복선전철 개통”“원주 간현역 71년 역사 품고 추억속으로”국토교통부고시 제2019-173호“동해중부선 2018년 완공땐 포항서 삼척까지 100분 안걸려”코레일 > 정부3.0 정보공개 > 자료실 > 통계자료실중앙선eheh

시흥연결선대전남연결선대구북연결선건천연결선가야선남부화물기지선대구선대전선미전선병점기지선부강화물선신동화물선양산화물선오송선평택선효창선용산선교외선수색직결선강경선대불선장성화물선광양제철선광양항선광주선덕산선부산신항선신광양항선전경삼각선진해선화순선장항화물선군산화물선옥구선북전주선여천선괴동선동해북부선우암선온산선부전선장생포선울산항선망우선영천삼각선금장삼각선삼척선북평선묵호항선문경선함백선정선선경인선경강선안산선과천선분당선일산선수인선신분당선고한선동해남부선동해중부선(경동선)마산선영암선영월선전남선진주선철암선황지지선김삼선남부순환선대삼선단양선비인선부하철도서해안선충남선


중앙선1939년 개통한 철도 노선서울특별시의 철도 교통경기도의 철도 교통강원도의 철도 교통충청북도의 철도 교통경상북도의 철도 교통1942년 개통한 철도 노선


서울특별시동대문구경원선청량리역경상북도경주시동해선경주역한국철도공사간선철도경부선대한민국일제 강점기한반도만주청량리역지평역수도권 전철2017년12월 22일강릉선KTX-산천용산중앙선 광역전철경원선영주경주청량리영주경부선경인선경원선1974년수도권 전철 1호선안산선분당선일산선과천선구리시남양주시양평군복선 전철화2005년12월 16일청량리역덕소역통근형 전동차용산-성북선덕소역팔당역복선 전철화2007년12월 27일2008년12월 29일팔당역국수역능내역운길산역2009년12월 23일국수역용문역신원역2010년12월 21일상봉역오빈역2014년경의선2017년1월 21일용문역지평역회기덕소용산청량리 (지상)경원선청량리 (지상)덕소2007년12월 27일팔당운행 계통경원선직결 운행경의·중앙선광역 전철2001년2006년중랑한국철도공사철도망우역경원선광운대역제천역제천조차장역북영천역대구선금호역강릉역동대구역영천역봉정역서경주역동해선나원역용문역용문차량사업소한국철도공사루프선루프선












중앙선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중앙선

Korail Jungang Line.png
중앙선의 위치

기본 정보
운행 국가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종류
간선철도
상태
영업 중
기점
청량리역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청량리동, 전농동)
종점
경주역
(경상북도 경주시 성동동)
역 수
78
노선 번호
312
개통일
1939년 4월 1일
소유자
대한민국 정부
(한국철도시설공단 위탁)
운영자
한국철도공사
노선 제원
영업 거리
373.8 km
궤간
1,435 mm(표준궤)
선로 수
4(상봉 -망우)
2(청량리 - 상봉, 망우 - 만종, 봉양 - 도담)
1(서원주 - 봉양, 도담 - 경주)
전철화
가공전차선
교류 25,000 V(청량리 - 영주)
신호 방식
ATS
영업 최고 속도
200 km/h
설계 최고 속도
230 km/h
v  d  e  h

v  d  e  h 중앙선(청량리역-경주역)

설명




























































































































































































































































































































































































































































































































































































































































































































BSicon .svg

STR

tSTR+l


경원선, 수도권 전철 1호선





KDSTa

STR

tSTR

청량리차량사무소





BHF

SBHF

tSBHF
0.0
청량리





KRWgl+l

KRWgr+r

tSTRe








STR

KRWg+l

KRWr








KRWgl+l

KRWgr+r

BSicon .svg








SBRÜCKE

SBRÜCKE

BSicon .svg


국도 제6호선(망우로)





SBHF

SBHF

BSicon .svg
1.4
회기





BS2l





BSicon .svg


경원선(광운대역 방면)




hKRZWae

BSicon .svg

중랑천




SHST

BSicon .svg
3.2
중랑




STR

STR+l


망우선(광운대역 방면)




VIADUKT1-R

VIADUKT1-L


국도 제3호선(동일로)




KRWgl+l

KRWgr+r







SHST

SHST
4.0
상봉(7호선 환승)




SBHF

SBHF
4.6
망우




VIADUKT1-R

VIADUKT1-L


국도 제47호선(용마산로)




BS2l






경춘선(퇴계원역 방면)


SHST
6.3
양원


SKRZ-Au


세종포천고속도로




BS2+l

eBS2+r







STR+GRZq

exSTR+GRZq

↑서울특별시/경기도 구리시↓




STR

exBST

동교신호장




BRÜCKE1

exSTR


국도 제43호선(동구릉로)




BS2l

eBS2r





SBHF
9.5
구리


hKRZWae+GRZq

왕숙천, ↑구리시/남양주시↓


SKRZ-Au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SBHF
11.2
도농


SBRÜCKE

구국도 제46호선(경춘로)


SKRZ-Gu


북부간선도로


SKRZ-Gu


수석호평도시고속화도로


SHST
14.9
양정


SKRZ-Au


서울양양고속도로


SBHF
17.2
덕소


SHST
18.7
도심


SHST
22.9
팔당




eBS2+l

BS2+r







exHST

TUNNEL1

능내(2008년 폐쇄)




exSTR

SHST
29.3
운길산




exSTR

BRÜCKE1


국도 제45호선(북한강로)




eBS2l

BS2r





hKRZWae+GRZq


북한강, ↑남양주시/양평군↓


SHST
31.2
양수


SHST
35.9
신원


SHST
38.8
국수


SHST
42.9
아신


SKRZ-Au


중부내륙고속도로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


SHST
45.7
오빈


BRÜCKE1


국도 제6호선


BRÜCKE1


국도 제37호선


SBHF
47.9
양평


SHST
53.7
원덕


hKRZWae

흑천


hKRZWae

흑천


SBHF
58.5
용문


hKRZWae

흑천


SBHF
62.1
지평




BS2+l

BS2+r







eHST

HST
65.0
석불




eHST

HST
68.5
구둔(폐역)/일신




eHST

HST
72.3
매곡




BS2l

BS2r





HST
75.3
양동


SKRZ-Au


광주원주고속도로


HST
79.2
삼산


STR+GRZq

↑경기도 양평군/강원도 원주시↓




BS2+l

eBS2+r







hKRZWae

exhKRZWae


섬강




STR

exHST

간현(폐역)




BHF

exSTR
86.4
서원주 2017년 예정)




BS2l

eBS2r





HST
88.3
동화


SKRZ-Au


영동고속도로


HST
93.0
만종


SKRZ-Au


중앙고속도로


BRÜCKE1


국도 제19호선(북원로)


BHF
97.9
원주


BRÜCKE1


국도 제42호선(천사로)


BRÜCKE1


국도 제5호선(치악로)


BST
103.8
유교신호장


HST
107.2
반곡


BST
111.2
금교신호장


hKRZWae

길아천


HST
117.0
치악


SKRZ-Au


중앙고속도로


BRÜCKE1

국도 제5호선


BST
122.3
창교신호장


BRÜCKE1

국도 제5호선


HST
125.4
신림


STR+GRZq

↑강원도 원주시/충청북도 제천시↓


BRÜCKE1

국도 제5호선


hKRZWae

제천천


hKRZWae

제천천


BST
129.0
연교신호장


hKRZWae

제천천


BRÜCKE1

국도 제5호선


hKRZWae

제천천


hKRZWae

제천천


hKRZWae

제천천


HST
133.5
구학


BRÜCKE1

국도 제5호선


SBRÜCKE


국도 제38호선


ABZg+r


충북선(충주역 방면)


HST
137.5
봉양


hKRZWae

장평천


SKRZ-Au


중앙고속도로


SBRÜCKE

국도 제5호선(북부로)


DST
142.3
제천조차장


BHF
144.6
제천


ABZgl


태백선(영월역 방면)


hKRZWae

장평천


SBRÜCKE

국도 제38호선(북부로)


HST
148.5
고명


BRÜCKE1

국도 제5호선


STR+GRZq

↑제천시/단양군↓


HST
153.7
삼곡


BRÜCKE1

국도 제5호선


hKRZWae

매포천


hKRZWae

매포천


hKRZWae

매포천


hKRZWae

매포천


BHF
160.5
도담


hKRZWae


남한강


BRÜCKE1

국도 제5호선


HST
166.6
단양


HST
171.4
단성


BST
179.6
죽령신호장


SBRÜCKE

국도 제5호선


SKRZ-Au


중앙고속도로


tSTRa


죽령터널


tSTR+GRZq

↑충청북도 단양군/경상북도 영주시↓


tSTRe





SKRZ-Au


중앙고속도로


HST
187.4
희방사(소백산)


BRÜCKE1

국도 제5호선(죽령로)


HST
193.5
풍기


hKRZWae

금계천


BST
199.7
안정신호장


hKRZWae

죽계천


SBRÜCKE


국도 제36호선(구성로)


BST
204.3
북영주신호소


BRÜCKE1


국도 제28호선(중앙로)


kABZg2

영주삼각선





BSicon .svg

STR+k12

kABZl+34


영동선(봉화역 방면)


kABZg+1





BHF
207.0
영주


ABZgr


경북선(예천역 방면)


hKRZWae

원동천


SBRÜCKE

국도 제5호선(경북대로)


HST
212.0
문수


eHST

승문(2013년 폐쇄)




BS2+l

eBS2+r







STR

exHST

평은(2013년 폐쇄)




hKRZWae

exhKRZWae

내성천




STR+GRZq

exSTR+GRZq

↑영주시/안동시↓




TUNNEL1

exHST

옹천(2013년 폐쇄)




BST

exSTR
224.7
옹천신호장




BS2l

eBS2r





SBRÜCKE

국도 제5호선(경북대로)


HST
229.1
마사


HST
233.5
이하


BRÜCKE1


국도 제35호선(퇴계로)


BST
236.1
서지신호장


SBRÜCKE


국도 제34호선(경동로)


BHF
242.3
안동


SBRÜCKE

국도 제35호선(퇴계로)


eABZgr

구경북선(예천역 방면)


hKRZWae


낙동강


SBRÜCKE

국도 제5호선(경북대로)


SBRÜCKE

국도 제5호선(경북대로)


HST
249.7
무릉


SBRÜCKE

국도 제5호선(경북대로)


hKRZWae

미천


hKRZWae

미천


hKRZWae

미천


HST
256.5
운산


hKRZWae+GRZq

미천, ↑안동시/의성군↓


SBRÜCKE

국도 제5호선


hKRZWae

미천


HST
262.0
단촌


SKRZ-Au


당진영덕고속도로


BST
266.7
업동신호장


HST
271.0
의성


hKRZWae

남대천


SBRÜCKE

국도 제28호선


BST
277.3
비봉신호장


HST
282.7
탑리


SBRÜCKE

국도 제28호선


STR+GRZq

↑의성군/군위군↓


HST
291.3
우보


hKRZWae

위천


HST
299.3
화본


hKRZWae

구천


hKRZWae

구천


BST
304.7
봉림신호장


STR+GRZq

↑군위군/영천시↓


BST
309.5
갑현신호장


SKRZ-Au


상주영천고속도로


HST
314.5
신녕


HST
320.9
화산


SKRZ-Au


새만금포항고속도로


SBRÜCKE

국도 제35호선


hKRZWae

고현천


HST
329.0
북영천


BRÜCKE1


국도 제4호선(최무선로)


ABZg3

북영천삼각선


hKRZWae


금호강


ABZg+r


대구선(가천역 방면)


BHF
331.5
영천


BST
336.7
송포신호장


SBRÜCKE

국도 제4호선(대경로)


SKRZ-Au


상주영천고속도로


HST
340.8
임포


STR+GRZq

↑영천시/경주시↓


HST
346.7
아화


SBRÜCKE


국도 제20호선(건포산업로)


HST
352.6
건천


HST
356.5
모량


KRZu


동해선(영덕역 방면→)


BST
361.1
율동신호장


hKRZWae

대천


BRÜCKE1

국도 제4호선(대경로)


HST
368.7
서경주


kABZg2

금장삼각선





BSicon .svg





kABZq+4


동해선(포항역 방면)


hKRZWae


형산강


BRÜCKE1


국도 제7호선(원화로)


hKRZWae

북천


BHF
373.8
경주


STR


동해선(태화강역 방면)

  • S표시는 대도시 광역전철의 역을 뜻함

(독일, 스위스, 오스트리아의 S-Bahn과 그 기능이 유사함)


중앙선(中央線)은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경원선 청량리역과 경상북도 경주시 동해선 경주역[내용주 1]을 잇는 한국철도공사의 간선철도 노선이다. 일반적으로는 중앙본선만을 가리켜 ‘중앙선’이라 부르는 경우가 많으나, 정식 명칭은 중앙본선이며[1], ‘중앙선’은 중앙본선과 그 지선으로 불린다. 경부선에 이은 대한민국 제2종관선으로, 일제 강점기 한반도와 만주 등의 지하자원 수탈과 여객·화물의 원활한 수송을 목적으로 건설되었다. 청량리역부터 지평역까지는 수도권 전철이 병행 운행되며, 2017년 12월 22일부터 강릉선 KTX-산천이 중앙본선을 경유한다.




목차





  • 1 역사

    • 1.1 일제 강점기


    • 1.2 비전철 시대


    • 1.3 전철화 시대


    • 1.4 광역 전철 시대



  • 2 역 목록


  • 3 운행 차량

    • 3.1 기관차

      • 3.1.1 디젤 기관차


      • 3.1.2 전기 기관차



    • 3.2 객차


    • 3.3 동차


    • 3.4 통근형 전동차


    • 3.5 과거 운행 차량



  • 4 수도권 전철

    • 4.1 안내명


    • 4.2 변화된 사항


    • 4.3 연혁


    • 4.4 승차량 변동



  • 5 노선 정보


  • 6 주요 다리 및 터널


  • 7 지선 노선

    • 7.1 망우선


    • 7.2 제천조차장선


    • 7.3 북영주삼각선


    • 7.4 영천삼각선


    • 7.5 금장삼각선


    • 7.6 용문기지선



  • 8 개량 계획


  • 9 교통량


  • 10 이용객 변동

    • 10.1 역별 이용객 순위[19]



  • 11 사진


  • 12 같이 보기


  • 13 각주




역사



일제 강점기



  • 1917년 9월 20일 : 조선철도주식회사(朝鮮鐵道株式會社) 소속의 경동선의 일부로써 영천역 ~ 서악역 간 20.6 km 개통. 당시 개업한 역은 영천역, 임포역, 아화역, 건천역, 광명역, 서악역.


  • 1918년 11월 1일 : 경동선 서악역 ~ 효자역 간 19.6 km 개통. 당시 개업한 역은 경주역, 사방역, 안강역, 효자역.[2]


  • 1923년 : 조선총독부에서 조선 제2의 종관선 건설을 계획함.


  • 1935년 : 청량리·양평·원주·제천을 거쳐 단양·영주·안동·의성·영천을 연결하는 345.2 km 노선 확정, 중앙선(中央線)이라 명명함.


  • 1936년 11월 3일 : 청량리 방면에서 착공.


  • 1936년 12월 18일: 영천 방면에서 착공.


  • 1938년 7월 : 조선철도주식회사의 사철이었던 영천역~경주역 구간 (경동선 일부) 37.5 km 매수.

  • 1938년 12월 1일: 기존 동해중부선 중에서 영천역~경주역 구간은 경경남부선(京慶南部線)으로 개명됨. 우보역~영천역 구간의 개통(40.1 km)으로 경경남부선이 우보역까지 연장됨.[3]


  • 1939년 4월 1일 : 청량리역 ~ 양평역 52.5km구간을 개통하고 이 구간의 노선명을 경경북부선(京慶北部線)으로 개명함.[4]

  • 1939년 6월 1일 : 영천역~경주역 구간의 궤도를 표준궤로 바꾸는 공사가 완료됨. 광명역을 모량역으로, 서악역을 율동역으로 개명함.[5]


  • 1940년 3월 1일: 경경남부선 경북안동역(안동역) ~ 우보역 48.9km구간 개통.[6]

  • 1940년 4월 1일 : 경경북부선 양평역 ~ 원주역 55.9km구간 개통.[7]


  • 1940년 5월 : 소백산 죽령터널 준공.


  • 1941년 7월 1일 : 경경북부선 원주역 ~ 제천역 46.8km구간과 경경남부선 영주역 ~ 안동역 38.7km구간 개통. 경경북부선과 경경남부선을 통합하여 경경선(京慶線)으로 개명함.[8]


  • 1942년 4월 1일 : 제천역 ~ 영주역 62.3km구간의 개통으로 경경선(京慶線)이 완전히 개통됨.[9]


  • 1942년 6월 1일 : 동경성역이 청량리역으로 개명되어 본선의 구간은 청량리역~경주역으로 개정됨.[10]


  • 1944년 6월 15일 : 율동역 폐역


비전철 시대



  • 1948년 1월 : 노선명을 중앙선으로 환원, 충북단양역을 단양역으로 개칭[11]


  • 1949년 8월 18일 : 죽령터널 열차 탈선 사고 발생


  • 1956년 5월 1일 : 능내역 개업


  • 1956년 7월 11일 : 치악역 개업


  • 1958년 1월 10일 : 호당역 개업


  • 1959년 3월 1일 : 마사역 개업


  • 1959년 4월 1일 : 아신역 개업


  • 1965년 11월 5일 : 신원역 개업


  • 1965년 12월 7일 : 판대역 개업


  • 1966년 7월 11일 : 송포역 개업


  • 1966년 10월 14일 : 제천조차장역 개업


  • 1967년 7월 1일 : 유교신호장 개업


  • 1967년 9월 1일 : 율동역 재개업


  • 1967년 11월 15일 : 석불역 개업


  • 1968년 7월 16일 : 금교신호장, 창교신호장, 연교신호장 개업


  • 1968년 9월 1일 : 매곡역 개업


전철화 시대



  • 1969년 9월 : 청량리역 ~ 제천역 구간 전철화 착공

  • 1971년 4월 10일 : 승문임시승강장, 비봉임시승강장 개업


  • 1971년 12월 1일 : 고명역 개업


  • 1973년 6월 20일 : 청량리역 ~ 제천역 구간 155.2 km 전철화


  • 1973년 12월 23일 : 북영주역 개업


  • 1974년 8월 15일 : 율동역 재폐역


  • 1977년 3월 1일 : 동교신호장, 북영천신호장 개업, 율동역 삼개업


  • 1978년 1월 1일 : 갑현신호장 개업


  • 1980년 1월 10일 : 서지신호장, 업동신호장 개업


  • 1980년 4월 1일 : 회기역 개업


  • 1980년 11월 1일 : 우등형 전기동차(EEC) 무궁화호 청량리역 ~ 동해역 운행개시


  • 1985년 5월 1일 : 충주댐 건설로 인한 수몰지구 선로 이설, 단양역 신설 개업


  • 1985년 7월 13일 : 서경주역 개업


  • 1987년 12월 : 제천역 ~ 단성역 구간 29km 전철화


  • 1988년 11월 1일 : 새마을호 청량리역 ~ 안동역 운행개시


  • 1988년 12월 : 단성역 ~ 영주역 구간 35km 전철화


  • 1992년 8월 22일 : 길아천교(구 철교) 노후화로 인해 금교역 ~ 치악역 구간 1.2km 개량 착공[12]


  • 1992년 11월 1일 : 경주시내 도심이설로 인해 서경주역 ~ 황성분기 2.5km 구간 이설, 황성역 폐역


  • 1996년 7월 12일 : 금교역 ~ 치악역 구간 1.2km 준공


  • 1997년 6월 1일 : 문수역, 단촌역, 봉림역, 화산역, 아화역, 모량역 6개역을 배치간이역으로 격하[13]


  • 2004년 12월 10일 : 북영천역, 아화역, 모량역 3개역을 무배치간이역으로 격하[14]


광역 전철 시대



  • 2005년 12월 16일 : 청량리역 ~ 덕소역 구간 복선 전철화 및 중앙선 광역 전철 운행 개시[내용주 2]


  • 2005년 12월 16일 : 중랑역, 양원역, 구리역, 양정역 개업


  • 2006년 12월 15일 : 동교역 폐역


  • 2007년 12월 27일 : 덕소역 ~ 팔당역 구간 복선 전철화 및 광역 전철 운행 구간 연장 및 이 광역 전철의 안내명을 (수도권 전철) 중앙선으로 확정지음. 중앙선 도심역 개업


  • 2008년 12월 29일 : 팔당역 ~ 국수역 구간 복선 전철화 및 수도권 전철 중앙선 운행 구간 연장. 중앙선 능내역 폐지, 운길산역 개업.


  • 2009년 1월 1일 : 금장역을 서경주역으로 역명 변경.


  • 2009년 12월 23일 : 신원역 개업, 국수역 ~ 지평역 구간 복선 전철화 및 국수역 ~ 용문역 수도권 전철 운행 연장.[내용주 3]


  • 2010년 3월 31일 : 하행열차를 시작으로 봉양역 ~ 제천역 구간 누리로 본격 운행 개시


  • 2010년 12월 15일 : 새마을호 청량리역 ~ 안동역 구간 운행 재개,[15]


  • 2010년 12월 21일 : 상봉역, 오빈역 개업.


  • 2011년 3월 31일 : 제천역 ~ 도담역 구간 복선 전철화 운행 개시[16]


  • 2011년 12월 21일 : 양동역 ~ 동화역 구간 운행선을 개량선으로 변경, 간현역 폐지 및 동화역 여객운송 재개[17][내용주 4]


  • 2012년 8월 16일 : 지평역 ~ 양동역 구간 운행선을 개량선으로 변경.


  • 2012년 9월 17일 : 상행열차를 끝으로 누리로 운행 종료.


  • 2012년 9월 25일 : 용문역 ~ 서원주역 구간 복선 전철화.


  • 2013년 3월 28일 : 문수역 ~ 마사역 구간 영주댐 건설로 인한 수몰 예정으로 이설, 승문역 및 평은역 폐지, 옹천역 신호장으로 격하.


  • 2013년 11월 20일 : 구둔역, 판대역을 각각 일신역, 삼산역으로 개칭.


  • 2014년 11월 1일 : 청량리-안동간 새마을호 운행 종료 및 청량리-영주간 ITX-새마을운행 개시.


  • 2014년 12월 27일 : 수도권 전철 경의선과 직결운행.


  • 2016년 8월 25일 : 서원주역 ~ 만종역 구간 복선 전철화 개통.


  • 2017년 1월 21일 : 지평역까지 수도권 전철 운행


  • 2017년 12월 22일 : 강릉선 KTX-산천 개통 (청량리, 상봉, 양평, 만종역 열차 정차)


  • 2018년 3월 23일 : 청량리~영주간 ITX-새마을운행 재개

  • 2019년 4월 17일 : 철도 노선번호 변경에 따라 312로 변경[18]


역 목록


  • 무 : 무궁화호

  • ITX : ITX-새마을

  • KTX : KTX

용산 - 청량리 구간의 중앙선 광역전철 정차역에 대해서는 경원선을 참고. 여기서는 중앙선 구간만 기술하기로 한다.


망우역은 KTX정차역이 아니나, 상봉역과 연결된 KTX 승강장 때문에 "정차"로 표시하였다.
















































































































































































































































































































































































































































































































































































































































































































































































역명
로마자 역명
한자 역명
KTX
ITX

광역
전철
접속 노선
역간
거리
누적
거리
소재지
급행
완행

청량리
Cheongnyangni
淸凉里






경원선
수도권 전철 1호선
수도권 전철 경춘선
분당선
경원선
0.0
0.0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회기
Hoegi
回基






수도권 전철 1호선
수도권 전철 경춘선
1.4
1.4

중랑
Jungnang
中浪






수도권 전철 경춘선
1.8
3.2

중랑구

상봉
Sangbong
上鳳






서울 지하철 7호선
망우선 ( 수도권 전철 경춘선)
0.8
4.0

망우
Mangu
忘憂





망우선
경춘선 ( 수도권 전철 경춘선)
0.6
4.6

양원
Yangwon
養源






1.7
6.3

구리
Guri
九里






3.2
9.5

경기도

구리시

도농
Donong
陶農






1.7
11.2

남양주시

양정
Yangjeong
養正






3.7
14.9

덕소
Deokso
德沼






2.3
17.2

도심
Dosim
陶深






1.5
18.7

팔당
Paldang
八堂






4.2
22.9

운길산
Ungilsan
雲吉山






6.4
29.3

양수
Yangsu
兩水






1.9
31.2

양평군

신원
Sinwon
新院






4.7
35.9

국수
Guksu
菊秀






2.9
38.8

아신
Asin
我新






4.1
42.9

오빈
Obin
梧濱






2.8
45.7

양평
Yangpyeong
楊平






2.2
47.9

원덕
Wondeok
元德






5.8
53.7

용문
Yongmun
龍門






4.8
58.5

지평
Jipyeong
砥平






3.6
62.1

석불
Seokbul
石佛






















2.9
65.0

일신
Ilsin
日新




3.5
68.5

매곡
Maegok
梅谷




3.8
72.3

양동
Yangdong
楊東




3.0
75.3

삼산
Samsan
三山




3.9
79.2

서원주
Seowonju
西原州




경강선
7.2
86.4

강원도

원주시

동화
Donghwa
桐華




1.9
88.3

만종
Manjong
萬鐘




경강선
4.7
93.0

원주
Wonju
原州
K
T
X








4.9
97.9

유교
Yugyo
流交



5.9
103.8

반곡
Bangok
盤谷



3.4
107.2

금교
Geumgyo
金交



4.0
111.2

치악
Chiak
雉岳



5.8
117.0

창교
Changgyo
倉交



5.3
122.3

신림
Sillim
神林



3.1
125.4

연교
Yeongyo
蓮交



3.6
129.0

충청북도

제천시

구학
Guhak
九鶴



4.5
133.5

봉양
Bongyang
鳳陽



충북선
4.0
137.5

제천조차장
Jecheonjochajang
堤川操車場



4.8
142.3

제천
Jecheon
堤川



태백선
2.3
144.6

고명
Gomyeong
高明



3.9
148.5

삼곡
Samgok
三谷



5.2
153.7

단양군

도담
Dodam
嶋潭



6.8
160.5

단양
Danyang
丹陽



6.1
166.6

단성
Danseong
丹城



4.8
171.4

죽령
Jungnyeong
竹嶺



8.2
179.6

희방사
Huibangsa
喜方寺



7.8
187.4

경상북도

영주시

풍기
Punggi
豊基



6.1
193.5

안정
Anjeong
安定



6.2
199.7

북영주
Bugyeongju
北榮州


영주삼각선
4.6
204.3

영주
Yeongju
榮州



경북선
영동선
2.7
207.0

문수
Munsu
文殊
I
T
X







5.0
212.0

승문

Seungmun

繩文


-
-

평은

Pyeongeun

平恩


-
-

옹천
Ongcheon
甕泉


12.7
224.7

안동시

마사
Masa
麻仕


4.4
229.1

이하
Iha
伊下


4.4
233.5

서지
Seoji
西枝


2.6
236.1

안동
Andong
安東


6.2
242.3

무릉
Mureung
武陵


7.4
249.7

운산
Unsan
雲山


6.8
256.5

단촌
Danchon
丹村


5.5
262.0

의성군

업동
Eopdong
業洞


4.7
266.7

의성
Uiseong
義城


4.3
271.0

비봉
Bibong
飛鳳


6.3
277.3

탑리
Tap-ri
塔里


5.4
282.7

우보
Ubo
友保


8.6
291.3

군위군

화본
Hwabon
花本


8.0
299.3

봉림
Bongnim
鳳林


5.4
304.7

갑현
Gaphyeon
甲峴


4.8
309.5

영천시

신녕
Sinnyeong
新寧


5.0
314.5

화산
Hwasan
花山


6.4
320.9

북영천
Bugyeongcheon
北永川

북영천삼각선
8.1
329.0

영천
Yeongcheon
永川


대구선
2.5
331.5

송포
Songpo
松浦


5.2
336.7

임포
Impo
林浦


4.1
340.8

아화
Ahwa
阿火


5.9
346.7

경주시

건천
Geoncheon
乾川


5.9
352.6

모량
Moryang
牟梁

(동해선)
3.9
356.5

율동
Yuldong
栗洞


4.6
361.1

서경주
Seogyeongju
西慶州


금장삼각선
7.6
368.7

경주
Gyeongju
慶州


동해선
5.1
373.8
↓ 동해선 동방역 방면
  • ●은 전열차 정차, ▲은 일부열차 정차.

  • 서경주역은 1623, 1624만 통과한다.


운행 차량



기관차



디젤 기관차


아래는 비전철화 구간인 영주 ~ 경주 구간에서 운행하는 기관차이며 심야 시간대에는 전철화 구간에서도 운행한다.


  • 7300호대 디젤 기관차

  • 7400호대 디젤 기관차

  • 7500호대 디젤 기관차

  • 7600호대 디젤 기관차


전기 기관차


아래는 전철화 구간인 청량리 ~ 영주 구간에서 운행하는 기관차이다.


  • 8000호대 전기 기관차

  • 8100호대 전기 기관차

  • 8200호대 전기 기관차

  • 8500호대 전기 기관차


객차



  • 무궁화호 : 전 구간에서 운행하는 객차이다.


동차



  • 도시통근형 디젤 액압 동차 : 동대구-김천-영주-북영천-동대구를 순환하는 경북나드리열차와 동대구-경주-포항, 동대구-경주-부전을 잇는 동해남부선 열차로 운행 중이며, 등급은 무궁화호이다.


  • 200000호대 간선 전기 동차 : 서울-영등포-수원-천안-오송-제천-단양-풍기-영주-봉화-춘양-분천-양원-승부-철암을 운행하는 중부내륙순환열차로 운행 중이며, 등급은 새마을호 특실이다.


  • 210000호대 간선 전기 동차 (ITX-새마을)


통근형 전동차



  • 321000호대 전동차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구간에서 운행하고 있다. (청량리 - 지평)구간에만 운행한다.


  • 331000호대 전동차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구간에서 운행하고 있다. (청량리 - 지평)구간에만 운행한다.


  • 361000호대 전동차 : 청량리역-망우역 구간에만 운행하고 있으며 경춘선 열차로 운행하고 있다.[내용주 5]


  • 368000호대 전동차 : 청량리역-망우역 구간에만 운행하고 있으며 경춘선 열차와 함께 운행하고 있는 ITX-청춘열차로 운행한다.


과거 운행 차량


  • 객차
    • 비둘기호

    • 통일호


  • 전동차

    • 우등형 전기 동차 (EEC)

  • 디젤 동차

    • 새마을형 디젤 액압 동차 (DHC)

  • 통근형 전동차

    • 351000호대 전동차 : 4개 편성(35161편성~35164편성)

  • 동차


수도권 전철






팔당역에 진입중인 중앙선 통근전철. 현재 321x08편성으로 운행중이다.


경부선과 경인선, 경원선은 1974년 수도권 전철 1호선의 개통과 동시에 통근형 전동차가 운행되기 시작되었다. 이후에는 안산선, 분당선, 일산선, 과천선 등으로 광역 전철의 운행이 확대되었지만, 중앙선만은 그렇지 않았다. 그러나 1990년 이후 수도권의 인구 팽창으로 인하여 중앙선이 지나는 구리시, 남양주시, 양평군에서는 극심한 교통난을 겪게 되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복선 전철화 및 통근형 전동차 운행 계획이 등장했다. 2005년 12월 16일, 청량리역에서 덕소역에 이르는 구간에 통근형 전동차가 운행하게 되면서 용산-성북선을 대체하게 된다. 이후 덕소역에서 팔당역에 이르는 복선 전철화 사업은 2007년 12월 27일에 개통되었고, 이듬해인 2008년 12월 29일에는 팔당역에서 국수역까지의 구간이 개통되었다. 이 과정에서 기존의 역인 능내역을 폐역하고 운길산역을 준공하였다. 이듬해인 2009년 12월 23일에는 국수역에서 용문역까지의 구간이 개통되었고, 신원역이 개통되었다. 이듬해인 2010년 12월 21일에는 상봉역과 오빈역이 개통되었다. 2014년부터는 경의선과 직결운행하여 양방향 모두 급행열차가 운행하며, 2017년 1월 21일에는 용문역에서 지평역까지 연장 개통되었다.























개통 일자
개통 구간
신설된 역
2005년 12월 16일

청량리역 ~ 덕소역

중랑역. 양원역, 구리역, 양정역
2007년 12월 27일

덕소역 ~ 팔당역

도심역
2008년 12월 29일

팔당역 ~ 국수역

운길산역
2009년 12월 23일

국수역 ~ 용문역

신원역
2010년 12월 21일
없음

상봉역, 오빈역
2017년 1월 21일

용문역 ~ 지평역
없음


안내명


회기 - 덕소 구간 연장 이후 초기에는 용산 - 덕소선이라 불렸는데, 이는 영업 거리표상의 선구(線區)가 각각 용산 - 청량리 (지상) 간이 경원선, 청량리 (지상) - 덕소 간이 중앙선[내용주 6] 이기 때문에 명칭을 확정짓지 못한 것이다. 그러나 2007년 12월 27일 노선이 팔당까지 연장됨과 동시에, 이 운행 계통을 대표하는 안내노선명을 중앙선으로 확정하였다. 영업 거리표상으로는 여전히 경원선과 중앙선이 직결 운행하는 형태이지만, 일반 전철 승객들에게 안내되는 명칭으로는 '중앙선'만을 쓰기로 결정한 것이다.
경의선과 직결운행 이후에는 경의·중앙선으로 안내되고 있다



변화된 사항


광역 전철에 의한 승객 증가량은 놀라운 수준이다. 2001년 철도통계연보에 따르면 중앙선 망우~덕소 구간의 총 승차량은 102,849명에 불과했고, 매년 점차 지속적으로 감소하였지만 2006년 중랑~덕소 구간 광역 전철의 총 승차량은 한국철도공사 발표 통계에 따르면 9,399,248명에 달하였다. 광역 전철 개통으로 인해 승차량이 100배 가까이 폭증한 것이다. 물론 주변도시의 발달이 이러한 승차량 증가의 기본 요인이지만, 이를 철도로 처리할 의지가 없었다면 이러한 증가는 실현되지 않았을 것이다.



연혁



  • 2005년 12월 16일 : 경원선(용산-성북) 운행 계통이 수도권 전철 1호선에서 분리되어 독립된 운행 계통이 됨. 회기 - 덕소 구간 개통[내용주 7]


  • 2007년 12월 27일 : 덕소 - 팔당 구간 연장 개통과 동시에 8량 1편성으로 전환


  • 2008년 4월 1일 : 전 열차에서 1인승무 개시


  • 2008년 12월 1일 : 급행열차 운행 개시


  • 2008년 12월 29일 : 팔당 - 국수 구간 개통


  • 2009년 12월 23일 : 신원역, 국수 - 용문 구간 개통


  • 2010년 12월 21일 : 상봉역, 오빈역 개통


  • 2011년 10월 5일 : 다이아 개정과 동시에 6량 1편성으로 전환


  • 2012년 5월 21일 : 일부열차 8량 1편성으로 재 전환 (2014년까지 전 편성이 8량 1편성화되었다.)


  • 2017년 1월 21일 : 용문 - 지평 구간 개통


승차량 변동


가시성을 높히기 위해, 역당 평균량은 이탤릭으로 처리하였다.


























구간
승차 인원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범주구별
구간총량
역당평균
구간총량
역당평균
구간총량
역당평균
구간총량
역당평균

경원선 구간
43,524

6,218
45,268

6,467
46,221

6,603
50,850

7,264

































구간
승차 인원
2004년
2005년
2006년
범주구별
구간총량
역당평균
구간총량
역당평균
구간총량
역당평균
전 구간
27,884

3,983
27,927

1,995
53,205

3,800

경원선 구간
27,884

3,983
27,130

3,876
27,454

3,922
중앙본선 구간
미개통
미개통
18,185[내용주 8]
2,598
25,751

3,679


노선 정보


  • 노선 거리 : 373.8 km

  • 운영 기관 : 한국철도공사(전 구간)

  • 궤간 : 1,435mm(표준궤)

  • 통행 방식 : 좌측

  • 역 수 : 82 (보통역 42, 배치간이역 2, 무배치간이역 22, 신호소 1, 신호장 12, 조차장 1)[19]

  • 복선 구간 : 청량리 - 서원주 / 봉양 - 도담/ 문수 - 옹천

  • 단선 구간 : 서원주 - 봉양 / 도담 - 문수/ 옹천 - 경주

  • 전철화 구간 : 청량리 - 영주 207.0 km

  • 보안 장치 : ATS


주요 다리 및 터널


  • 다리

    • 양수철교(구 북한강철교)

    • 길아천철교

    • 상진철교

    • 형산강철교


  • 터널
    • 망우터널

    • 팔당터널

    • 망미터널

    • 치악터널

    • 대강터널

    • 죽령터널

    • 문수터널

    • 북후터널



지선 노선


중앙선에는 총 6개의 지선 철도가 있다.












































번호노선 명칭기점종점연장(km)비고
31201
망우선망우역광운대역4.9
31202
제천조차장선제천역제천조차장역2.4
31203
북영주삼각선안정역북영주역0.72018년 철거
31204
영천삼각선북영천역금호역4.1
31205
금장삼각선서경주역나원역2.2
31206
용문기지선용문역용문기지1.6


망우선



망우선은 망우역과 경원선 광운대역을 연결하는 철도 노선이다. 국토교통부의 한국철도영업거리표 상 노선 번호는 31201 이다.



제천조차장선


제천조차장선은 제천역과 제천조차장역을 연결하는 철도 노선이다. 열차 조성이나 입환, 화물영업등 제천조차장을 이용하려는 열차가 이용하며, 국토교통부의 한국철도영업거리표 상 노선 번호는 31202 이다.

















역명
역간거리
(km)
영업거리
(km)
접속 노선
소재지

제천
0.0
0.0
중앙선
태백선

충청북도

제천시

제천조차장
2.3
2.3
중앙선


북영주삼각선



북영주삼각선은 북영주역과 중앙선 및 영동선을 잇는 총길이 0.7km의 철도 노선이다. 국토교통부의 한국철도영업거리표 상 노선 번호는 31203 이다. 도담 - 영천 구간 개량으로 인해 철거되었다.

















역명
역간거리
(km)
영업거리
(km)
접속 노선
소재지

안정
0.0
0.0
중앙선

충청북도

제천시

북영주
0.7
0.7
영동선
중앙선


영천삼각선


영천삼각선은 북영천역과 대구선 금호역을 연결하는 삼각선형태의 철도 노선이다. 국토교통부의 한국철도영업거리표 상 노선 번호는 31204 이다.


이 선로가 개통되기 전 강릉역 방면에서 동대구역 방면으로 가는 열차는 영천역에서 방향을 바꾸어 운행해야만 했다. 그래서 불편을 줄이기 위해서 이 삼각선을 개설하였다.


본래 봉정역과 북영천역을 잇는 형태의 삼각선이었으나 2017년 9월 8일 대구선 하양 ~ 영천 구간이 복선 전철화로 인해 이설되면서 봉정역이 폐역되어 금호역에서 북영천역을 잇는 형태로 변경되었다.

















역명
역간거리
(km)
영업거리
(km)
접속 노선
소재지

북영천
0.0
0.0
중앙선

경상북도

영천시

금호
4.1
4.1

대구선


금장삼각선


금장삼각선은 서경주역과 동해선 나원역을 연결하는 삼각선형태의 철도 노선이다. 국토교통부의 한국철도영업거리표 상 노선 번호는 31205 이다. 경주삼각선으로 불리기도 한다.

















역명
역간거리
(km)
영업거리
(km)
접속 노선
소재지

서경주
0.0
0.0
중앙선

경상북도

경주시

나원
2.2
2.2

동해선


용문기지선


용문기지선은 용문역과 용문차량사업소를 연결하는 철도 노선이다. 국토교통부의 한국철도영업거리표 상 노선 번호는 31206 이다.

















역명
역간거리
(km)
영업거리
(km)
접속 노선
소재지

용문
0.0
0.0
중앙선

경기도

양평군

용문기지
1.6
1.6


개량 계획



  • 서원주역부터 제천역에 이르는 구간은 현재 공사중이다. 2020년 개통을 목표로 계획이 진행 중이다. 원주시 구간은 신시가지 일원인 무실동으로 이설된다.


  • 서원주역부터 만종역에 이르는 구간은 현재 경강선의 직선화된 복선 경로로 운행중이다.


  • 도담역에서 안동역에 이르는 구간은 2013년 12월에 착공하여 복선 전철로 공사중이다.[20]


  • 안동역에서 영천역까지의 구간은 도담~안동 구간과 함께 단선 전철(복선노반)로 착공하여 공사중이다.[20]


  • 영천역에서 신경주역에 이르는 구간은 대구선과 동해남부선을 운행하는 열차가 경유하여 복선전철로 개량된다. 건천에서 경주구간은 폐선되고 대신 경부고속선과 환승 가능한 신경주역으로 선로가 이설되어 종착역이 된다. 대구광역시에서 주도하는 대구권 광역철도망에 2019년 개통 예정 노선으로 포함되기도 하였다. 경주시내 구간에 대한 많은 내용은 동해선의 개량계획을 참고하라.


교통량


단선구간이 거의 대부분이기 때문에 교통량은 그리 많지 않은 편이다. 복선전철화 구간은 청량리-서원주, 봉양-도담 구간이며 청량리에서 영주까지 단선전철화는 이미 70년대에 이뤄졌다.


  • 중앙선의 구간별 여객열차(새마을, 무궁화) 교통량, 1주




































구간
하행선
상행선
분기하거나 합류하는 노선
청량리-원주
127
127

원주-봉양
120
120
봉양->충북선
봉양-제천
177
177
제천->태백선
제천-영주
66
66
영주->영동선,경북선
영주-안동
94
94

안동-영천
42
42
대구선->영천
영천-서경주
112
112
서경주->동해선
서경주-경주
98
98


이용객 변동


다음 자료는 2000년부터 2015년까지 한국철도공사 한국철도통계 내용을 모은 것이다.
























































































































구분
이용 인원수 (명)
각주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비둘기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21]
통일(통근)
1,406,529
1,323,160
1,160,533
1,119,213
397,555
205,311
195,209
116,655
0
0
0
0
0
0
0
0
무궁화
4,765,890
4,747,341
3,950,745
3,569,821
3,963,105
3,980,366
2,571,794
2,427,982
2,619,288
2,487,630
2,389,687
2,701,245
2,952,306
3,455,907
3,616,113
3,589,958
새마을
861,701
798,107
639,750
579,458
511,514
459,669
271,753
127,599
160,927
149,817
164,826
196,673
186,696
180,055
190,709
222,759
KTX
미개통
건설
43,212
43,725
53,626
59,650
각 종별 열차 이용객에 포함됨
정기권
189,777
128,806
124,915
123,329
합계
7,267,109
7,041,139
5,929,569
5,451,471
4,872,174
4,645,346
3,038,756
2,672,236
2,780,215
2,637,447
2,554,513
2,897,918
3,139,002
3,635,962
3,806,822
3,812,717


역별 이용객 순위[19]


  1. 청량리역 2,583,846명

  2. 제천역 1,540,844명

  3. 원주역 1,184,828명

  4. 경주역 1,018,357명

  5. 영천역 662,214명

  6. 안동역 618,469명

  7. 영주역 593,181명

  8. 양평역 537,220명


사진



같이 보기


  • 경춘선

  • 수도권 전철 중앙선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각주


내용주

  1. 실제 선로는 경주역 북쪽 약 2.5km 지점에 있는 황성(隍城)분기에서 동해선에 합류한다.


  2. 개통 당시 ‘용산-덕소선’으로 경부선·경원선 용산역까지 경원선을 사용하여 연장 운행한다.


  3. 수도권 전철은 용문역까지만 운행하였다.


  4. 용문역-서원주역 복선화 구간 중 일부 구간을 미리 사용한다.


  5. 36114편성과 36115편성은 수도권 전철 중앙선에서 운행되기도 했다.


  6. 현재 지상 청량리-회기역 구간은 보통 중앙선 선로를 이용하여 운행되며, 경원선 선로는 이용하지 않는다. 중앙선에 수도권 전철 운행이 시작되기 전에는 지상 청량리 - 회기 사이의 경원선 선로가 이용되었다.


  7. 개통 당시 명칭으로 용산-덕소 운행 계통을 사용했고 이를 줄여서 용산-덕소선이라 불렀다.


  8. 16일 평균값이다. 노선 전체에는 365일 값으로 전체 값을 나눠 반영하였다.


참조주

  1. 국토해양부고시 제2010-439호 《한국철도거리표》, 국토해양부


  2. 本文 - 朝鮮の私設鉄道|近代デジタルライブラリー


  3. 조선총독부관보 昭和 제3558호, 1938년 11월 28일자


  4. 조선총독부관보 昭和 제3646호, 1939년 3월 17일자


  5. 조선총독부관보 昭和 제3701호, 1939년 5월 25일자


  6. 조선총독부관보 昭和 제3901호, 1940년 1월 25일자


  7. 조선총독부관보 昭和 제3916호, 1940년 2월 12일자


  8. 조선총독부관보 昭和 제4305호, 1941년 6월 2일자


  9. 조선총독부관보 昭和 제4536호, 1942년 3월 13일자


  10. 조선총독부관보 昭和 제4575호, 1942년 5월 2일자


  11. 철도선과역의 일부명칭개정, 《경향신문》, 1948.01.22.


  12. 철도청, 2004년 철도통계연보


  13. 철도청고시 제1997-27호, 1997년 5월 22일.


  14. 철도청고시 제2004-42호, 2004년 11월 29일.


  15. “중앙선 새마을호 4년만에 다시 달린다”. 매일신문. 2010년 11월 6일. 


  16. “제천~도담 복선전철 개통”. 정책브리핑. 2011년 4월 19일. 2019년 2월 7일에 확인함. 


  17. 김대중 기자 (2011년 12월 21일). “원주 간현역 71년 역사 품고 추억속으로”. 강원일보. 2011년 12월 23일에 확인함. 


  18. 국토교통부고시 제2019-173호, 2019년 4월 17일.


  19. 2011년 철도통계연보


  20. “동해중부선 2018년 완공땐 포항서 삼척까지 100분 안걸려”. 경북매일. 2014년 7월 23일. 2014년 8월 23일에 확인함. 


  21. 코레일 > 정부3.0 정보공개 > 자료실 > 통계자료실




Popular posts from this blog

Kamusi Yaliyomo Aina za kamusi | Muundo wa kamusi | Faida za kamusi | Dhima ya picha katika kamusi | Marejeo | Tazama pia | Viungo vya nje | UrambazajiKuhusu kamusiGo-SwahiliWiki-KamusiKamusi ya Kiswahili na Kiingerezakuihariri na kuongeza habari

Swift 4 - func physicsWorld not invoked on collision? The Next CEO of Stack OverflowHow to call Objective-C code from Swift#ifdef replacement in the Swift language@selector() in Swift?#pragma mark in Swift?Swift for loop: for index, element in array?dispatch_after - GCD in Swift?Swift Beta performance: sorting arraysSplit a String into an array in Swift?The use of Swift 3 @objc inference in Swift 4 mode is deprecated?How to optimize UITableViewCell, because my UITableView lags

Access current req object everywhere in Node.js ExpressWhy are global variables considered bad practice? (node.js)Using req & res across functionsHow do I get the path to the current script with Node.js?What is Node.js' Connect, Express and “middleware”?Node.js w/ express error handling in callbackHow to access the GET parameters after “?” in Express?Modify Node.js req object parametersAccess “app” variable inside of ExpressJS/ConnectJS middleware?Node.js Express app - request objectAngular Http Module considered middleware?Session variables in ExpressJSAdd properties to the req object in expressjs with Typescript